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항만문화

Search Result 175,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등대문화유산 실태조사를 통한 보존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부산.제주를 중심으로)

  • Lee, Eun-Seung;Ahn, Woo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06a
    • /
    • pp.189-191
    • /
    • 2014
  • 2003년 대한민국 등대 100주년을 기념하여 등대문화유산 관련 조사와 규정이 제정된 이래, 지난 10여 년 동안 다양한 노력을 통하여 많은 유산들이 보존되고 정리되었다. 그 결과 등대 관련 시설들이 전 국민에게 개방되어 새로운 해양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영역으로 자리잡고 있다. 때문에 등대문화유산이 어떻게 보존되고 활용되었으며 관리되고 있는가를 살펴보는 것은 기 지정된 등대문화유산 이외에도 새로운 유물을 발굴하고 보존 및 활용하기 위한 필수적인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으로 볼 때, 본 연구는 부산지방해양항만청과 부산지방해양항만청 제주해양관리단 관할에 있는 기 등록된 등대문화유산의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새롭게 등대문화유산으로 지정하여 보존하고 활용할 가치가 있는 건조물을 선정하고, 향후 등대문화유산의 보존 및 활용방안에 관해 필요한 사항을 정리 및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PDF

A Study on the introduction & expansion Strategy of New Maritime Culture in Korea (우리나라 새로운 해양문화의 도입과 확장 전략에 관한 연구)

  • Kim, Hong-Seop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26 no.4
    • /
    • pp.269-288
    • /
    • 2010
  • 21 C is called the age of Culture and it is underlined in all the Areas of Human lifes. Among all activities, Culture oriented Thinking and activities and strategies through and for Culture establishing are emphasized. As Sea may appear as a image of longing and challenge for the unknown world, Port is understood as a link which connect Sea and Land. Sea, Island and Port are the basis of human lifes, economic working areas and communication spaces with nature. Sea and Port have been changed in accordance with human History as the space of Life, Work, Play and Imagination. The Maritime activities has been developed as the type of a Culture, including various diversities according to the time and space. This Paper suggested a definition of Maritime Culture and Theoretical review and groped introduction and strategies and countermeasures for expansion of systematic Maritime Culture. Maritime Culture not only enhance the quality of Citizen life but also contribute the progress of National economy increasing the quality of Culture, Turism and Environment and the expectation of it has been enlarged. It is needed to introduce and expand Maritime Culture systematically through theoretical framework suggested by this paper, and additional research may be necessary for the detailed solutions and countermeasures.

문화적 접근을 통한 한국해양항만 인프라의 홍보 한국의 등대 화보집 발간 사례

  • Lee, Seon-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4.10a
    • /
    • pp.375-377
    • /
    • 2014
  • 항로표지인 등대를 중심으로 한 국내 해양문화의 브랜딩화 및 콘텐츠 개발 목적의 출판물 제작이 갖는 유용성을 살펴보고 2018년 IALA 총회 개최를 대비해 제작한 <한국의 등대> 화보집의 이용 방안을 모색한다.

  • PDF

해양문화 보급을 위한 상징화 방안연구

  • Kim, Bee-Ta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0.04a
    • /
    • pp.465-466
    • /
    • 2010
  • 해양문화를 시민과의 친숙한 문화 공감대로 확대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상징화 작업과 그 상징물의 관광자원화를 통한 해양문화의 보급과 상실된 한민족의 대양문화 회복에 대한 소고.

  • PDF

등대해양문화공간 스토리텔링에 따른 실질적 적용과 활성화방안 연구

  • Kim, Se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10a
    • /
    • pp.443-447
    • /
    • 2013
  • 홍보관, 영상관, 야외공연장 등 체험하며 소통할 수 있는 해양문화공간으로 조성하여 지역의 체계적이고 독자적인 문화콘텐츠를 연구하며, 지역 특성에 맞는 스토리텔링을 개발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와 등대만의 고유한 해양문화 관광 콘텐츠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PDF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등대해양문화공간의 활성화방안 연구

  • Hong, Gwa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10a
    • /
    • pp.328-331
    • /
    • 2012
  • 등대 시설을 홍보관, 전망대, 소공원 등을 갖춘 해양문화공간으로 조성하며 지역의 체계적이고 독자적인 문화콘텐츠를 연구하여 지역 특성에 맞는 스토리텔링을 개발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와 등대만의 고유한 해양문화 관광 콘텐츠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PDF

등대문화유산 실태조사를 통한 보존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마산청과 여수청을 중심으로)

  • An, Ung-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10a
    • /
    • pp.424-426
    • /
    • 2013
  • 2003년 대한민국 등대 100주년을 기념하여 등대문화유산 관련 조사와 규정이 제정된 이래, 지난 10여 년 동안 다양한 노력을 통하여 많은 유산들이 보존되고 정리되었다. 그 결과 등대관련 시설들이 전 국민을 대상으로 일반에게 개방되어 새로운 체험의 영역으로 자리잡기에 이르렀다. 때문에 지금의 시점에서 등대문화유산이 어떻게 보존되고 활용되었으며 관리되고 있는가를 살펴보는 것은 향후 지정된 유물들 이외에도 지속적으로 새로운 유물을 발굴하고 보존하기 위한 필수적인 작업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본 연구는 마산청과 여수청 관할에 있는 등대문화유산의 실태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통하여 미래를 위한 보존 및 활용방안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정리 및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PDF

이젠! EQ의 시대! 해양문화의 새로운 아이콘 탄생

  • Kim, Jeong-Sik;Choe, Yeong-Jong;U, Chang-Hun;Choe, Gyu-D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10a
    • /
    • pp.438-442
    • /
    • 2013
  • 능동지향적인 해양문화 공간조성을 위하여 건립된 감성체험관의 사례를 분석하여 미래지향적인 해양문화공간의 발전 방향을 제시.

  • PDF

해양문화공간 운영 활성화 방안 연구

  • Lee, Seung-Yeong;Lee, Tae-Hwan;Jo, Yeong-S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10a
    • /
    • pp.435-437
    • /
    • 2013
  • 문화자원으로서의가치를내재하고, 접근성이양호한 등대 중일부를 문화교육시설, 공공편의시설 등을 확충하여 등대해양문화공간으로 지정(운영)하고 있으나, 지역(등대)별 해양문화 공연 프로그램의 획일화 등에 따른 집객효과 저조로 다양한 문화컨텐츠 도입이 필요하며, 지자체 등 유관기관과의 협업을 통한 해양관광 개발 등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 하기 위한 방안을 연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