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함정승조원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5초

시스템엔지니어링과 CBD 방법론을 활용한 함정 승조원 수 추정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a Program for Estimating warship manpower using Systems Engineering and Component Based Development Methodology)

  • 황인혁
    • 시스템엔지니어링학술지
    • /
    • 제17권2호
    • /
    • pp.61-68
    • /
    • 2021
  • A decrease in the fertility rate leads to a reduction of troops, so the need to efficiently operate the troops is grow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ystem for estimating warship manpower. In this study, system development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CBD methodology. The user requirements were defined and the system function that satisfies the requirements was derived. And through the development process, the CBD methodology and the systems engineering process were compared. As a result, similarities were confirmed in the analysis and concept design stages, so the possibility of merging the two processes was suggested.

함정 전투성능 신뢰성 보장을 위한 승조원 수 적절성 시험평가 제한점 및 시험평가 제도 개선방안 (A Study of Test and Evaluation Methods for Manpower of System of System)

  • 안병준;송정호
    • 시스템엔지니어링학술지
    • /
    • 제20권1호
    • /
    • pp.16-25
    • /
    • 2024
  • By deriving the limitations of the test evaluation, it was intended to suggest a plan to improve the test evaluation system for the appropriateness of the number of ship crews according to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troops-saving ships. Currently, the number of crew members by ship type is confirmed and specified in the ROC(Operation Requirement Performance) in the early stages of design, such as conceptual design, but there is a limit to testing and evaluating the appropriateness of ensuring reliability of combat performance.

방위끌림이 없는 장애물에 대한 함정의 충돌회피 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riteria for Collision Avoidance of Naval Ships for Obstacles in Constant Bearing, Decreasing Range (CBDR))

  • 하정수;정연환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377-383
    • /
    • 2019
  • 항해 중인 함정은 늘 충돌 가능성이 존재하지만 충돌회피를 위한 명확한 기동지침은 없고 함교 당직사관의 직관적 판단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해 중인 함정이 방위끌림이 없는 장애물을 조우하는 상황에서 함교 당직사관을 대상으로 언제 어떻게 충돌을 회피하는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를 활용하여 방위끌림이 없는 장애물 조우 상황, 주·야간 충돌 회피 방법을 분석하였다. 조함이 까다로운 지역은 평택, 목포 순이었고, 주로 협수로 내에서 발생하였다. 빈도는 4시간 항해 시 평균 1회 정도로 나타났으며, 1:1 조우 상황보다 다수 선박 조우가 많았다. 충돌침로 확인 시 전자해도보다 육안 확인 결과를 더 신뢰하였고, 충돌회피 고려 요소로 최단 접근거리, 최단 접근시간을 우선시하였다. 피항의무선과 침로유지선의 충돌회피 기동상 특별한 차이는 없었지만 주·야간 시 최단 접근거리의 차이는 존재했다. 충돌회피 시 대부분의 항해사들은 변침·변속을 함께 사용하는 것을 선호하며 타각 10~15°, 변속 ±5knots, 변침침로는 타함 함미 정방향에서 함미 가중치를 두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승조원들에게 부임 함정의 충돌 회피 기준을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나아가 AI, 빅데이터 기반의 무인함정 충돌회피 알고리즘 개발에도 적용될 것이다.

해군함정 승조원들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Job Stresses on Turnover Intentions and Job Satisfactions)

  • 노광호
    • Strategy21
    • /
    • 통권44호
    • /
    • pp.377-416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job stresses perceived by R.O.K. naval crews on turnover intentions and job satisfactions. Especially, this study aims to derive the policy implication for the trait characteristics by comparing the job attitude between the surface naval ship and submarine crew. For this purpose, we surveyed 1,000 naval crews. The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Next, a T-test was conducted to test statistical significance of group differences. First, the job stresses perceived by naval crews were higher in the order of physical environments, overworks, compensation incompetence, lacks of autonomy, and conflicts with people. Second, the job stresses perceived by submarine crews were higher than that of surface naval ship crews. It was also proved statistically significant by the T-test. Third, the physical environments, lacks of autonomy, conflicts of relativity, and inadequate compensation stress have a positi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s of naval crews. Fourth, lacks of autonomy, conflicts of relativity, and inadequate compensation factors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s of naval crews. Final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etween the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of the naval crews, and the policy implications were derived.

함정 적정 승조원 수 분석을 위한 시뮬레이션 환경 구성 방법 개발 (Development of simulation environment configuration method for analyzing the Number of Crew on the Warship)

  • 정연환;황인혁
    • 시스템엔지니어링학술지
    • /
    • 제18권2호
    • /
    • pp.117-125
    • /
    • 2022
  • In the early 2000s, the rapid decline in the fertility rate resulted in a decrease in military resources to maintain the conscription system. In addition, there has been a further decline in the fertility rate in recent years. So, it is necessary to efficiently utilize military resources to prepare for future problems. The Republic of Korea Navy is planning to reduce the number of crew to operate the newly built warships to prepare for this trend of decreasing in troop resources. However, if the number of crew is reduced without reviewing the appropriate number of crew for the operation of the warship, a bigger problem may be encountered in the futu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research is being conducted to examine whether the number of crew aboard a warship is appropriate using simulation. However, it is difficult to create a crew simulation model due to the lack of detailed data related to crew operation. In this study, to solve this problem, a method of generating quantitative data using qualitative survey results was suggested, and the process of creating a crew simulation model was performed using this.

항공 MRO산업 분석을 통한 해군 MRO 발전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Development of Naval MRO through the Analysis of Aviation MRO Industry)

  • 신승민;오경원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130-138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항공 MRO와 해군함정 MRO 산업의 기술공통점을 찾아 국내 MRO 산업규모를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했다. 항공 MRO산업는 유럽과 북미, 싱가폴에서 주도하고 있다. 유럽과 북미는 항공산업 규모가 매우 크다. 그리고 싱가폴에서 MRO산업이 발전한 이유는 항공 MRO와 선박 MRO 산업이 모여 산업규모를 확대했기 때문이다. MRO분야는 연구개발, 생산, 제조, 운용, 폐기 및 승조원 교육훈련까지 전 분야에 걸친 산업이다. MRO산업은 군수용과 민수용으로 구분된다. 하지만 대부분 사용자의 요구사양 차이일 뿐 기술적 차이는 크게 없다. 군이 사용하는 무기체계는 꾸준하게 발전하고 있다. 병력이 감축되는 시기에 군이 모든 장비를 유지보수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 때문에 각 분야별로 역할 분담 필요하다. 모든 무기체계를 최적 성능으로 유지하기 위해 민과 군이 협력하는 MRO 산업 필요하다. 그리고 MRO 산업육성은 민수를 기반으로 이뤄져야 한다. 항공기와 해군함정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장비를 모아 MRO 산업규모를 확대해야 한다. 이를 통해 군의 가용성 확대와 정비예산을 절감할 수 있다.

신세대의 특성에 따른 해군 인력 활용의 과제 - 또 다른 신세대, Z세대 관점에서의 고찰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Naval Personnel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New Generations: Discussion from the Perspective of Generation Z, a Newly Emerging Generation)

  • 민승운;김성열
    • 해양안보
    • /
    • 제4권1호
    • /
    • pp.57-82
    • /
    • 2022
  • 이 논문은 Z세대의 관점에서 현재 해군 인력 활용 체제의 한계점에 관해 탐구하고 개선방안을 고찰하는 논문이다. 밀레니얼 세대에 이어 Z세대가 등장하고 있고, 군 인력구성에서의 비율 또한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해군의 임무 특성상 X세대와 다른 특성을 가진 밀레니얼 세대와 또 다른 특성이 있는 Z세대와의 융합은 필연적으로 고찰해야 하는 과제 중 하나이다. 좁은 함정(艦艇)이라는 공간에는 폭넓은 임무 수행을 위해 수많은 장비를 탑재하고 이를 24시간 동안 동등한 수준의 전투력으로 운영할 많은 수의 승조원이 함께 생활하게 되는데, 이러한 특수한 작전환경에서 승조원 간 세대 갈등은 크나큰 전투력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 신세대 장병은 이전 세대와 다른 측면에서의 사회적 어려움을 겪고 있고 군에 대한 가치관이 서로 다르기에, 그들 간의 진정한 화합을 위해서는 각 세대의 가치관의 차이점에 대해 자세히 탐구하고 군 조직은 이러한 변화에 대해 적절한 대처를 하고 있는지 검토해 보아야 한다. 이에 따라, 1장과 2장에서 기성세대와 구분되는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의 성장기에 겪었던 환경과 이를 바탕으로 형성된 가치관에 대해 알아보고 세대 간 갈등의 해결 필요성을 제기한다. 3장에서는 군사 강국이 MZ세대와의 공존을 위해 시행 중인 방안 분석을 통해 교훈을 도출한다. 4장에서는 해군만의 특수한 작전 환경에 대해 살펴보고, 현재 한국 해군의 인력 활용의 현주소를 수병, 부사관, 장교, 정책적 차원으로 살펴보면서 세대 간 융합의 장애 요소를 식별하고 이에 대응한 개략적인 해결방안을 제시한다. 5장에서는 세대 간 특성 인식을 통한 진정한 공감의 필요성과 기술 중심군인 해군에게 인력 활용 문제 해결의 중요성을 재고하며 향후 인력 활용 문제 및 세대 간 갈등 문제를 해결한 해군 조직의 기대상에 대해 서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