• 제목/요약/키워드: 항혈전

검색결과 208건 처리시간 0.028초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 균사체로부터 항혈전 생산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Anticoagulant Production from Phellinus linteus Mycelia)

  • 서호찬
    • 한국균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17-121
    • /
    • 2011
  • 각종 버섯에서 항혈전 활성균주를 선별하기 위해 보관 균주 50여종과 임업협동조합에서 분양 받은 20여종의 균주를 대상으로 항혈전 활성을 검색한 결과, 항혈전 활성이 167 sec를 나타낸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을 선별하였다. 본 균주가 생산하는 항혈전 활성의 본체를 파악하기 위해 pronase 처리와 periodate 산화를 행한 결과 pronase로 처리한 시료는 무처리군과 비교하여 차이가 없었던 반면 periodate로 산화시킨 시료는 항혈전 활성이 크게 감소함에 따라 P. linteus가 생산하는 항혈전 활성의 본체는 다당에 기인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항혈전 생산을 위한 최적 배양조건은 soluble starch 3.0%, peptone 0.1%, $MgSO_4{\cdot}7H_2O$ 0.1%, $K_2HPO_4$ 0.1%, 초기 pH 7.0, 배양온도 $30^{\circ}C$ 및 교반속도 150 rpm이었다. 상기의 최적 배양조건에서 jar fermentor로 10일 배양하였을 때 390 sec의 항혈전 활성과 7.5 mg/mL의 균사체 생육을 나타내었다.

한국인의 식이지방과 팜유의 영양 비교 (Palm Oil and Blood Cholesterol)

  • Ross L Hood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6권8호
    • /
    • pp.1007-1018
    • /
    • 1993
  • 이상의 모든 결과를 요약해 보면 어유의 경우 항혈전 효과에는 상당히 들기름과 함께 좋으나 막의 유연성과 다른 면에서 들기름은 항혈전과 세포막의 유연성 유지 등에서 상당히 유리한 기름으로 생각할 수 있다. 팜유는 우지나 참기름보다 항혈전 효과나 세포막 유연성 유지에서 좋으나 들기름보다는 떨어지는 것으로 생각할수 있다.

  • PDF

대마 부위별 추출물의 항혈전 활성 (Evaluation of Anti-thrombosis Activities of Different Parts of Cannabis sativa L.)

  • 강덕경;김영민;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581-586
    • /
    • 2021
  • COVID-19 (Corona Virus Disease 2019) 감염증에 의한 주요 사망원인은 급성폐렴과 신체 전체에 나타나는 혈전증이며, 증가된 면역반응에 의한 사이토카인 폭풍(cytokine storm)은 고염증 상태와 함께 비정상적인 혈전생성을 더욱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혈전 생성을 억제하는 low molecular weight heparins의 사용이 사망률을 감소시키며, 대마 추출물이 COVID-19 증상의 완화 및 치료에 효과적임이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대마 성분이 항혈전 활성에 기여하는지를 확인하고자, 대마 잎, 줄기, 뿌리, 미성숙 꽃 및 종실 추출물을 각각 조제하고 이를 대상으로 혈전 생성 억제활성을 평가한 결과, 모든 부위 추출물에서 우수한 항혈전 활성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대마 꽃 추출물에서 강력한 혈액응고인자 저해에 의한 혈전 생성 억제활성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대마꽃 추출물은 적혈구 용혈활성도 강력하여 향후 항혈전 활성물질의 분리가 필요하였다. 본 연구는 대마 부위별 추출물의 항응고 활성에 대한 최초 보고이며, 향후 국내에서 연구 및 사용이 제한된 대마를 이용한 고부가가치 생물소재 개발이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단삼 메탄올 추출물의 항혈전 및 항산화 효과 (Effects of Methanolic Extract from Salvia miltiorrhiza Bunge on in vitro Antithrombotic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 양선아;임남경;이인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83-87
    • /
    • 2007
  • 단삼 메탄올 추출물의 항혈전 및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혈소판의 응고 억제효과, 혈장응고시간의 연장, 혈전용해 활성으로 항혈전 효과를 고찰하였으며 DPPH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여 항산화 효과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단삼의 메탄올 추출물은 항혈전과 항산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추출물은 혈소판응고 억제, 혈액응고시간 연장 및 혈전용해 활성에 모두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폴리페놀 함량이 높고 DPPH radical 소거능도 매우 좋았다. 이로서 단삼의 높은 DPPH radical 소거능이 항혈전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되며, 정확한 효과 및 혈소판의 기능을 조절하는 기전에 대한 연구는 이 결과들을 바탕으로 현재 진행 중에 있다.

신물질 ASPALATPNE의 항혈전 작용

  • 한병훈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3년도 제2회 신약개발 연구발표회 초록집
    • /
    • pp.123-123
    • /
    • 1993
  • Acetylsalicylic acid (aspirin)와 인삼의 항산화 성분인 maltol의 축합반응으로 합성된 신물질 Aspalatene이 저용량: 장기 복용시 항산화활성과 더불어 지혈시간 연장효과가 탁월함을 보고 한 바 있다. Aspalatone은 aspirin과는 달리, 장기 복용시에도 위궤양 유발 작용이 거의 나타나지 않으므로 말초순환개선제로서의 개발이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Aspalatone의 항혈전작용을 in vivo, ex vivo 및 in vitro에서 연구하였다. Mouse thromboembolism test를 이용한 in vivo실험에서 Aspalatone은 aspirin과 유사하게 collagen에 의한 치사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 ADP에 의한 치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10일간의 장기 투여 실험에서는 저용량에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10일간의 장기 투여 실험에서는 저용량에서 항혈전 작용을 나타내며 투여 중단 4일 후에도 약효가 유지되는 것을 밝혔다. 이는 Aspalatone이 aspirin과 같이 cycloosygenase에 작용하여 항혈전 작용을 나타냄을 강력히 시사하고 있다.

  • PDF

호장근 추출물의 항혈전 효능 및 혈소판 응집 억제작용 (Antithrombotic Effect and Antiplatelet Activity of Polygonum cuspidatum Extract)

  • 양원경;성윤영;김호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68-173
    • /
    • 2012
  • 항혈전 효능을 탐색하기 위하여 한약재의 호장근 추출물로 혈전 용해능 활성과 혈액 응고시간 지연효과 즉 PT(prothrombin time), APTT(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와 혈소판 응집억제 활성 등에 대해 항혈전 효능을 평가하였다. 혈전용해도를 측정하는 fibrin plate가 용해되어 형성된 투명환의 넓이를 측정하는 실험을 진행한 결과 혈전 용해도가 농도의존적으로 탁월한 효능을 나타내었다. 혈액응고 cascade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혈액 응고시간 지연 및 단축 효과를 확인하고자 APTT와 PT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PT의 경우 대조군보다 단축됨을 보였다. APTT의 경우 농도의존적으로 우수한 지연효과를 보였다. 혈소판의 응집에 따라 형성되는 두 전극 사이에 형성된 전기적 저항의 변화로 나타나는 실험을 시행한 결과 호장근의 ADP로 유도한 결과에서 뛰어난 응집억제 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호장근을 향후에 혈전 질환의 치료제 개발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어성초의 항혈전, 항당뇨 및 항산화 활성 (Antithrombosis, Antidiabet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Houttuynia cordata)

  • 이윤진;강덕경;김종식;이만효;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43-49
    • /
    • 2023
  • 어성초(Houttuynia cordata)는 삼백초과(Saururaceas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잎, 줄기 및 뿌리의 전초를 약제로 사용하고 있으며, 민간에서는 혈행개선, 폐렴, 급만성기관지염, 장염, 요로감염증, 종기 치료에 주로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항산화, 항염증, 항균 및 암세포 성장억제, 간손상 및 신경세포 사멸 억제, 카드뮴 독성 감소효과 등이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어성초 지상부의 에탄올 추출물 및 이의 헥센 분획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부탄올 분획물 및 물 잔류물을 조제하여 항혈전, 항당뇨, 항산화 및 적혈구용혈활성을 평가하였다. 어성초의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가장 높았으며, 상기 분획물은 5 mg/ml 농도에서 용매 대조구보다 2.09배, 2.19배 및 1.69배 연장된 TT, PT, aPTT를 보여 강력한 항혈전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DPPH, ABTS 및 nitrite radical에 대해 각각 30.9, 19.9 및 49.6 ㎍/ml의 RC50을 보여, 9.8, 5.2 및 11,8 ㎍/ml의 RC50를 나타낸 vitamin C의 항산화력에 비교되었다. 트롬빈 저해활성이 강력한 헥센 분획물이 강력한 적혈구 용혈활성을 나타내는 바와 달리, 상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1 mg/ml 농도까지 전혀 용혈활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는 어성초의 항혈전 활성에 대한 최초의 보고로, 어성초의 quercitirin, hyperoside, orientin 및 isoquercitrin이 항혈전 및 항산화 활성에 관련되어 제시하고 있으며, 향후 어성초를 이용한 기능성 항혈전 식품소재 개발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

하고초 추출물의 항혈전 효능 및 혈소판 응집 억제작용 (Antithrombotic and Antiplatelet Activity of Extract from Prunella vulgaris)

  • 양원경;성윤영;김호경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0호
    • /
    • pp.1422-1427
    • /
    • 2011
  • 한방생약제의 항혈전 및 혈소판 응집 억제 효능을 탐색하기 위하여 하고초의 물 추출물로 혈전 용해능 활성과 혈액 응고시간 지연효과 즉 PT (prothrombin time), APTT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와 혈소판 응집억제 활성 등에 대해 항혈전 효능을 평가하였다. 혈전용해도를 측정하는 fibrin plate가 용해되어 형성된 투명환의 넓이를 측정하는 실험을 진행한 결과 혈전용해도가 농도의존적으로 효능을 나타내었다. 혈액 응고 cascade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혈액 응고 시간 지연 및 단축 효과를 확인하고자 APTT와 PT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PT의 경우 10 mg/ml, 5 mg/ml의 경우에는 대조군보다 우수한 지연효과를 보였다. APTT의 경우에는 10 mg/ml, 5 mg/ml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매우 탁월한 지연효과를 보이고, 2.5 mg/ml, 1.25 mg/ml에서도 높은 지연효과를 나타냈다. 혈소판의 응집에 따라 형성되는 두 전극 사이에 형성된 전기적 저항의 변화로 나타나는 실험을 시행한 결과 하고초의 ADP와 collagen에서 뛰어난 응집억제 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위의 항혈전 효능평가 실험결과를 볼 때 하고초를 향후에 혈전 질환의 치료제 개발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항인지질 증후군과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환자에게 발생된 만성 폐혈전색전성 폐동맥 고혈압에 대해 시행한 혈전내막제거술 (Pulmonary Thromboendarterectomy for Chronic Thromboembolic Pulmonary Hypertension in a Patient with Antiphospholipid Syndrome and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 강필제;김정원;이재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12호
    • /
    • pp.867-870
    • /
    • 2007
  • 항인지질 증후군(antiphospholipid syndrome)은 정맥, 동맥의 혈전증, 혈소판 감소증, 반복적인 유산 등과 함께 lupus anticoagulant (LAC)와 anticardiolipin antibody (aCL)가 반복적으로 양성 반응을 보이는 질환을 말하며 호흡기 증후 발현은 상대적으로 드물다. 저자들은 항인지질 증후군 및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 환자에서 발생한 만성적인 폐혈전색전증에 대하여 폐동맥 내막절제술, 특히 원위부에 있는 폐혈전색전증을 왼쪽 폐의 대열을 분리한 뒤 좌하엽 구역 동맥을 절제하여 혈전색전 제거술을 성공적으로 시행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국내 최초로 보고하는 바이다.

생마 신선편이 제조를 위한 천연 향신료의 항균, 항산화 및 항혈전 활성 평가 (Evaluation for the Antimicrobial, Antioxidant and Antithrombosis Activity of Natural Spices for Fresh-cut yam.)

  • 류희영;배경화;금은주;박상조;이봉호;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652-657
    • /
    • 2007
  • 천연 향신료를 이용한 기능성 생마 신선편이 제조를 위해, 국내외에서 사용되는 향신료들을 대상으로 물 추출물 및 메탄을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향신료의 추출효율은 향신료에 따라, 추출용매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추출물들의 성분 분석 결과 향신료의 우수한 영양학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먼저 물 추출물들의 항균, 항산화 및 항혈전 활성을 검토한 결과, 물 추출물들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페퍼민트 추출물에서 트롬빈 타임이 26배 이상 연장되어 강력한 항혈전 활성을 확인하였으며, DPPH 소거능 평가결과 계피 및 로즈마리 추출물에서 각각 $61.3{\mu}g/ml$$84.3{\mu}g/ml$$IC_{50}$를 확인하였다. 한편 메탄을 추출물들에서는 타임, 생강, 및 계피 추출물이 생마 저온부패균에 대해 항균력을 나타내었으며, 로즈마리 추출물은 생마 저온부패균에 대한 항균력은 없었으나, 강력한 항충치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계피 및 산초 추출물에서 우수한 항혈전 활성을, 타임 및 계피 추출물에서 강력한 DPPH 소거능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항산화 및 항혈전 활성이 동시에 우수한 페퍼민트 및 계피 물 추출물들을 이용하여 기능성 생마 신선편이를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신선편이는 $4^{\circ}C$에서 24시간 보관 후에도 페퍼민트 및 계피 유래의 항산화 및 항혈전 활성을 유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천연 향신료를 이용하여, 저장성이 우수하면서, 기능성, 관능성이 강화된 신선편이 제조가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