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항복치

Search Result 112,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기계적인 잔류응력 이완방법의 원리와 기계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

  • 김용완;김희진
    • Journal of Welding and Joining
    • /
    • v.5 no.2
    • /
    • pp.1-8
    • /
    • 1987
  • MSR 처리를 실제구조물에 적용하기 위해서 잔류응력과 기계적성질에 대하여 조사해 본 결과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MSR 처리는 소성변형을 유발시켜 높은 인장잔류응력을 감소시키는데 유효하며, 잔류응력이 낮은 부위에 대해서는 잔류응력 재배치에 따른 응력치의 변화가 수반된다. (2) 잔류응력 감소량은 MSR 하중에 비례하여 증가 한다. (3) 모재의 항복응력보다 낮은 하중으로 MSR 처리를 하면 충격치의 감소는 무시할 정도이지만 모재의 항복응력보다 높은 하중으로 행하면 응착금속에서 충격치의 감소가 현저하다. (4) MSR 처리를 하게되면 항복응력이 높아지고, 잔류응력이 감소해서 선형의 응력-스트레인의 관계를 가지는 범위가 넓어져서 구조적으로 안전한 상태가 된다.

  • PDF

Parmanent Grayvity Retaining Wall Displacment Due to Dynamic Loads (동적하중에 의한 중력식 옹벽의 영구변위)

  • 김성교
    •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26 no.1
    • /
    • pp.38-51
    • /
    • 1984
  • Mononobe-Okabe에 의해서 옹벽에 대한 동적 토압계산법이 개발된 이래 본론두중 옹벽의 과동에 의한 변위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Mononobe-Okabe식이 원래 옹벽 자체의 관성을 고려치 아니하였고 또 동적 하중의 작용점을 제시하지 않으므로서 전도모멘트를 계산할 수 없게 하므로서 옹벽의 전도에 의한 변위에 대해서는 연구가 되지 아니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해석적 방법과 모형실험을 통해서 지진 및 폭파 등의 동적 하중에 의한 옹벽의 전도에 의한 변위를 고찰하고자 하는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활동에 대한 항복가속도가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전도에 대한 항복가속도가 있다. 이 항복가속도는 옹벽의 안전율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다. 2. 이론치와 실험치는 경향으로 보아 일치한다. 실험치가 이론치보다 작은 것은 모형실험에서 옹벽측면과 컨테이너 사이의 마찰에 기인한 것으로 보아지며 마찰을 줄임으로써 이론치에 더 접근시킬 수 있을 것이다. 3. 옹벽의 회전각도의 크기는 지반가속도가 클수록, 옹벽저면이 작을수록 그리고 흙의 내부마찰각이 작을수록 크게 증가한다. 4. 실용적인 규격의 옹벽의 변위는 활동에 의한 것보다 전도에 의한 것이 훨씬 크며 전체 변위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5. 옹벽 상단의 횡적 변위는 옹벽 설계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

  • PDF

바셀린의 유동특성에 관한 연구

  • 김정화;송기원;이장우;이치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4.04a
    • /
    • pp.342-342
    • /
    • 1994
  • (1) 바셀린은 30 $^{\circ}C$ 이하에서는 항복치를 갖는 의소성 유동거동을 나타내며 이때의 유동특성은 Herschel-Bulkley의 유동모델과 일치한다. (2) 30-50 $^{\circ}C$ 범위에서는 Bingham 모델에 따른 이상 소성 유동 거동을 나타낸다. (3) 50 $^{\circ}C$ 이상의 고온에서는 항복치를 갖지 않는 순수한 Newton 점성유체로 간주할 수 있다. (4) 바셀린의 유동곡선은 전단속도의 단계적 증감에 따라 비가역적인 히스테리시스 루프를 그리나 루프의 면적은 온도 증가에 따라 감소한다. (5) 큰 전단속도로부터 급격히 낮은 전단속도를 부가하면 응력의 평형치에 도달할 때까지 상당한 시간을 필요로 한다. (6) 40 $^{\circ}C$ 이상 온도에서의 유동거동은 시간에 무관하다.

  • PDF

Estimation of the Local Load-Carrying Capacities of CFCT Column to H-Beam Connections by Yield Line Model -With regard to the Tensile side of Beam flange- (인장측 보플랜지의 항복선 모델을 이용한 CFCT기둥-H형강보 접합부의 국부내력평가)

  • Kang, Hyun Sik;Moon, Tae Sup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 /
    • v.10 no.3 s.36
    • /
    • pp.525-536
    • /
    • 1998
  •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a theoretical study on the local load-carrying capacities of Concrete-Filled Circular Tubular(CFCT) column to H-beam connections by yield line theory. In this paper, the three cases which are assumed the yield line are involved. The first model is a simplified yield line model. The second model is modified by x and kx factors. The last one is a Morita's model. The local load-carrying capacities of CFCT column to H-beam connections has been studied both experimentally and theoretically using the yield line theor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basic data for developing the non-diaphragm connection.

  • PDF

Measurement of Firmness in Apples Using Ultrasonic Techniques(II) -Development of the prediction model for apparent elastic modulus and bioyield strength of the apples- (초음파를 이용한 사과의 경도측정(II) -사과의 탄성계수 및 생물체항복강도 예측모델개발-)

  • Kim, M. S.;Seo, R.;Kim, K. B.;Jung, H. 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2a
    • /
    • pp.471-478
    • /
    • 2002
  • 초음파를 사과의 비파괴 품질판정에 이용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계측된 저장기간에 따른 사과의 초음파 특성과 본 연구에서 계측된 사과의 기계적 특성을 이용하여 초음파에 의한 사과의 탄성계수 및 생물체항복강도 예측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UTM을 이용하여 사과의 기계적 특성치를 분석하여 생물체항복점, 생물체항복변형량, 생물체항복강도, 파괴점, 극한변형량, 극한강도 및 탄성계수 등을 구하였다. 2. 사과의 기본 물성, 초음파 특성과 기계적 특성값 들을 분석한 결과 사과의 질량, 체적, 시간영역의 진폭(PTP), 제3영역 에너지 스펙트럼 밀도함수가 기계적 특성 중 생물체항복강도, 탄성계수와 높은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사과의 저장 기간, 질량, 체적, Peak-to-peak, 제3영역의 에너지값 등 5개의 독립변수를 가지는 다중선형회귀모형으로 사과의 탄성계수 및 생물체 항복강도 예측모형을 개발하였다.

  • PDF

Estimate of Bolt Connection Strength of Reinforced Glulam using Glass Fiber (유리섬유 보강집성재 볼트 접합부 전단내력 예측)

  • Kim, Keon-ho;Hong, Soon-il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44 no.1
    • /
    • pp.67-74
    • /
    • 2016
  • The yield shear strength of bolt connection in glass fiber reinforced glulam was predicted using a design-based equation, and was compared to the empirical yield shear strength. For the predicted equati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member (the elastic modulus, Poisson's ratio, shear modulus) was tested. The fracture toughness factor ($K_{ft}$) of glass fiber reinforced glulam was reflected to the revision of the design equation of bolted connection. The compressive strength properties to grain direction was influenced by annual ring angle and width of lamina. Compared with the revised yield shear strength of reinforced glulam, it was tended to be similar to the empirical yield shear strength on the diameter of bolt and the reinforcements. The revised yield shear strength from proposed formula of KBC was most appropriately matched in the bolt connection of the glass fiber reinforced glulam.

The Structural Design for Combustor Chamber of Liquid Rocket Engine (액체로켓엔진 연소기 챔버 구조 설계)

  • Chung Yong-Hyun;Ryu Chul-S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8 no.4
    • /
    • pp.36-42
    • /
    • 2004
  • The Properties of material, C18200 which is used for development of high performance liquid rocket engine combustor chamber were obtained by tension tests. The specimen for regenerative combustor was designed by structural analysis using that Properties. After the designed specimen was manufactured by the same manufacturing process of regenerative combustor. the yielding stress and yielding strain were obtained by strength tests. The properties of C18200 was degraded very much after brazing. The estimation of yielding pressure by structural analysis was almost same as that of strength test. The collector Part was yielded and failed previously than that of cooling channel part during strength test.

The Algorithm for Calculating the Base-Collector Breakdown Voltage of NPN BJT Using the Solution of the Poisson′s Equation (포아송 방정식의 해를 이용한 NPN BJT의 베이스- 컬렉터간 역방향 항복전압 추출 알고리즘)

  • 이은구;김태한;김철성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D
    • /
    • v.40 no.6
    • /
    • pp.384-392
    • /
    • 2003
  • The algorithm for calculating the base-collector breakdown voltage of NPN BJT for integrated circuits is proposed. The method of three-dimensional mesh generation to minimize the time required for device simulation is presented and the method for calculating the breakdown voltage using solutions of the Poisson´s equation is presented. To verify the proposed method, the breakdown voltage between base and collector of NPN BJT using 20V process and 30V process is compared with the measured data. The breakdown voltage from the proposed method of NPN BJT using 20V process shows an averaged relative error of 8.0% compared with the measured data and the breakdown voltage of NPN BJT using 30V process shows an averaged relative error of 4.3% compared with the measured data.

A study on the thermal embrittlement of Nb-containing cast duplex stainless steel (Nb이 첨가된 주조 2상 스테인리스강의 열취성에 관한 연구)

  • Song, Myeong-Ho;Kim, Yong-Gyu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 /
    • v.7 no.7
    • /
    • pp.623-631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주조 2상 스테인리스강의열시효에 대한 시효온도, 시효시간 및 Nb함유량의 영향을 관찰하기 위해 기계적 성질 및 조직을 조사하였으며 Nb을 함유한 주조 2상 스테인리스강의 파괴기구를 규명하기 위해 SEM에 의한 파단면 관찰과 WDS성분분석을 통해 파괴기구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시효온도와 시효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페라니트으 미소경도가 증가하였으며 항복강도의 경우 시효온도와 시효시간에는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Nb을 함유한 재료들이 Nb을 함유치 않은 재료들에 비해 다소 낮은 항복강도 값을 보였다. 충격흡수에너지 값은 시효시간 및 시효온도의 증가에 따라 시험된 모든 재료에서 저하되었는데 0.4% Nb을 함유하는 경우 Nb을 약간 함유하거나 함유치 않은 재료들에 비해 시효시간에 따라 급격한 감소 경향을 보였다. 파단면 관찰결과 페라이트 기지 또는 페라이트/오스테나이트 상경계에서 석출된 VbC를 비롯한 탄화물들이 취성저항성을 낮추는데 크게 기여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The Ultimate Load Capacity of Plates by Elastic-Perfectly Plastic Model (탄성-완전소성모델에 의한 평판의 극한내하력 산정)

  • 박진환;정우성;우광성
    • Journal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 /
    • v.12 no.1
    • /
    • pp.1-14
    • /
    • 1999
  • 선형탄성이론을 기초로 한 구조해석의 경우 사용하중상태에서의 변형과 응력은 만족할 만한 결과를 나타내지만, 항복후의 처짐과 파괴시의 극한하중 산정의 정확한 해석이 불가능하다. 평판의 극한해석시, 상한계 이론을 바탕으로 한 항복선 이론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이론적으로 평판의 강도를 과대평가하게 된다. 그러므로, 임의의 하중조건과 경계조건에 대한 비선형 거동과 극한내하력을 산정할 수 있는 해석기법이 필요하다. 평판의 정확한 극한하중을 위해 p-Version 유한요소법을 제안하며, p-Version의 해석치를 범용 구조해석 프로그램인 ADINA의 결과와 문헌의 이론치와 비교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