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복 활성화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7초

한복시장 활성화를 위한 대중화 방안모색 연구

  • 이병화;심화진
    • 한국복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식학회 2004년도 제29회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51-51
    • /
    • 2004
  • 한복시장은 90년대 이후부터 생활한복이 출시되면서 전통적인 맞춤형태의 한복시장이 점차 기성복형태로 바뀌어 가기 시작하였다. 이때 많은 기업이 생활한복 시장에 참여하였으나 디자인, 가격, 소재, 제조 방법이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였고 IMF를 겪으면서 소규모 영세기업들은 제대로 성장하지 못하였다. (중략)

  • PDF

한복 문화의 활성화를 위한 한복행사에 관한 제언 (On Hanbok Cultural Event for Promotion Traditional Costume)

  • 소황옥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43-151
    • /
    • 2009
  • This paper starts with the assumption that in order for the popularization of hanbok leading to greater interest among the public for Hanbok and its uses in everyday life, the period for Hanbok events each year must be solidified, making it a standardized provide opportunities for participation regardless of demographic. Globalization of Hanbok most occur through a combination of related academic fields, division of roles in fields of expertise, and a scientific understanding of Hanbok. Thus various Hanbok-related programs such as contests, fashion shows, experience centers and exhibitions should be provided in one unified setting. Government sponsored Hanbok cultural events have generally been aimed at foreigners or foreign human residency, while events in Korea hae generally been carried out by a more diverse rage of groups, making it difficult for the general population to obtain information or participate actively. In order for hanbok to maintain its tradition as the national costume of Korea, Long-term develop plans must be set. Along with popularization in order to bring hanbok into everyday life, methods for the globalization of hanbok must be explored, providing opportunities to spotlight the diversity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costumes, in various events which promote participation, festival-forming and globalization of hanbok culture considering elements such as time (yearly, monthly etc.) and audience (age group, social level etc.).

  • PDF

20대 남녀의 한복 착용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Activation Method of Wearing Hanbok)

  • 정상은;이소영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39-155
    • /
    • 2017
  • This paper identified the values and awareness of Koreans in 20s regarding Hanbok, the traditional clothing of Korea, and proposed an approach to promote the traditional clothing culture. The subject of the survey were male and female Koreans in their 20s who wear modern street clothes in places people frequently visit including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Chungcheong-do as well as those who wear Hanbok in Seoul and Jeonju, Jeollabuk-do.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is of the survey, Koreans in their 20s rented Hanok rather than buying it. The respondents wore Hanbok for events, festivals or national holidays or while travelling. Elements to improve in Hanbok rental services were designs, materials, washing and stains. The decision factors for renting Hanbok were 'personal tendency' and 'advice from an expert.' While Koreans in their 20s had a positive awareness of Hanbok, they thought it was difficult to buy, rent and put on Hanbok and that it was not comfortable to wear. There was not sufficient opportunity and means to wear Hanbok due to insufficient accessories or shoes to match.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s, the following approach was propos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traditional clothing culture. First of all, develop traditional clothing designers who can satisfy the personalities of Koreans in their 20s. It is necessary to develop experience-focused and participatory programs that provide systematic education regarding traditional clothing to pass down this tradition.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create a social and cultural atmosphere that enables the Koreans in their 20s to easily wear Hanbok by popularizing Hanbok.

  • PDF

광복이후 첫돌 복식의 변천 (Changes in the Ceremonial Dresses for Children's First Birthday Since 1945)

  • Ji, Yoon-Young;Hong, Na-Young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5권9호
    • /
    • pp.1681-1692
    • /
    • 2001
  • 본 연구는 광복 이후 현재까지 첫돌 복식 변화를 시대적으로 고찰, 그 변화 양상과 영 향 요인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 방법은 문헌 고찰과 사진 자료를 통한 내용 분석을 주로 하였다. 더불어 자료의 보충을 위해 첫돌 의례와 관련된 주변 인물들-가족, 기성 아동 한복 유통 상인, 상업적 사진사 등-의 면접 조사도 병행하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940년대 중반∼50년대 초에는 해방 이후 혼란과 전란으로 인한 물자의 부족으로 첫돌 의례의 명분은 남아있으나 복식 문화는 공백기를 맞는다. 1950년대 중반이후 60년대 전반기는 미국의 경제 원조와 섬유 공업 활성화로 의료의 공급이 원활하여 전기에 비해 의례적 의미를 지닌 첫돌 복식의 착용이 가능해 졌다. 전통 한복을 기본으로 한 위에 서양식 복식 품목들이 섞여서 나타나고 있다 60년대 후반에서 1970년대의 두드러진 양상은 기성복 산업 의 발달로 전문적 인 기성복 시장이 형성되었고 이는 기성복화 된 첫돌 복식의 일습 개념을 등장시키게 하였다. 또한 한복이 예복화 되는 경 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던 시기로 70년대 후반의 칼라 필름의 보급은 금박과 자수와 같은 다양한 재료와 재단 방법을 사용한 장식화 된 첫돌 복식의 사용을 가속화 시 켰다. 특히 70년대 중반에 소수의 일반에게 입혀졌던 궁중복식의 하나인 당의가 소매없는 당의로 바뀌어 여아의 돌옷으로 입혀지기 시작하였다. 1980년대 전반기는 칼라 TV의 보급, 비디오 촬영의 보편화로 한복이던 양복이던 일습화 된 첫돌 복식이 대중적으로 정착하게 되었다. 후반기에는 국내의 국제적인 행사의 유치와 전통 복식 소개를 위한 전시들을 계기로 왕실 복식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다. 이로 인해 여아에게 소매없는 당의를 입히고 남아에게 용포를 입히는 유행이 가속화되었다. 또한 서양식 예복을 입히는 유행이 시작되었다. 90년대에 들어와 아기 전문사진점의 등장은 1 회적인 첫돌 의례에 한복과 서양식 예복, 일상복 등을 다양하게 착용시키는 계기를 가져오게 하였다. 이상과 같은 다양한 변화 양상에도 불구하고 첫돌을 기념하기 위해 특별한 옷을 마련하고자 했으며, 그 복식의 구성 이 전통적인 일습 개념을 꾸준히 지향해 온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반면 최근 과열된 아동 산업은 보다 다양한 복식을 입혀서 촬영한 사진으로 특별하게 꾸민 상업적인 기념물들을 남겨주게 하고 있다. 비록 특별한 옷을 준비하여 아동에게 입히는 행위는 유사한 표현 양태이나 지나치게 많은 옷을 갈아 입히는 표현 방식은 지양되어야할 것이다

  • PDF

중고한복시장 및 한복리폼시장의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Used Market of Hanbok and Hanbok Reform Market)

  • 이인화;손미영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9권1호
    • /
    • pp.59-69
    • /
    • 2021
  • In order to find ways to re-use used Hanbok and activate Hanbok reform,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used Hanbok and Hanbok reform in the domestic Hanbok marke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atus and problems of the used Hanbok market and the Hanbok reform market through literature data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Hanbok experts, and to study ways to activate used Hanbok and Hanbok refor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a way to activate the used Hanbok market and the Hanbok reform market, expand opportunities and create a social and cultural atmosphere for wearing Hanbok, and research on design, pattern, size, and materials. It also suggested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atic system for separate collection, reform, sales and management, the establishment of a central institution that manages and operates the re-use of used Hanbok and Hanbok reform, support for education institutions and programs for Hanbok reform, public relations, and changes in Hanbok production methods.

공공도서관 청소년프로그램 분석과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Young Adults' Programs Analysis & Revitalization in Public Library)

  • 이경란;한복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15-130
    • /
    • 2009
  • 이 연구는 우리나라 공공도서관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 현황을 살펴보고, 공공도서관의 청소년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전국 공공도서관 청소년 프로그램 현황을 조사하고, 청소년을 대상으로 독서 실태와 도서관 이용실태, 청소년 프로그램에 대한 청소년들의 요구를 조사하고, 공공도서관 담당사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청소년 프로그램의 내용과 청소년 도서관 이용실태를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 프로그램의 활성화 방안으로 청소년 전용자료실 설치, 청소년 프로그램 개발, 청소년 웹 사이트 구축, 전문인력 확충 등을 제시하였다.

한국인 유전체 시료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시료 정보 관리 시스템 (An Information System for Efficient Management of Genomic Specimens from Koreans)

  • 양은주;신용국;김준우;김규찬;한복기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2 (1)
    • /
    • pp.76-78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지역사회 유전체역학센터 및 질환군별 유전체연구센터로부터 수집되는 한국인 유전체 시료와 이에 관련된 시료 접수 정보, 시료 보관 위치 정보, 시료 정도 관리(Quality Control) 정보, 분양 정보 등을 체계적으로 저장ㆍ관리하기 위하여 시료 정보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시료 접수자 및 정보 관리자는 시료 정보 관리 시스템을 통해 인간의 DNA, cell, serum, urine 등과 같은 유전체 시료를 접수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이들 정보에 대한 집계 현황을 참조할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 유전체역학센터 및 질환군별 유전체연구센터에서 입력한 개인식별 정보, 임상 정보, 생활습관 정보 등과 유전체 시료 정보와의 연계가 가능하다. 이는 관련 연구진에게 인간 유전체 시료를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함으로써 유전체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 PDF

인터넷 판매를 통한 생활한복의 활성화 연구 (A Study on active use of Daily Hanbok through sales on The Internet)

  • 소현정;심화진
    • 복식
    • /
    • 제50권4호
    • /
    • pp.181-195
    • /
    • 2000
  •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Sep., 1999. to Nov., 1999. It researched approximately 60 specialized manufacturers who had homepages on the Internet. Of the 60 manufacturers, 20 of them were chosen for the study all of whom had relatively were made homepages that were geared towards sales. 1. Daily Hanboks on the homepages were put in an electronic catalog. They were photographed and well described. Each picture could be enlarged when needed. 2. The Hanbok's were made for men, women and children. There were every couple's Hanboks. The Hanboks used natural material, mixed spinning and chemical textile, which was easily kept and washed. It was intended, as clothes for everyday wear Silk was used for formal clothes. 3. The prices ranged from low-middle to high clothing for everyday life is reasonable and street wear and formal dresses are priced high. The color of the dresses are not vibrant, but natural and light. As Hanboks become more in demand, there will be more choices available. 4. As matter of the sizes shows weakness. In general they use the western size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direction that Hanbok manufacturers may take for the internet sales and for being more active to promote the spread of the dress. This research came to the fellowing conclusion. Even though Hanbok manufacturers operate homepages. it seems that they are not well used. However, many internet shopping malls have been opened and they have put Daily Hanboks into one of their sales categories. The internet malls are getting more active and are expanding more. Therefore the market value of the Hanboks in the future look optimistic. If smaller sized manufacturers of Daily Hanbok's establish cooperative network that have no time and space limit, they can use the strong power of the market as the market development for Daily Hanboks is endless.

  • PDF

어린이사서 양성을 위한 문헌정보학 교과과정과 계속교육의 발전 방안 (Developing Curricula in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Continuing Education for Children's Librarians)

  • 한복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67-288
    • /
    • 2010
  • 본 연구는 어린이사서의 양성을 위한 문헌정보학과 교과과정과 계속교육 과정의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어린이사서 양성과 관련된 국내 문헌정보학과 교과과정과 계속교육 과정의 현황을 조사하였다. 또한 대전지역 공공도서관 어린이실 사서 대상의 설문조사를 통해 어린이실의 현황과 사서들의 직무에 대한 현장의 요구를 파악하였다. 조사결과를 토대로 어린이사서를 위한 교육과정과 재교육의 현황과 어린이실 사서들의 한계점을 파악하여 어린이사서 교육과 계속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개선해야 할 점을 제시하였다.

조선시대 궁중정재복식을 아카이브로 한 한류연계 패션상품 개발 (Creation of Fashion Products related to Korean Wave using Court Dance Costume during Joseon Period as Archive)

  • 이재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261-275
    • /
    • 2022
  • K-Pop과 K-Fashion이 전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는 현 시점에서, 한류와 연계하여 한복 분야의 좀 더 다양한 아이템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패션상품을 개발해 한류문화와 한류패션을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겠다. 이에 본 연구는 K-Pop의 원형이라 할 수 있는 궁중연희에서 연행된 궁중정재를 주제로 한류연계 패션상품을 개발하여, 문화와 패션 영역을 융합하고 확장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궁중정재복식의 원형과 현대에 연행되고 있는 궁중정재의 복식을 분석하여, 기존의 일상적인 한복과 차별화되는 무산향·연화대·처용무·춘대옥촉·춘앵전복식을 선정하였다. 이 5가지 복식의 특징적 요소가 반영된 한류연계 패션상품을 디자인했고, 3D 가상 착의 프로그램인 클로(CLO)를 활용하여 실루엣과 사이즈를 점검한 후 총 5착장의 상품을 개발하였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첫째, 디자인적인 측면에서 한국적인 디자인의 대중화, 둘째, 산업적인 측면에서 한류콘텐츠 영역의 확대, 셋째, 국제적인 측면에서 K-Fashion의 세계화 등의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