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항산화소거능

검색결과 1,880건 처리시간 0.027초

흑마늘 용매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Solvent Fraction from Black Garlic)

  • 신정혜;이현지;강민정;이수정;성낙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7호
    • /
    • pp.933-940
    • /
    • 2010
  • 흑마늘의 기능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용매별 계통 분획물을 만들어 100, 250, 500 및 $1,000\;{\mu}g/mL$ 농도에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함량은 chloroform, ethyl acetate 및 hexane 분획물에서 유의적으로 높아 butanol, methanol 및 물 분획물에 비하여 5.5~11.6배 더 많았다. 흑마늘 계통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은 시료의 첨가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그 활성도 증가하였으며, chloroform과 ethyl acetate 분획물의 활성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1,000\;{\mu}g/mL$ 농도에서는 butanol과 물 분획물을 제외한 모든 시료 모두에서 50%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ABTS 라디칼 소거능의 경우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분획물에서 비교적 활성이 높아, $1,000\;{\mu}g/mL$ 농도에서는 70% 이상의 소거능을 보였다. $1,000\;{\mu}g/mL$ 농도에서 hydroxyl radical 소거능은 50.27~81.02%의 범위로 높은 반면 SOD 유사활성은 26.73~47.64%로 비교적 그 활성이 낮았다. Linoleic acid 반응계에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저장기간이 길수록, 시료의 첨가 농도가 높을수록 항산화 활성이 더 높았으며, 또 극성 용매보다는 비극성용매 분획물의 활성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아질산염 소거능의 경우 butanol 분획물을 제외한 모든 시료에서 비교적 그 활성이 높아 $100\;{\mu}g/mL$ 농도에서도 50% 이상의 소거능을 보였다.

구기자 추출물의 최적 항산화 추출조건 모니터링 (Monitoring for optimum antioxidant extraction condition of Gugija (Lycium chinensis Mill) extract)

  • 김학윤;이기동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451-460
    • /
    • 2017
  • 본 연구는 구기자 항산화 성분의 최적 추출과 항산화 활성의 변화를 모니터링 하였다. 건조 구기자의 추출 조건은 에탄올 농도($X_1$, 0~80%) 및 추출 시간($X_2$, 1~5 hr)이며, 종속변수로는 수율, 안토시아닌, 플라보노이드 및 DPPH 라디컬 소거능으로 반응표면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용성 고형분 수율, 안토시아닌, 플라보노이드 및 DPPH 라디컬 소거능에 대한 회귀식의 $R^2$은 각각 0.9066, 0.9859, 0.8645, 0.9464로 1~10%의 유의수준에서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건조 구기자 가용성 고형분 수율이 가장 높은 추출 조건은 에탄올 농도 8.25%에서 4.22 hr 추출한 것(23.12%)으로 나타났다. 안토시아닌이 가장 높은 추출 조건은 에탄올 농도 79.98%에서 3.06 hr 추출한 것(흡광도 1.43)으로 나타났다. 플라보노이드의 가장 높은 추출 조건은 에탄올 농도 67.02%에서 3.37 h 추출한 것($3,100{\mu}g/100g$)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DPPH 라디컬 소거능이 가장 높은 추출 조건은 에탄올 농도 69.81%에서 1.67 h 추출한 것(96.93%)으로 나타났다. 안토시아닌, 플라보노이드 및 DPPH 라디컬 소거능에 대한 등고선도를 겹쳐 그려 얻은 최적 조건(에탄올 농도 70% 및 추출 시간 2,5 hr)으로 추출된 추출물의 안토시아닌은 1.0080(흡광도) 이었으며,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3,145{\mu}g/100g$, 그리고 DPPH 라디컬 소거능은 97%로써 증류수로 1시간 추출한 대조구(안토시아닌 0.4652(흡광도), 플라보노이드 $1,633{\mu}g/100g$ 및 DPPH 라디컬 소거능 87%)에 비해 높은 항산화 성분 추출 및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연밥 조추출물의 항산화 효능에 관한 융합 연구 (Convergence study on the antioxidant effect of crude extracts of Nelumbo nucifera Gaertner)

  • 김현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53-58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glutamic acid, linoleic acid, 연밥의 ethyl acetate 조추출물 및 ethyl alcohol 조추출물의 항산화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항산화능을 알아보고자 DPPH 라디칼 소거능, 지질과산화능 및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 유사활성을 측정하였다. Glutamic acid, linoleic acid, 연밥의 ethyl acetate 조추출물 및 ethyl alcohol 조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DPPH 라디칼 소거능과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 유사활성을 증가시켰다. Glutamic acid, linoleic acid, 연밥의 ethyl acetate 조추출물 및 ethyl alcohol 조추출물은 대조군의 지질과산화의 증가에 비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반비례 양상으로 지질과산화가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연밥의 조추출물은 우수한 항산화능 물질이 존재 할 가능성을 제시하며 융합 연구를 통한 노화 방지 관련 의약품 개발 등에 응용되어질 수 있다.

복령균핵, 균사체 및 자실체의 추출용매별 생리활성 성분 비교 (Comparison of the biological activity of extracts from the mycelium, sclerotium, and fruiting body of Wolfiporia cocos (F.A. Wolf) Ryvarden & Gilb using different extraction solvents)

  • 안기홍;조재한;김옥태;이찬중;한재구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44-253
    • /
    • 2020
  • 복령 발달단계인 균사체(mycelium), 균핵(sclerotium) 및 자실체(fruiting body)에 대한 열수(hot-water), 70% 주정(70% EtOH) 및 70% 메탄올(70% MeOH) 용매별 생리활성 성분과 발달단계별 건조시료의 베타글루칸 및 아미노산 성분함량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발달단계별 시료 중에서 균사체의 DPPH 라디컬 소거능, 철 환원 항산화능, 환원력, 아질산염 소거능 및 총 폴리페놀 함량이 균핵과 자실체와 비교하여 유의적 차이를 보이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용매별 결과, 균사체의 경우 열수추출물(hot-water)에서 DPPH 라디컬 소거능, 철 환원 항산화능 및 총 폴리페놀 함량이 높았으며, 균핵은 70% 주정추출물(70% EtOH)에서 철 환원 항산화능 및 총 폴리페놀 함량이, 열수추출물(hot-water)에서 DPPH 라디컬 소거능, 환원력 및 아질산염 소거능이 높았으며, 자실체는 열수추출물(hot-water)에서 DPPH 라디컬 소거능, 환원력, 아질산염 소거능 및 총 폴리페놀 함량이 다른 용매추출물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균사체, 균핵 및 자실체 건조시료 중의 베타글루칸 함량은 균핵에서 균사체와 자실체에 비하여 월등히 높은 함량치를 나타냈다. 총 아미노산 및 총 필수아미노산 함량은 자실체와 균사체에서 균핵과 비교하여 월등히 높았으며, 그 중 알기닌(Arg)과 페닐알라닌(Phe)이 높게 검출되었다.

밤 귀피의 용매분획별 항산화 활성과 항산화 물질의 분리 (Antioxidative Activity of Solvent Fraction and Isolation of ANtioxidative Compound from Chestnut Husk)

  • 권은정;김영찬;권미선;김창섭;강우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726-731
    • /
    • 2001
  • 밤 가공공장에서 폐기되고 있는 밤의 귀피를 항산화 기능성 자원으로 활용하고자 밤 귀치의 methanol 추출물 및 용매획분을 benzoic acid 수산화법으로 hydroxyl radical 소거능과 ferric thiocyanate법으로 과산화물생성 억제능을 시험하였다. 대부분의 획분에서 항산화성을 보였으며 특히 ethyl acetate 획분에서 BHA나 $\alpha$-tocopherol과 거의 유사한 rkdgkshydroxyl radical 소거능과 지질과산화물생성 억제능을 보였다. Ethyl acetate 획분으로부터 항산화성 물질을 분리하기 위하여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 및 prep HPLC를 행하여 단일 물질로 정제하였다. 분리 정제된 물질을 $^{1}$H-NMR과 $^{13}$C-NMR로 구조 분석한 결과 gallic acid로 동정하였다. 페놀산을 GC로 분석한 결과 밤 귀피의 주요 페놀산으로 ellagic acid(172.22 mg%) 와 gallic acid(107.39 mg%)가 확인되었다.

  • PDF

당귀약침액의 Elastase 효소 활성과 DPPH, NO 소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ngelica$ $Gigantis$ Pharmacopuncture Extracts on the Elastase Activity and DPPH and NO Scavenging Activities)

  • 이세민;임성철;이윤규;김재수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8권6호
    • /
    • pp.35-42
    • /
    • 2011
  • 목적 : Elastin 섬유는 피부, 폐, 동맥, 정맥 등 조직에서 발견된다. Elastin 섬유의 손실은 대동맥, 동맥, 세동맥의 탄력 등과 연관되어 폐기종, 혈액순환 부전 및 폐동맥 고혈압을 악화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당귀약침액의 elastase 효소활성에 대한 효과와 항산화 효과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계획되었다. 방법 : 당귀약침액의 elastase 억제효과와 DPPH, 및 NO 소거능을 측정하여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결과 : 당귀약침액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elastase 활성 억제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통계적으로 강한 DPPH free radical 소거 효과가 관찰되었다. 그리고 NO 소거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그 효능은 pH 6.0에서 가장 강한 효능을 보였다. 결론 :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당귀약침액에는 유효한 elastase 활성 억제효과와 강한 항산화 효과가 있어, 폐기종 및 폐동맥 고혈압 치료에 유효한 작용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Malus huphensis, Ophiorrhiza cantonensis, Psychotria rubra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Malus huphensis, Ophiorrhiza cantonensis, and Psychotria rubra Ethanol Extracts)

  • 진경숙;권현주;김병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75-284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식물자원으로부터 생리활성을 보유한 새로운 기능성 소재를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종의 중국 자생 식물을 분석하여 강한 항산화능을 보유한 3종(Malus hupehensis, Ophiorrhiza cantonensis, 그리고 Psychotria rubra)을 선별하고, 각 추출물의 항산화능과 항염증 생리활성을 분석하였다. 먼저 각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DPPH radical 소거능을 통해 분석한 결과 모두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ascorbic acid와 유사한 정도의 높은 활성을 보여 각 소재가 매우 강한 항산화능을 보유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RAW 264.7 세포주에서 $H_2O_2$ 및 LPS에 의해 유도된 ROS에 대한 각 추출물의 소거능을 분석한 결과에서도 농도의존적인 강한 소거능을 보였다. 뿐만 아니라 대표적인 항산화효소 중 하나로 항산화능 보유 천연물에 의해 발현이 유도되는 HO-1 및 그 전사 인자인 Nrf-2의 단백질 발현이 각 추출물의 처리에 의해 증가됨을 보였다. 한편 각 소재가 LPS에 의해 유도된 NO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모두 농도의존적인 NO 생성 저해능을 보였으며 이는 NO 생성 단백질인 iNOS의 발현 저해에서 기인함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각 소재의 NO 생성 및 iNOS 발현 억제 효과는 염증 상위신호 전달계인 NF-${\kappa}B$ 및 AP-1의 조절을 통해 일어날 가능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중국 자생 식물 3종의 높은 항산화능과 항염증 활성을 처음으로 확인하였으며 향후 기능성 소재로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문합약침액(文蛤藥鍼液)의 Elastase 활성과 DPPH, NO 소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retrix Pharmacopuncture Extracts on the Elastase Activity and DPPH and NO Scavenging Activities)

  • 임강현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8권2호
    • /
    • pp.117-123
    • /
    • 2011
  • 목적 : 엘라스타제는 폐의 탄성 섬유를 파괴하여 폐기종과 폐고혈압을 유발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문합약침액(文蛤藥鍼液)의 엘라스타제 억제효능과 항산화효능을 측정하여 폐기종과 폐고혈압 치료의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실시하였다. 방법 : 문합약침액(文蛤藥鍼液)의 엘라스타제에 대한 억제효능과 di(phenyl)-(2,4,6-trinitrophenyl) iminoazanium (DPPH) 및 nitric oxide(NO) 자유기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결과 : 문합약침액(文蛤藥鍼液)은 엘라스타제 활성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억제하였고, DPPH 및 NO 자유기 소거능이 있음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확인하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문합약침액(文蛤藥鍼液)의 엘라스타제 억제효능과 항산화 효능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근거로 시험관 내 실험 이외의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폐기종과 폐고혈압 치료제로서 문합약침액(文蛤藥鍼液)의 활용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만두멍게와 분홍멍게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s of Ethanol Extracts of Aplidium pliciferum and Herdmania momus)

  • 강상모;류정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215-222
    • /
    • 2021
  • 본 연구는 해양자원인 만두멍게와 분홍멍게의 항산화 효과를 검증하여 기능성 화장품 소재 가능성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만두멍게와 분홍멍게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DPPH 소거능 및 ABTS 소거능, 폴리페놀 항산화 물질 함량, NO 생성 억제능 분석을 통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항산화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만두멍게와 분홍멍게의 추출물은 각종 radical(DPPH, ABTS, NO) 소거 효과 결과, 20 mg/ml 농도에서 DPPH는 만두멍게가 30.87±1.98%, 분홍멍게가 88.27±0.84%, ABTS는 만두멍게가 56.23±2.50%, 분홍멍게가 94.80±0.91%, NO는 만두멍게가 88.57±0.81%, 분홍멍게가 97.53±0.34%로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특히 총 폴리페놀 함량을 통해 분홍멍게의 항산화 물질 추출에 사용된 용매의 효율은 중요한 인자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항산화 효과가 뛰어난 분홍멍게를 주물질로 첨가하여 만두멍게와 분홍멍게를 조합한 기능성 화장품 개발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다.

제주조릿대 추출액을 활용한 식초 음료의 항산화 활성 연구 (Anti-oxidant Activities of Vinegar Beverage Containing Sasa quelpaertensis Nakai Extract)

  • 한정환;김성천;오한솔;이영주;박소정;고하나;이남호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2부
    • /
    • pp.733-736
    • /
    • 2010
  • 제주조릿대 잎 열수 추출 진액을 첨가한 식초음료를 개발하기 위해 항산화 활성을 관찰하였다. 항산화활성은 DPPH radical 소거활성, Hydroxyl radical 소거 활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Base 식초를 선택하기 위한 쌀 식초와 사과식초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에서는 식초 원액에 비해 제주조릿대를 첨가하였을 때 쌀 식초는 최대 68.07%증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고, 사과식초의 경우 78.74%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맛, 향, 단가, 항산화활성을 통하여 사과식초를 Base식초로 선택하였으며, Base식초와 제주조릿대 진액의 혼합비를 결정하기 위하여 배합율에 따른 항산화활성 연구에서는,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의 경우 제주조릿대의 비율이 높아짐에 따라 DPPH 라디칼 소거능 역시 증가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Hydroxyl 라디칼 소거활성의 경우, 제주조릿대 진액의 비율을 증가시킬 수록 활성이 조금씩 떨어졌으나, 대조군인 석류와 블루베리 식초에 비해서는 10%이상 높은 소거활성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