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reation of Fashion Products related to Korean Wave using Court Dance Costume during Joseon Period as Archive

조선시대 궁중정재복식을 아카이브로 한 한류연계 패션상품 개발

  • 이재영 (평택대학교 패션디자인및브랜딩학과)
  • Received : 2022.02.07
  • Accepted : 2022.03.22
  • Published : 2022.05.28

Abstract

In this stage when K-Pop and K-Fashion have been drawing global attention, it is required to activate the Korean culture and fashion by developing fashion products which reinterpret various items in the Hanbok fields with modern sense in connection with Korean wave. Thus, this study aims to develop fashion products related to Korean wave with court dance costumes used in court banquets, which may be the origin of K-Pop, as the main theme, and to converge and expand culture and fashion fields. To this end, the original court dance costumes and their modern forms continuing in these days were analyzed and the costumes for Musanhyang, Yeonhwadae, Cheoyongmu, Chundaeokchok and Chunaengjeon differentiated from existing daily Hanbok were selected. The fashion products related to Korean wave reflecting the specific elements of those five costumes were designed. Then, the silhouette and sizes of those costumes were checked using the CLO, the 3D virtual clothing program and total 5 fashion products were created.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paper will contribute on making Korean design popular on the design aspects, expanding the scope of Korean wave contents on the industrial aspects and globalizing the K-Fashion on the global aspects.

K-Pop과 K-Fashion이 전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는 현 시점에서, 한류와 연계하여 한복 분야의 좀 더 다양한 아이템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패션상품을 개발해 한류문화와 한류패션을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겠다. 이에 본 연구는 K-Pop의 원형이라 할 수 있는 궁중연희에서 연행된 궁중정재를 주제로 한류연계 패션상품을 개발하여, 문화와 패션 영역을 융합하고 확장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궁중정재복식의 원형과 현대에 연행되고 있는 궁중정재의 복식을 분석하여, 기존의 일상적인 한복과 차별화되는 무산향·연화대·처용무·춘대옥촉·춘앵전복식을 선정하였다. 이 5가지 복식의 특징적 요소가 반영된 한류연계 패션상품을 디자인했고, 3D 가상 착의 프로그램인 클로(CLO)를 활용하여 실루엣과 사이즈를 점검한 후 총 5착장의 상품을 개발하였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첫째, 디자인적인 측면에서 한국적인 디자인의 대중화, 둘째, 산업적인 측면에서 한류콘텐츠 영역의 확대, 셋째, 국제적인 측면에서 K-Fashion의 세계화 등의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2021년 한복분야 한류연계 협업콘텐츠 기획개발 지원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된 연구과제임.

References

  1.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377121&cid=42219&categoryId=58215
  2.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7717877&memberNo=10005291&vType=VERTICAL
  3. 해외문화홍보원, 국가이미지조사 보고서, pp.12-18, 2020.
  4. https://stdict.korean.go.kr/main/main.do
  5. 최윤영, "한국 중세 궁중연희의 공간 연구 -팔관회.연등회.나례의 가무백희 공간을 중심으로-," 한국연극학, No.27, p.302, 2005.
  6. 전경옥, 김기형, 허용호, 김은영, 이호승, 하올란, 송준, 신근영, 송미경, 이지영, 김지훈, 정지은 외 26인 공저, 한국전통연희사전, 민속원, p.152, 2014.
  7.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795498&cid=46666&categoryId=46666
  8. 석진영, 한동수, "순조 궁중연희 내연 무대의 朱簾, 甲帳에 관한 연구 -修理.排設부분을 중심으로-," 건축역사연구, Vol.26, No.6, p.67, 2017. https://doi.org/10.7738/JAH.2017.26.6.067
  9. 전경옥, 한국의 전통연희, 학고재, p.288, 2004.
  10.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794538&cid=46666&categoryId=46666
  11.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795729&cid=46666&categoryId=46666
  12. 이명성, 朝鮮後期 宮中公演藝術 硏究,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13.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2083 &cid=41826&categoryId=41826
  14.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7947 24&cid=46666&categoryId=46666
  15. 박승희, 심승구, "순조대 무동의 역할과 예술사적 의미," 한국무용연구, Vol.35, No.4, p.116, 2017.
  16. 이명성, 朝鮮後期 宮中公演藝術 硏究,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141, 2012.
  17. 전경옥, 한국의 전통연희, 학고재, p.294, 2004.
  18. 이명성, 朝鮮後期 宮中公演藝術 硏究,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107, 2012.
  19.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Result.do
  20.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09970&cid=50222&categoryId=50227
  21.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30291&cid=46671&categoryId=46671
  22. 김경실, (궁중 연회와 무용)조선시대의 궁중진연 복식, 경춘사, p.118, 2003.
  23. http://www.dic-costumekorea.org/meta/?act=detail&meta_uid=295
  24. 이혜구, 악학궤범, 국립국악원, pp.490-493, 2000.
  25.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747444&cid=49324&categoryId=49324
  26. 이혜구, 악학궤범, 국립국악원, pp.528-534, 2000.
  27.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747403&cid=49324&categoryId=49324&expCategoryId=49324
  28.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747423&cid=49324&categoryId=49324&expCategoryId=49324
  29.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747446&cid=49324&categoryId=49324&expCategoryId=49324
  30. 김경실, (궁중 연회와 무용)조선시대의 궁중진연 복식, 경춘사, p.77, 2003.
  31. 김경실, (궁중 연회와 무용)조선시대의 궁중진연 복식, 경춘사, p.111, 2003.
  32. https://busan.gugak.go.kr/portal/prfm/view.do?prfmSn=3200&prfmDtSn=1&mId=0101010000
  33. http://www.dic-costumekorea.org/meta/?act=detail&meta_uid=309
  34. http://www.dic-costumekorea.org/meta/?act=detail&meta_uid=324
  35. http://www.dic-costumekorea.org/meta/?act=detail&meta_uid=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