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복 소재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6초

한복시장 활성화를 위한 대중화 방안모색 연구

  • 이병화;심화진
    • 한국복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식학회 2004년도 제29회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51-51
    • /
    • 2004
  • 한복시장은 90년대 이후부터 생활한복이 출시되면서 전통적인 맞춤형태의 한복시장이 점차 기성복형태로 바뀌어 가기 시작하였다. 이때 많은 기업이 생활한복 시장에 참여하였으나 디자인, 가격, 소재, 제조 방법이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였고 IMF를 겪으면서 소규모 영세기업들은 제대로 성장하지 못하였다. (중략)

  • PDF

가상캐릭터의 디지털 한복 모델링을 위한 지식기반 접근법 (Digital Hanbok Modeling for Virtual Characters : A Knowledge-driven Approach)

  • 이보란;오수정;남양희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1B권6호
    • /
    • pp.683-690
    • /
    • 2004
  • 3차원 의상 모델링과 시뮬레이션은. 디지털 콘텐츠에서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이를 위한 여러 도구들이 개발되었으나, 고유한 의복을 표현하는 가상 의상의 디자인은 그래픽 디자이너에게 어려운 작업이며 의상에 대한 전문지식을 필요로 한다. 특히, 한복의 경우는 옷감, 재단방식, 착용법 등에서 양복과는 구성학적 차이점을 지니므로 모델링이 더욱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한복 제작에 대한 전문성이 없이도 한복을 쉽게 모델링 할 수 있도록 하는 지식 기반 접근법을 제안한다. 특히, 실사 및 가상 옷감의 시각적 유사성 판단 방법에 의해 옷감 소재 특성 규칙베이스를 구축하고, 신체 특성이 다른 캐릭터들의 체형 특성을 반영한 한복 사이즈의 부분별 다단계 조정 방법을 지식베이스 화하였다. 제안된 지식 기반 모델링 방법은 마야의 플러그-인으로서 제작되었고 다양한 신체형에 대한 드레이핑(착용 시뮬레이션) 실험을 통해 적용 가능성을 보였다.

디지털 패션쇼를 위한 가상 한복 재질분석 및 사용성 연구 (A Study on Material Analysis with Usability for Virtual Costume Hanbok in Digital Fashion Show)

  • 안덕기;정진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7호
    • /
    • pp.351-358
    • /
    • 2017
  • 본 연구는, 기존의 전통적인 패션쇼를 근간으로 빠르게 발전하는 컴퓨터 그래픽 기술을 접목, 새로운 형식의 패션쇼로 최근 연구되는 디지털 패션쇼를 위한 가상 한복 제작과 관련된 연구이다. 한국의 대표적인 전통의상을 소재로, 디지털 패션쇼를 진행하기 위한 가상의 한복의 제작을 위하여 필수적으로 적용되어야 하는 재질들을 분석하고, 사실성 검증을 위하여 전문집단 그룹을 통한 사용성 통계를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로 가상 한복 제작에 요구되는 세 가지 필수 재질인 두께, 무게 그리고 색상을 정리한 후, 3D 한복의상을 제작하여 실재 복원된 한복 의상들과 비교, 40명의 피실험자들의 평가를 기준으로 만족도를 조사하여 사용성 통계수치를 통한 분석연구를 진행하였다. 최종적으로 사용성 통계의 분석을 통한 매우 긍정적인 만족도 결과는, 향후 디지털 패션쇼 가상의복의 제작에 필요한 구체적인 재질분석 가이드라인을 제시함에 본 연구의 목적과 의의를 두었다.

전통한복 전문 카탈로그를 통해 본 2010년 이후 장식기법의 유형 (Types of decoration techniques since 2010 in catalogues specializing in Hanbok)

  • 장수현;이은진
    • 복식문화연구
    • /
    • 제29권2호
    • /
    • pp.272-288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types of decoration techniques used in women's Chima and Jeogori in traditional Hanbok catalogs from 2010 to 2020, and to analyze the frequency of each type. The method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is study first investigated the transition of modern Hanbok and decorative techniques by analyzing and classifying such work in previous studies. Based on this, the technique of decorating the Jeogori and Chima that appeared in the traditional Hanbok catalog of the study period was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In the case of Jeogori, in the first half of 2010, the decorative technique of a relatively large size was used, and the decorativeness tended to be strong. However, in the late 2010s, the number of decorative techniques used in Jeogori has decreased, and the size of the decorative technique has become smaller and more concise, leading to a tendency to understated decoration. In the case of Chima, techniques to express natural texture by processing threads or fabrics themselves were mainly used rather than techniques to add decoration to the surface, and techniques to express various surface texture tended to develop toward the late 2010s. The change in the decoration technique of Jeogori and Chima appears to be a combination of social, cultural, and economic factors such as a change in consumption culture and a reduction in the wedding market.

기술개발성공사례 - 미분말 실리카 제조에 성공한 (주)신흥규산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과학과기술
    • /
    • 제32권3호통권358호
    • /
    • pp.78-79
    • /
    • 1999
  • 반월공단의 한복판에 자리잡고 있는 신흥규산(주)은 기능성 미분말 실리카의 제조기술 개발에 성공, 상용화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미분말 실리카는 규산소다를 원료로 하여 생산한 2차 제품으로 석유화학과 도료 잉크산업, 제지산업 등에서 특정한 기능을 살리기 위해 첨가되는 소재이다. 62년 설립된 신흥규산(주)은 65명의 가족을 거느린 중소기업으로 올해는 미분말 실리카와 크로마토그래피용 무기소재를, 내년엔 제지보류 향상용 마이크로실리카겔을 일본을 비롯한 아시아 전역에 수출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 PDF

아동용 한복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s Hanbok for the formal Ceremonies of Korea)

  • Ji, Yoon-Young;Lee, Hye-Young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6권12호
    • /
    • pp.1727-1738
    • /
    • 2002
  • 세계화, 국제화, 개방화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가 통과의례나 전통 명절과 같은 특별한 행사에 의례복으로 한복을 애용하는 것은 한복이 한국의 문화적 이미지를 강하게 간직하고 있는 한국적 조형물 중의 하나이기 때문이다. 더우기 의례복은 특별한 행사 자체를 위해 착용되었던 만큼 당시대의 내 적 가치를 가장 현저하게 표출하고 있는 복식으로 인정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대 적으로 현대 전통 한복의 기본 형 식을 제공한 조선시대와 그 이후의 복식 중에서 특히 분명한 착용동기와 목적, 복식을 통해 나타내고자 하는 상징성 등을 함축하고 있는 아동용 의례복을 대상으로 복식의 형태, 색채, 문양, 소재 등의 조형 요소를 고찰하는 것이다. 또한 양식적 특성을 살펴보고, 그러한 조형적 특성을 형성시킨 당시대의 사상적 가치를 추론해 보는 것이다. 구체 적인 연구 방법은 먼저 관련된 문헌 고찰을 통한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하여 아동용 의례복의 범주를 설정하고 현재 보전중인 실물과 또는 사진, 풍속화에 나타난 복식 자료들을 수집하였다. 그리고 당시대의 사상적 배경에 대한 고찰을 병행하여 이들에 내재된 문화적 가치를 추출해 보았다. 연구 결과 양식적 특징으로는 남아의 두루마기나 전복 그리고 쓰개류 등에서 기능성을 고려한 변형적 양식이 나타나고 있었다. 색채 역시 음양 보색이나, 오행색을 바탕으로 한 기본색의 구성 이외 에도 소매나 섶에 응용된 색의 배열이나 맞깃 전복의 깃에 나타난 색의 조화는 다양한 색의 조형미를 표현하고 있었다. 특히 색동 등에 나타난 오행색의 배열, 안감과 겉감, 상의와 하의, 외의와 내의에 사용된 색의 조화는 미의식에 관한 문화적 가치를 추론해 볼 수 있다. 더우기 장식 표현에 주로 쓰인 자연물 문양이나 글자 문양은 당시의 지배 사상이 지향하는 덕목 이외에도 전통적으로 내재된 수명과 복록, 부귀와 영화에 대한 내적 가치들을 반영하는 조형적 상징들이라 할 수 있다. 소재는 비교적 계절을 고려하여 사용되고 있었지만 의례적 성격을 지닌 외의나 쓰개류의 경우 계절적 구분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도 많이 나타나고 있었다. 장신구의 경우는 많이 사용되는 것은 아니나 역시 상징적 인 가치를 표현하는 실물들을 미적으로 재구성한 사례들이 나타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아동용 전통 의례복은 형태, 색채, 문양, 소재, 장신구 등에서 양식의 다양성과 변형들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적극적인 내적 가치의 상징들을 복식을 통해 표현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현대 복식의 디자인에 있어 아동용 의례복에 나타난 창조적인 양식의 변형과 다양성 그리고 복식을 통한 내적 가치의 반영 등이 현대 사회와 조화를 이룬 실질적인 복식 디자인 제시 및 창작에 작은 영감으로 작용하길 바란다.

니트 소재를 활용한 여자한복 디자인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Knit Materials Woman's Han-bok Design)

  • 김현숙;안명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27-135
    • /
    • 2008
  • The study purpose was to increase Han-bok's convenience by changing materials while maintaining keep the traditional Han-bok style. For this purpose we surveyed actual Han-Bok wearers about the inconveniences of its form and design by combining knit with Han-bok. On the basis of this survey, we present a practical design for use in daily fife. Responding to the question about Jeo-Go-Ri(jacket), most respondents preferred a Han-bok which stressed elasticity by utilizing knit on Jeo-Go-Ri's front and back body line(JD1, JD4). For the question about ann holes, most respondents liked a design which substituted knit materials for Sam-hoi-jang(colorful strips) to ensure ease of use and shorten both the width and length of the breast-tie(JD2, JD3). For the sleeve edge, they preferred a design which solved the difficulties of rolling up the sleeve when working ($JD2{\sim}JD5$). Regarding the most inconvenient aspect of wearing Chi-mas(skirts), the respondents indicated tightening of the breast and an uncomfortable feeling due to the skirt length. This suggested that the waist of the vest should be lengthened to avoid the feeling of pressure(CD2, CD5). Regarding changes to the skirt shape the respondents preferred buttons and hooks rather than using skirt strings(CD4, CD5).

현대 한복소재 무늬의 조형성과 조직특성 (A Study on the Pattern Design and the Construction in Modern Hanbok Fabrics)

  • 김선경;조효숙;백희주
    • 복식문화연구
    • /
    • 제16권6호
    • /
    • pp.1111-1125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ttern design and the weave construction of 67 fashion fabrics in women's Hanbok. All the fabrics were made by 100% silk. Arrangement, size, and the type of patterns were investigated for research of the pattern characteristics. Pattern weave and background weave were analyzed, then the weight and the thickness were measured for studying the fabric construc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rregular arrangement was more commonly used than regular arrangement, and then the complex arrangement and the combination arrangement were appeared considerably because of the existence of the various patterns in a fabric. Third, the types of pattern weave construction were much more than those of background weave construction. This is caused by the expression of dimensional effect for patterns. This survey can be practically used for development of pattern design for Hanbok industry and furthermore it will contribute to revitalizing of Hanbok market to overcome design limit in the future.

  • PDF

춘추용 생활한복 소재의 태에 관한 연구 (The Hand of Spring/Fall Fabrics for 'Saenghwal Hanbok')

  • 손형남;유효선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1권9_10
    • /
    • pp.1453-1464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hand of spring/fall fabrics for 'Saenghwal Hanbok' on subjective hand, objective hand and the preference. In this study, 28 varieties of spring/fall fabrics such as cotton fabrics, synthetic fabrics, blended fabrics and a silk fabric for 'Saenghwal Hanbok' are used. To evaluate the subjective hand of fabrics, the holistic touch and preferences, 33 seven ranks' segmentic differential scale questions are developed with adjective pairs and are gathered by surveying experts on clothes. The mechanical properties, HV and THV of them are measured and calculated by KES-FB system. Through subjective hand, items could be classified into six hand expressions: 'bulky/extensibility', 'stiffness', 'feeling of weight', 'surface property', 'drapability' and 'moisture property'. Through mechanical properti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haracter of cotton fabrics are slight flexible, tough, rough, uneven, a bit heavy, thick and low resilience on tensile and compression, and then those of synthetic fabrics, blended fabrics and a silk fabric are thin and light, smooth, flat and bulkless. In correlation on subjective evaluations and the preference for 'Saenghwal Hanbok', cotton fabrics mainly depend on 'surface property' and 'moisture property' and then synthetic fabrics, blended fabrics and a silk depend on 'bulky/extensibility' and 'surface property' In correlation on objective hand and the preference for 'Saenghwal Hanbok'. people aren't satisfied with low resilience. high stiffness and low dra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