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Art Education Program Based on Cultural Diversity: Focused on the Case of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서울어젠다 기반 문화다양성 미술관교육 프로그램 분석 및 방향 - 국립현대미술관 사례를 중심으로 -

  • 황지영 (국립현대미술관 교육문화과) ;
  • 홍해지 (국립현대미술관 교육문화과)
  • Received : 2020.01.12
  • Accepted : 2020.02.10
  • Published : 2020.02.28

Abstract

In this study, the announced in 2010 was used to identify the flow of social value expansion on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and to provide the future direction. In the context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cultural diversity is an important agenda, and thus the case of cultural diversity program by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was analyzed to discuss the social role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To summarize the findings, it is a program of promoting understanding on the diversity of art in the same period and various identifies of the members of our society through the exhibition of «Artist of the Year», and it is a program on cultural diversity of understanding the diversity and identity of various members in our society through the contemporary artwork. Through theme-based approach, education on cultural diversity and cooperative learning were applied to develop the sense of community. Based on the core values of education on cultural diversity,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program on performed total of 80 times on 14 programs in 2017-2019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 analysis showed 9 core values, and the core values of education on cultural diversity derived through the content analysis of the education program on were ① Engagement, ② Conversation, ③ Citizenship, ④ Coexistence, ⑤ Human Rights, ⑥ Difference, ⑦ Equality, ⑧ Cooperation, ⑨ Solidarity. As the space enhancing the cultural engagement, the art museum is a place for realizing the value on cultural diversity, so it has significance as the space that embraces both cultural diversity and culture and art education. In this sense, it was identified that the discussion on the cultural diversity and culture and art education was being expanded into the perspective of various groups and communities in our society through the core values of engagement, conversation, citizenship, coexistence, human rights, difference, equality, cooperation, solidarity and direction, which were provided by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on the art museum education program on cultural diversity in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본 연구는 2010년 발표된 <서울어젠다: 예술교육 발전목표>를 기반으로 한 문화예술교육의 사회적 가치 확산의 흐름을 파악하고 앞으로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문화예술교육 맥락에서 문화다양성은 중요한 의제로서, 국립현대미술관 문화다양성 프로그램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논의를 이어가고자 한다. 선행연구 조사를 통해 문화다양성 교육의 핵심가치 관점에서 국립현대미술관 문화다양성 미술관교육프로그램의 내용 분석 후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2017년부터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운영된 문화 다양성 교육프로그램 <어떤 시선>은 주제 중심 접근을 통한 문화다양성의 이해와 증진, 협동학습을 통한 공동체 의식 함양을 목표로 하고 있다. 김영천(2012)의 연구결과에 따른 문화다양성 교육 핵심가치를 토대로 2017-2019년까지 총 80회 운영된 교육프로그램 <어떤 시선>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포용, 대화, 시민성, 공존, 인권, 차이, 평등, 협력, 연대 9가지 문화다양성 교육 핵심가치를 중심으로 운영되었음이 분석되었다. 문화적 포용력을 증진시키는 공간으로서 미술관은 문화다양성에 대한 가치가 실현되는 곳이므로 문화다양성과 문화예술교육을 아우르는 공간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포용, 대화, 시민성, 공존, 인권, 차이, 평등, 협력, 연대의 방향성을 미술관교육에 담고 있었으며 우리 사회 내 다양한 집단, 공동체의 관점으로 문화다양성과 문화예술교육의 논의가 확장됨을 파악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동석(2006),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의 요소들이 교육효과와 학습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모란 미술관의 청소년 대상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예술경영연구」, 10: 62-83.
  2. 김수미(2007), 다문화 미술의 수용을 위한 주제중심 비평적 감상활동 방안연구,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미술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3. 김인설(2018), 「2018 서울어젠다 이행실적 점검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1-23.
  4. 김정희(2005), 미술교과의 사회적 기능을 강조한 주제 중심 통합교육: '안면도 프로젝트 사례 중심으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논총」, 25(2): 21-42.
  5. 김종아(2014), 다문화사회 박물관의 문화다양성 교육 실천에 관한 질적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6. 류정아(2018), 「문화다양성 정책 평가지표 개발 및 시범평가 연구」, 한국문화관광연구원.
  7. 문화체육관광부(2014), 「유네스코 문화다양성 협약 이행 국가보고서 작성 연구」.
  8. 문화체육관광부(2018), 「제2차 유네스코 문화다양성 협약 이행 국가보고서 작성연구」.
  9. 문화체육관광부(2019), 제40차 유네스코 총회, "예술교육" 결의안 채택 보도자료.
  10. 송보림(2012), 「국가별 학교 문화예술교육 사례 분석집」,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11. 양지연(2016), 박물관.미술관 공공지원의 근거와 방향에 대한 재성찰, 「예술경영연구」, 40: 233-256.
  12. 이동성.주재홍.김영천(2013), 문화다양성 교육의 개념적 특질 및 이론적 배경 고찰, 「다문화교육연구」, 6(1): 51-72.
  13. 이바름.정문성(2011), 협동학습이 다문화태도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교육」, 2(3): 107-132.
  14. 이혜진(2018), 이해를 넘어 모두 함께 사는 세상으로-사회재건주의 미술관 교육, 「미술교육논총」, 32(4): 1-25.
  15. 임철일.김선희.김성욱(2014), 문화다양성 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및 문화예술 기반 교육방법 탐색, 「다문화교육연구」, 7(2): 27-57.
  16. 정은경(2018), 문화다양성 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과 교육 실태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정혜연(2014), 다름에서 다양으로: 아동의 문화적 포용력 증진을 위한 박물관/미술관 교육, 「예술교육연구」, 12(4): 33-46.
  18. 최보연(2017a), 영국 문화정책 백서 심층분석, 「한국문화관광연구원 KCTI 정책리포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19. 최보연(2017b), 「주요 문화예술정책 최근동향」,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9), 「2018 문화다양성 연차보고서」, 문화체육관광부.
  21. 한국문화관광연구원(2015), 「문화다양성 보호 및 증진 기본계획 수립연구」, 문화체육관광부.
  22. 한국미술교과교육학회(2003), 「미술교육 이론의 탐색」, 서울: 도서출판 예경.
  23. 한국예술종합학교(2013), 「문화다양성 지표개발 기초연구」, 문화체육관광부.
  24. 허정윤.이봉민(2017), 협동학습에서 청소년이 인지한 긍정적 상호의존성에 따른 공동체의식 차이, 「청소년문화포럼」, 50(1): 114-141.
  25. 홍아라(2016), 국립박물관의 문화다양성 교육프로그램 실태 및 활성화 방안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홍해지(2017), 사회통합을 위한 문화소외계층 대상 미술관교육: 국립현대미술관 사례연구, 동덕여자대학교대학원 큐레이터전공 석사학위논문.
  27. 황지영(2018), 국립현대미술관의 공공성 강화를 위한 미술관교육 방향 연구, 「박물관교육」, 2(1): 91-112.
  28. 황지영(2017), 박물관.미술관교육, 문화다양성의 가치를 담다,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아키스브리핑」, 109.
  29. Billings, M. M.(1995), Issues VS. Themes: Two Approaches to a Multicultural Art Curriculum, Art Education.
  30. Johnson, D. W., & Johnson, R. T.(1975), Learning Together and Alone: Cooperative, Competition, and Individualization, NJ: Prentice-Hall.
  31. McFee, J. K.(1995), Change and the Cultural Dimensions of Art Education, In R. W. Neperud (ed), Contenxt, Content, and Community in Art Education, NY: Teachers College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