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 후의 현대적 의미

Search Result 19, Processing Time 0.03 seconds

Modem Meaning of Han Chinese Clothing(韓服) (한 후의 현대적 의미)

  • Ho, Wei;Lee, Eun-Young
    •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and Costume Design Association
    • /
    • v.11 no.1
    • /
    • pp.99-109
    • /
    • 2009
  • 한 후란 중국의 전통 복장을 말하는 것이다. 한 장 (漢裝) 이라고도 하며 고대 복장이라고도 한다. 영어로는 silk robe라고도 한다. 한 후는 한 나라 이후 명나라까지 만주가 정복하기 전인 1644년까지 입혀졌던 중국의 전통복장이다. 최근 중국에서도 전통복장에 대한 새로운 모색이 일어나고 있다. 중국 전통복식으로 대표되는 치파오는 만주족의 한족 말살 정책의 일환으로 간소화시킨 복식이다. 따라서 중국 전통의복은 만주족에 의해 사양길을 가기 전 고대 한 조의 복식이 중국전통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다. 전통적인 한 후 스타일은 벨트를 매며 여밈이 있고 좁은 소매 혹은 넓은 소매가 특징이다. 한 족이 한 나라, 상 왕조, 송나라, 당나라때 입었던 한 후가 중국의 복식을 대표하는 복식이며 주나라의 쉔의는 튜닉과 스타일의 결합으로서 아직도 상류그룹이 입고 있다. 당나라에서는 동방의 문화와 혼합되어 화려하거나 사치스럽게 수정되었고 만주가 침범하여 한 후는 더 이상 전통복으로 입히지 못하였다. 한 후의 현대적 의미를 볼 때 역사적으로는 베트남에서 기모노에 이르기까지 그 원형을 볼 수 있고 한 후를 통해 중국전통 복식의 원류를 찾을 수 있다. 연구방법으로 문헌과 시각자료를 활용하였다. 한 후의 현대적 의미는 전통의 새로운 자각과 세계화 현대화의 노력이라 할 수 있다. 치파오로 규정된 중국복식에 반해 전통 한 후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활용은 세계화와 오리엔탈이미지에 녹아 있는 한 후 디자인 디테일을 통해 현대적 모색을 활용하고 있다. 충분한 시각 자료가 부족하지만 현대적 노력이 앞으로의 중국이미지의 재고를 가져올 것이다.

  • PDF

Restoration of gold guilding on Geumdong-samjonpanbul excavated from Walji, Gyeongju using plum acid & gold(Au)-mercury(Hg) amalgam (매실산과 금아말감을 이용한 월지 출토 금동삼존판불의 금도금법 복원)

  • Yun, Yong-Hyeon;Jo, Nam-Cheol;Lee, Tae-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8.06a
    • /
    • pp.6-6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고문헌에 기록된 도금 재료와 도금법 등을 확인하고 이를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매실산을 사용한 금(Au)-수은(Hg) 아말감기법으로 고대 도금(鍍金)기술을 되살리고, 이를 토대로 경주 월지에서 출토된 금동삼존판불을 복원하였다. 먼저, 전통 도금법을 되살리기 위해서, "오주서종박물고변", "확지신편", 조선시대 각종 의궤 등에 공통적으로 기록되어 있는 매실에 주목하고, 매실을 3~4개월 발효 숙성 후 착즙한 뒤 그것을 농축하여 만든 매실산을 도금 실험에 적용하였다. 금아말감 도금을 위하여 월지 출토 금동삼존판불의 바탕소지금속인 청동삼존판불을 구리와 주석 89:11(Cu:6kg, Su:750g)로 합금하여 주물사 주조법으로 복원하였으며, 동일한 합금비로 제작된 $2.3cm{\times}3.5cm$(가로${\times}$세로)의 시편에 사전 실험을 실시하였다. 현대적 산처리 방식에 사용되는 질산과 전통방식으로 사용되는 매실산으로 시편에 산처리 한 후 각각 비교해 보고, 금분과 금박, 상온과 가온에 따른 아말감상태를 비교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는데, 실험에 사용된 매실산 70%는 pH가 1.94로, 오늘날 산처리에 사용하고 있는 질산 20%와는 차이가 있지만, 청동 시편 실험을 통해 매실산에 20분 정도 담근 뒤 금아말감을 도포 후 24시간 지나 가열($380{\sim}400^{\circ}C$) 했을 때 금도금이 잘 되어, 현대적 방법인 질산처리로 도금을 한 시편과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사전 실험을 통한 결과를 적용한 월지 출토 금동삼존판불 복원은 청동삼존판불 표면처리, 금-수은 합금 및 도금하기, 도금 후 표면처리의 순서로 진행되었는데, 금과 소지금속의 밀착력을 높이기 위해 표면을 숯을 이용해 탈지한 후 물로 씻어내고 매실산을 도포하여 20분 동안 두어 부식 및 세척을 시행하였다. 금도금을 위한 금-수은아말감은 가온할 때 수은이 증발하는 양을 고려하여 금1 : 수은10 비율로 합금하여 완성하였으며, 금아말감 도포 후 약 24시간 지난 다음, $380{\sim}400^{\circ}C$에 가열하여 수은을 기화시켜 도금작업을 완성하였다. 금아말감도금은 평균적으로 6~7차례 시행하여야 완벽히 도금되지만, 본 연구에서는 단 4차례의 도금만으로 금아말감도금을 완성시켰는데, 이것은 금아말감을 바탕소지인 청동에 도포한 후 24시간 동안 금아말감과 청동과의 반응 시간을 두게한 것이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이며, 이는 청동시편을 이용한 실험과 과학적 분석을 통하여 입증하였다. SEM으로 표면을 관찰한 결과 아말감 도포시간이 즉시인 경우 도금이 거의 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36시간이 넘어갈 경우 금 도금층이 불균일하게 관찰되었으므로 도금시간은 12시간~24시간 이내가 적절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EDS로 성분을 분석한 결과 산처리 시간이 20분인 시료의 경우 5 wt% 내외로 수은의 비율이 다른 시료에 비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 및 분석결과 산처리 시간이 20분이고 아말감 도포시간이 24시간일 때 도금이 잘 이루어지므로 이 결과를 토대로 금동삼존판불을 복원하였다. 이번 연구를 통해 도금법에 표면을 세척하고 부식시키기 위해 사용한 물질이 매실산임을 찾아내어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러한 점 에서 이 연구의 가장 큰 의미는 전통 소재와 기술을 복원한 것으로, 앞으로 매실산을 이용한 금 도금기술은 관련 학계에도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생분해성 신기능 고분자물질의 영역과 개발 동향

  • 이용현
    • The Microorganisms and Industry
    • /
    • v.18 no.1
    • /
    • pp.14-22
    • /
    • 1992
  • 과학기술의 진보는 천연 고분자물질을 대체하는 새로운 기능을 갖는 합성 플라스틱의 개발을 촉진시켰으며, 합성 플라스틱이 갖는 독특한 물성, 안정된 공급, 싼가격 그리고 제조 및 가공의 용이성 등의 장점으로 인해 천연소재의 한계와 제약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었고, 플라스틱을 중심으로 다양한 고분자물질이 개발되어 현대 과학문명의 한 특징중의 하나인 "플라스틱 문명"을 구축해 왔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 현재 상품화 되어 있는 플라스틱은 사용 후 분해되지 않고 반영구적이기 때문에 사용된 폐 플라스틱에 의한 환경오염문제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사용시 편리성 및 내구성만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킨 합성 플라스틱을 대체할 수 있는, 사용후 붕괴 또는 분해되어 자연의 순환사이클로 흡수됨으로써 환경 오염의 문제를 배제할 수 있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내지는 좀더 넓은 의미인 "생분해성 고분자물질"이라는 새로운 기능을 가진 고분자물질에 대한 사회적인 요구가 급속히 높아가고 있다.분자물질에 대한 사회적인 요구가 급속히 높아가고 있다.

  • PDF

A Study on Design Features of Unisex Young Casual Wear (유니섹스 영 캐주얼웨어의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 김현순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
    • v.51 no.6
    • /
    • pp.85-99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유니섹스 영 캐주얼웨어의 국내브랜드를 중심으로 고찰한 후 그 디자인 특성에 대해 살펴보고 한 시대의 패션현상을 규명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국내 패션시장의 유니섹스 영 캐주얼웨어에 대한 디자인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신세대의 하위문화와 국내브랜드 시장조사를 통한 유니섹스 영 캐주얼웨어의 동향에 대한 일반적 고찰을 한 후 영 캐주얼웨어의 브랜드를 디자인의 차이에 따라 분류하고, 그 디자인 특성을 컬러, 소재, 스타일, 아이템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00 S/S, '00 F/W의 유니섹스 영 캐주얼웨어 브랜드를 중심으로 고찰해 보고자 패션 정보잡지와 인터넷의 패션사이트를 검색하였다. 유니섹스 영 캐주얼웨어의 브랜드별 시장조사를 통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영상매체, 대중음악. 스포츠, 스타문화로 나타난 신세대의 하위문화는 탈중심성, 탈국경화, 의미의 해체 등의 포스트모던적 문화현상이며. 유니섹스 영 캐주얼웨어는 자유와 개성을 추구하는 신세대의 라이프 스타일을 잘 반영한 하위문화의 복식양식으로서 현대 패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2. 기성복업체는 신세대가 가지고 있는 새로운 욕구와 감성을 겨냥한 브랜드를 개발하고 판매촉진을 위해 전력을 다하는 과정에서 신세대의 하위문화를 반영한 유니섹스 영 캐주얼웨어의 일반적인 복식양식을 형성하였다. 3. 국내시장의 유니섹스 영 캐주얼웨어는 디자인 특성에 따라 컴포터블 캐주얼웨어, 스포츠 캐주얼웨어, 힙합 캐주얼웨어로 구분된다.

  • PDF

The effectiveness of the change in perspective of the nature of science depending on subjects of the history of science-role play -The atomic model transition and the Mendeleev's periodic table - (과학사 주제에 따른 과학사-역할놀이가 대학생의 과학의 본성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 -원자모형의 변천과 멘델레프의 주기율표의 변천 주제를 중심으로-)

  • Kim, Do Wook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
    • v.39 no.1
    • /
    • pp.15-27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of the change in perspective of the nature of science depending on subjects of the history of science, after designing for two kinds of topics of role play programs based on the history of science to be transformed into a modern perspective. Before the history of science-role plays, the degree of the modern perspective was statistically no difference between group I(the atomic model transition-role play) and group II(the Mendeleev's periodic table-role play). However after treatment of the history of science-role plays for the each group, the degree of group I was higher than the degree of group II in the modern perspectiv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degree of changes into modern perspective of the nature of science by performing a history of science-role play may be depend on the subject of the history of science combined with the role play, and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may be more effective to change the nature of science into the modern perspective, in case of performing of role play based on the history of science that includes the scientific knowledge established by a number of scientists with time series.

  • PDF

Matsuri and Shinsen : Centering on the Rites of Ise Shrine and Emperor (마쓰리(祭)와 신찬(神饌): 이세신궁과 천황의 제사를 중심으로)

  • Park, Kyutae
    • The Critical Review of Religion and Culture
    • /
    • no.32
    • /
    • pp.13-54
    • /
    • 2017
  • The Ise Grand Shrine(伊勢神宮) dedicated to the sun goddess Amaterasu (天照大神), located in the city of Ise(伊勢市), Mie Prefecture of Japan, is a center of Japanese Shinto Shrines and composed of a large number of Shinto shrines centered on two main shrines, Naiku(內宮=皇大神宮) and Geku(外宮= 豊受大神宮). Historically it has kept very close relationship with Emperor, because its enshrined deity Amaterasu is generally said to be the ancestor of Imperial Family. The food and alcohol offering to the gods in Japanese Shinto rites are called Shinsen(神饌, ambrosia). Main subjects of this essay dealing with Shinsen are the various matsuri (rites) of Ise Grand Shrine and Emperor, such as Higoto-asayu-omike-sai(日別朝夕大御饌祭, offering repasts to the gods in the moring and evening everyday), Kan-name-sai(神嘗祭, offering of the year's new rice harvest), Shikinen-sengu-sai(式年遷宮祭, year of the ceremony), Nii-name-sai(新嘗祭, Ceremonial offering by the Emperor of newly-harvested rice to the gods), and Daijo-sai(大嘗祭, first ceremonial offering of rice by newly-enthroned Emperor). Then,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examine not only the social, religious, and political but also cultural meaning of Shinsen especially in relation to Korea, basically introducing som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Shinsen with its mythological background and historical development. In so doing, I will show the concrete list of items and processes of Shinsen in those rites. For example, the social meaning of Shinsen might be examined in association with agricultural features, ancient dietary life, Japanese food, and its contemporary context etc. Besides, its religious meaning can be mentioned especially from the perspective of divine nature, life and rebirth etc. On the other hand, the politics was in ancient Japan originally called Matsurigoto which means the ancestral rites for gods. This suggests the political meaning of Shinsen that the politics in Japan has originated from Shinsen.

Son Preference and Factors of Efforts for Seeking at Least One Son Among Multipara in Taegu (대구지역 경산부의 남아 선호의식 및 아들 낳기 노력의 영향력에 관한 연구)

  • 김한곤;이미경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2 no.2
    • /
    • pp.73-96
    • /
    • 1999
  • 본 연구의 목적은 1980년대 중반부터 약 10여년 동안 현저한 출생시 성비불균형을 경험한 대구지역의 경산부들을 대상으로 아들을 낳기 위한 노력에 미치는 요인들을 밝히는데 있다. 1998년 4월부터 6월까지의 3개월동안 대구지역의 6개 종합병원에 내원한 임산부들 가운데 출산 경험이 있는 경산부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자료를 사용하였으며 경산부의 아들 낳기 노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도입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대구지역의 경산부들은 여성에 대한 성차별을 많이 느끼고 있을 뿐만 아니라 아들 선호의식 역시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들의 24.7%는 임신 전 아들을 낳기 위한 노력은 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12.2%는 태아의 선별적 인공유산을 통하여 아들을 낳기 위한 노력을 시도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에 따르면 여성에 대한 성차별, 아들선호의식, 자녀 가운데 아들이 없는 경우, 인공임신중절수술 및 연령 등의 요인들이 조사대상자들의 아들을 낳기 위한 노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보아 대구지역의 출생시 성비가 다른 지역보다 높은 이유는 아들을 선호하고 여성을 차별하는 의식의 기반이 되었던 과거 농경 중심사회의 오랜 전통이 상대적으로 많이 남아있는 보수적인 성향의 결과라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성향이 소자녀관으로 변화된 현대에 있어도 아들 하나는 꼭 낳아야겠다는 강한 집념이 현대 의료기기의 발달 및 보급과 의료인들의 영리추구와 이해관계가 부합됨으로써 생겨난 결과로 볼 수 있다. 시설입소의 인종간 차이를 통제할 때 소수인종노인이 백인노인보다 쉽게 자녀동거에서 단독거주로 이행하는데 이는 소수인종에서 가족부양체계가 불안정함을 의미한다. 또한 빈곤시에 소수인종 노인은 백인노인에 비하여 쉽게 자녀와 떨어져 살게 된다. 이러한 결과는 소수인종 노인에 대한 가족의 지원은 그 가족의 경제적 제약속에서 매우 안정적이지 못함을 시사한다. 못함을 시사한다.로 판단된다.(가솔린, 등유, 경유)로 회수 가능하였다..01 (n=10), 4세포기배는 1.05$\pm$0.09 (n=10)를 나타냄으로써 수정란의 단계마다 $E_2$의 반응 결과가 차이가 남을 알 수 있었다. 4. $E_2$농도 곡선에서 PMSG 처리 후 $E_2$의 혈중농도는 계속적인 상승을 보이다가 배란시기에 최고치를 나타내었으며, 배란 후 다시 감소하여 8세포기에서는 급격한 감소현상이 나타났다. 이후 다시 상실기를 거쳐 배반포기 임신기간동안 $E_2$의 농도가 상승하였다. 5. $E_2$처리 후 세포내 $Ca^{2+}$ 농도변화의 결과로, $E_2$를 처리하지 않은 난자들의 세포내 $Ca^{2+}$ 농도는 836.4$\pm$131.2 (n=10), $E_2$를 처리한 난자들은 1736.4$\pm$192.0 (n=10)로써 유의한 (P<0.05)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E_2$처리에 의한 세포내

  • PDF

A Study on Planning Open Space between Civic Buildings as an Active Place (적극적 장소로서의 도심의 건물 외부 오픈 스페이스 환경 계획에 관한 연구)

  • 김혜원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4
    • /
    • pp.141-150
    • /
    • 1996
  • In recent years space planning for modern city has been accomplished through scientific high technique and computer supported collaborative work. Relatively human being is treated as a component of the space or whole building and according to the social structure people tend to prefer private space. The necessity of the open space as an active place is emphasized now because the interaction created between users of the space and the nature, surrounding environment can influence on improving quality of outdoor life and giving the place specific identity. In this paper three ways of analyses of components which compose the open space are studied. Especially through the process of analyses derived from differenet areas, the necessity of communication model in collaborative work is proposed.

  • PDF

A study of Exhibition Planning based on the Installation Art - Focused on an Environmental Poster Exhibition - (설치미술의 배경과 전시디자인에 관한연구 - 국제교류 환경포스터 디자인전을 중심으로 -)

  • Shin, Seong-Ho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9 no.12
    • /
    • pp.173-180
    • /
    • 2009
  • Increased appetite for art and design due to improving the economic standard of living and industrial community recognized the value of art in the profitable aspect currently demands various exhibitions in various environments. These social needs and changes in corporate culture to meet the rapidly expanding opportunities for artistic exhibitions, and this modern exhibition outside of the conventional gallery requires more for designers to work with various exhibition spaces, and the opportunities are increasing further. Various types of exhibition space in the exhibition planning an unspecified environment best suited to each exhibit space has been designed to require. This comprehensive study of an environmental poster exhibition held in the Seoul Institute of the Arts, MA-block lobby during 2009.06.10-06.19 was a part of the international exchange projects between Seoul Institute of the Arts and California State University, Northridge. Planning and designing throughout the exhibition in an unspecified space for exhibition requires more creativity and flexible approaches than in the general exhibition gallery.

A Study on the Art Education Program Based on Cultural Diversity: Focused on the Case of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서울어젠다 기반 문화다양성 미술관교육 프로그램 분석 및 방향 - 국립현대미술관 사례를 중심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