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반도산

검색결과 321건 처리시간 0.028초

한국산 산딸기속(Rubus)의 세포분류학적 연구 (A Cytotaxonamical study of Rubus (Rosaceae) in Korea)

  • 양지영;박재홍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29-142
    • /
    • 2005
  • 한국산 산딸기속(Rubus)의 체세포 염색체 수를 밝히기 위해 19개 분류군을 조사하였다. 한반도에는 Anoplobatus(2종), Cylactis(1종), Idaeobatus(15종), Malachobatus(1종) 4개 아속의 산딸기속 분류군이 분포하며, 대부분(15종)이 2배체가 우세한 Idaeobatus아속에 속한다. 체세포 염색체 수의 기본수는 x=7이며, 본 연구에서 체세포 염색체수가 처음으로 밝혀진 분류군은 제주도의 특산종인 가시딸기(R. hongnoensis; 2n=14), 울릉도의 특산종인 섬나무딸기(R. takesiemnsis; 2n=14), 거제도에서 분포하는 맥도딸기(R. longisepalus; 2n=14)와 거제딸기(R. longisepalus var. tozawai; 2n=14), 멍석딸기(R. parvifolius; 2n=42), 사슨딸기(R. parvifolius var. taquetii; 2n=28)등 6분류군이다. 복분자(R. coreanus)를 제외한 나머지 12개 분류군의 체세포 염색체 수는 2n=14로 확인하였으며, 모두 일본과 타이완 등의 연구보고와 일치하였다. 또한 이배체로 알려진 멍석딸기는 4, 6배수체가 발견되어 한반도에서 배수화로 종분화가 일어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겨울딸기(R. buergeri; 2n=56)으로 8배체임을 알았고, 이는 일본에 분포하는 2n=42, 6배체와 비교할 때, 타이완에 분포하는 분류군(2n=56)과 동일한 8배체임을 보여주었다.

한반도 해안염습지와 사구 염생식물 분포 (Distribution of halophytes in coastal salt marsh and on sand dunes in Korea)

  • 심현보;조원범;최병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64-276
    • /
    • 2009
  • 본 연구는 한반도산 염생식물 분포를 밝히기 위해 해안 염습지와 사구 95지역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남한의 해안과 섬지역 등에서 21과 44속 57종 4변종 1품종 등 62 염생식물이 기록되었다. 이 중 33분류군은 사구에 자라며, 나머지 29분류군은 염습지에 자라는 식물이다. 61지역이 조사된 서해안에는 58분류군이 분포하였으며, 이들 중 염습지에서는 나문재, 칠면초, 갈대, 갯잔디, 천일사초가, 사구에서는 수송나물, 갯완두, 갯길경, 갯메꽃이 많이 발견되었다. 한편 15지역이 조사된 남해안에는 서해안 보다 적은 45분류군이 분포하였다. 13지역이 조사된 동해안에는 44분류군이 분포하였으며, 흔히 발견된 식물은 수송나물, 갯완두, 갯메꽃으로 모두 사구식물이다. 해란초는 한반도에서는 동해안에서만 조사되었다. 6 지역이 조사된 제주도에는 30분류군이 분포하였다. 해녀콩은 국내에서는 제주도에서만 발견되었다. 한국산 염생식물 중 약 절반은 12종의 명아주과, 12종의 벼과, 7종의 국화과 등 3과에 속하였다.

한반도 비무장지대 문화유산의 실태조사 현황과 성과 고찰 (A Study on the Status and Performance of Cultural Heritage in the Demilitarized Zone on the Korean Peninsula)

  • 황보경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7권2호
    • /
    • pp.28-50
    • /
    • 2024
  • 한반도 비무장지대 실태조사는 2020년 5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실시되었고, 그에 대한 결과물이 『한반도 비무장지대 2020-2021 실태조사 보고서』로 간행되었다. 이번 실태조사는 고고분야를 비롯하여 건축·동물·식물·지질·경관 등 문화·자연유산 전문가 5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모두 18차에 걸쳐 진행되었다. 이중에서 실태조사를 통해 확인된 문화유산은 모두 33개소로 경기도에 20개소, 강원도에 13개소이고, 종류별로 관방유적 8개소, 분묘 6개소, 유물산포지 15개소, 기타 4개소이다. 비무장지대 문화유산에 대한 실태조사는 이전에 이루어졌던 군사보호구역에 대한 지표조사 및 도라산 유적, 군부대 부지 등의 시·발굴조사와 연계되는 매우 의미있는 학술조사라 할 수 있다. 이번 조사를 통해 처음 발견된 유적이 적지 않고, 기존에 조사된 유적도 그 위치나 구조, 수습 유물이 다르게 확인되어 정밀조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특히 철원도성과 성산성의 현황을 재확인함과 동시에 파주 조산리와 철원 강서리 등의 유물산포지에서 구석기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다양한 유물이 수습되었으며, 횡산리사지도 비무장지대의 불교유적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그러나 파주지역의 일부 묘역과 유물산포지의 경우 경작과 개발로부터 안전하지 않다는 현실을 알 수 있는 계기가 되었고, 철원도성과 성산성, 조랑진보루, 강서리보루도 군부대 시설이 조성되는 과정에서 유구가 훼손되어 긴급조사가 필요한 상태이다. 또한 장단 및 군내면과 강산리 유적 일대의 경작지와 구릉지대는 소규모 개발과정에서 매장유산에 대한 조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번 문화유산 실태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관계 당국과 기관들이 보다 긴밀하게 협조하여 비무장지대 문화유산을 특별관리 및 중장기적으로 조사하는 방안을 수립해야 하는 중요한 시점이다.

사업탐방-전라북도

  • 이경옥
    • 건강소식
    • /
    • 제32권7호
    • /
    • pp.32-33
    • /
    • 2008
  • 한반도 서남부에 위치한 전라북도는 산과 들, 바다가 어우러진 아름다운 지역이다. 동쪽은 높고, 서쪽은 낮은 계단식 지형을 이루고 있는 쌀의 주산지로 한국농업의 상징인 곳이다. 전라북도의 자치행정을 관장하는 지방행정기관 전라북도 도청은 전주시 완산구 효자동에 자리 잡고 있다. 복지 공동체 구현, 선진농업 육성, 지역경제의 발전, 문화관광 특성화 등의 사업을 추진 중인 전라북도는 지역민들이 쉽게 문화나 여가를 즐길 수 있도록 편의시설을 두루 갖춘 곳이기도 하다. 특히 새만금 사업과 태권도 공원을 추진 중에 있는 등 지역발전에 앞장서고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 전라북도는 한국건강관리협회 전북지부와 함께 지역주민들에게 더 나은 삶을 제공하고 건강한 신체와 건강한 정신을 추구하고자 건강검진 사업을 활발히 진행할 예정에 있다.

  • PDF

홀로세 후기 밀양강 중류부 금천리 일대의 환경변화

  • 김혜령;윤순옥
    • 대한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지리학회 2003년도 추계학회술표회 논문집
    • /
    • pp.34-39
    • /
    • 2003
  • 밀양강 중류부 충적평야의 화분분석 결과를 통하여 홀로세 후기 동안의 식생환경을 복원하고 한반도 남부지방의 농경의 기원과 확산에 대해 검토하였다. 경상남도 밀양시 산외면 금천리 단장천 충적평야에서 화분분석을 행하였다. 고고학 유적발굴을 위해 절개한 트랜치 T6(14.75-15.90m a.s.l. : 두께 1.15m)과 T9(17.00-15.60m a.s.l. : 두께 1.4m)의 노두 단면 중에서 비교적 유기질이 풍부한 실트층 및 토탄층에서 5cm등간격으로 채취하여 목본화분(AP: Arboreal Pollen)이 200개 이상이 될 때까지 검경하였다. (중략)

  • PDF

충청북도의 지반특성

  • 서용석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4년도 발자취(20th anniversary)
    • /
    • pp.211-223
    • /
    • 2004
  • 충청북도는 한반도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위도상으로는 중위도에 속하고, 우리나라에서 바다에 접하지 않은 유일한 내륙도이다. 따라서 바다와 가장 가까운 지점인 진천군 백곡면 서단에 있는 서운산에서 바다에 접해 있는 충청남도 아산만의 방파제까지의 거리가 무려 47km나 된다. 이와 같이 바다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충청북도는 북동쪽에 태백산맥, 동쪽에 소백산맥, 북서쪽에 차령산맥으로 차단된 거대한 분지지형을 형성하고 있어, 여름은 고온다습하고 겨울은 한랭 건조한 온대몬순기후로서 대륙성 기후의 특징을 보인다.(중략)

  • PDF

제주도 만장굴의 환경보전과 수질분석

  • 사와이사오
    • 한국동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굴학회 1997년도 제9차 AISA CAVING 대회
    • /
    • pp.95-97
    • /
    • 1997
  • 제주도는 한반도 남방 해상에 해당하는 $120^{\circ}$ 16'~$126^{\circ}$ 57'에 위치하는 화산섬이다. 이 섬의 동북지방에 있는 만장굴은 북제주군 구좌읍 동금녕리에 위치하며 오늘날 화산동굴로는 세게 제5위에 해당하는 8,924m의 화산동굴(용암굴)이다. 실지로 이 만장굴을 중심으로 산위로 또는 산밑해안가로 뻗고 있는 같은 화산 활동시기에 같은 용암류가 형성시킨 많은 동굴들(김녕사굴, 밭굴, 전굴 그밖에 개우샛굴, 덕천굴 등)을 포괄시킨 만장굴 동굴시스템(동굴계)로 따지면 실로 세계 제일가는 협재동글시스템(11,749m) 다음가는 세계 제2의 화산동굴시스템(13,268m)으로 현재까지 국제적인 인정을 받고 있는 동굴군이다.(중략)

  • PDF

바이칼은 우리에게 무엇인가 - 몽골.시베리아 역사 낳고 기른 '자궁' -

  • 주채혁
    • 한국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04년도 학술심포지움
    • /
    • pp.15-23
    • /
    • 2004
  • - 시원 알기 위해서는 고대 국가의 중심부 아닌 기원지에 주목해야 알타이 사얀산에서 비롯해 순록의 먹이인 이끼 따라 한반도로 이동 - 한민족은 바이칼에서 온 순록유목민의 후손" 바이칼은 거대한 화산지대이며 약 1만3,000년 전 빙하기 후기 이후 고도가 낮고 온천수가 솟아나는 등 사람이 살기에 적합해 유라시아 북방 몽골리안의 창세기가 쓰인 장엄한 역사무대다.(중략)

  • PDF

DHSVM을 이용한 수문기상인자 산정 (Estimation of Hydrometeorologic Parameters using DHSVM)

  • 조현곤;김광섭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6년도 학술발표회
    • /
    • pp.222-222
    • /
    • 2016
  • 기후변화에 의한 자연재해의 규모와 빈도가 증가함에 따라 수자원 영향 평가 및 대응전략 수립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물리기반의 분포형 수문기상모형인 DHSVM을 이용하여 2012년-2014년 동안의 한반도 유역의 기상인자 자료를 수집하여 증발산, 토양수분, 현열, 잠열, 지열, 순복사량 등의 수문기상인자를 산정하였다(Fig. 1). 모형의 적합성 평가를 위해서 안동댐 유역에 대하여 검정통계량으로 NSE(Nash-Sutucliffe model efficiency coefficient), RMSE, $R^2$, MAPE(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 example)위한 계산하였다.

  • PDF

화산지역내 용암수형의 유형과 분포에 관한 고찰

  • 김병우
    • 한국동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굴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61-66
    • /
    • 2001
  • 제주도는 한반도의 서남해상에 위치하며 제주도와 그 부속도서 및 추자군도로 이루어진 우리 나라에서 가장 큰 섬이다. 북으로는 목포와 약 88마일의 거리이고 부산과는 동북쪽으로 약 170마일의 거리이다. 제주도는 동서 최대길이 73km이며 남북의 최대길이는 41km로서 타원형이며 섬 전체가 용암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라산은 1,950m로서 섬의 중심부에 우뚝 서 있다. 경사는 남쪽이 북쪽에 비해 비교적 급하고 평야는 서남 해안 쪽에 발달하였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