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한반도 비무장지대 문화유산의 실태조사 현황과 성과 고찰

A Study on the Status and Performance of Cultural Heritage in the Demilitarized Zone on the Korean Peninsula

  • 황보경 (세종대학교박물관)
  • HWANGBO Kyung (Sejong Univercity Museum)
  • 투고 : 2024.03.22
  • 심사 : 2024.05.10
  • 발행 : 2024.06.28

초록

한반도 비무장지대 실태조사는 2020년 5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실시되었고, 그에 대한 결과물이 『한반도 비무장지대 2020-2021 실태조사 보고서』로 간행되었다. 이번 실태조사는 고고분야를 비롯하여 건축·동물·식물·지질·경관 등 문화·자연유산 전문가 50여 명이 참여한 가운데 모두 18차에 걸쳐 진행되었다. 이중에서 실태조사를 통해 확인된 문화유산은 모두 33개소로 경기도에 20개소, 강원도에 13개소이고, 종류별로 관방유적 8개소, 분묘 6개소, 유물산포지 15개소, 기타 4개소이다. 비무장지대 문화유산에 대한 실태조사는 이전에 이루어졌던 군사보호구역에 대한 지표조사 및 도라산 유적, 군부대 부지 등의 시·발굴조사와 연계되는 매우 의미있는 학술조사라 할 수 있다. 이번 조사를 통해 처음 발견된 유적이 적지 않고, 기존에 조사된 유적도 그 위치나 구조, 수습 유물이 다르게 확인되어 정밀조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특히 철원도성과 성산성의 현황을 재확인함과 동시에 파주 조산리와 철원 강서리 등의 유물산포지에서 구석기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다양한 유물이 수습되었으며, 횡산리사지도 비무장지대의 불교유적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그러나 파주지역의 일부 묘역과 유물산포지의 경우 경작과 개발로부터 안전하지 않다는 현실을 알 수 있는 계기가 되었고, 철원도성과 성산성, 조랑진보루, 강서리보루도 군부대 시설이 조성되는 과정에서 유구가 훼손되어 긴급조사가 필요한 상태이다. 또한 장단 및 군내면과 강산리 유적 일대의 경작지와 구릉지대는 소규모 개발과정에서 매장유산에 대한 조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번 문화유산 실태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관계 당국과 기관들이 보다 긴밀하게 협조하여 비무장지대 문화유산을 특별관리 및 중장기적으로 조사하는 방안을 수립해야 하는 중요한 시점이다.

A fact-finding survey of the Demilitarized Zone can be said to be a very meaningful academic survey linked to previous index surveys of protected military areas and municipal and excavation surveys of ruins and military sites on Mount Dora. Not a few ruins were first discovered in this survey, and the locations, structures, and restoration artifacts of the previously investigated ruins were confirmed differently, raising the need for a detailed investigation. In particular, it is noteworthy that various relics from the Paleolithic Age to the Joseon Dynasty were recovered from relics dispersion sites such as Josan-ri and Cheorwon Gangseo-ri in Paju, and Hoengsan-ri Temple Site is also a Buddhist relic in the Demilitarized Zone. However, in the case of some graveyards and relics sites in the Paju region, it was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the reality that they are not safe from cultivation and development, and the ruins of Cheorwon Capital Castle, Seongsanseong Fortress, Jorangjin Bastion, and Gangseo-ri Bastion were damaged during the construction of military facilities, and an urgent investigation is needed. Also, farmland and hilly areas around the ruins of Jangdan, Gunnae-myeon, and Gangsan-ri have not been properly investigated for buried cultural assets due to small-scale development. Therefore, it is an important time for the relevant authorities and agencies to cooperate more closely to establish special management and medium- to long-term investigation measures for the cultural heritage in the Demilitarized Zon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fact-finding investig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강릉대학교 박물관, 1995, 「고성군의 역사와 문화유적」, pp.77~79.
  2. 강신엽, 2003, 「경기지역 비무장지대의 유교문화」, 「비무장지대 도라산유적」, 경기도박물관.세종대학교 박물관.
  3. 강원고고학연구소, 2001, 「장흥리 구석기유적」.
  4. 강원대학교 박물관, 1995, 「철원군의 역사와 문화유적」.
  5. 강원문화재연구소, 2016, 「철원 산명리.유정리 구석기 유적」.
  6. 경기도박물관, 2001, 「임진강」 1~3.
  7. 경기도박물관, 2003, 「경의선 연결도로 비무장지대구간 문화유적 지표조사 보고서」.
  8. 경기도박물관, 2005, 「고구려 유적의 보고 경기도」.
  9. 경기도박물관, 2009, 「임진강」.
  10. 경기도박물관.세종대학교 박물관, 2003, 「비무장지대 도라산유적」.
  11. 경기도박물관.육군박물관, 2001, 「남북연결도로(통일대교-장단간) 문화유적 시굴조사 보고서」.
  12. 경기문화재연구원, 2014, 「경기도 DMZ 자유의 마을 대성동」.
  13. 국립문화재연구소, 2000a, 「군사보호구역 문화유적 지표조사보고서-경기도편-」.
  14. 국립문화재연구소, 2000b, 「군사보호구역 문화유적 지표조사보고서-강원도편-」, p.354.
  15. 국립문화재연구원, 2022a, 「한반도 비무장지대 2020-2021 실태조사 보고서」.
  16. 국립문화재연구원, 2022b, 「임진강유역 고대성곽유적 현황조사 보고서」.
  17. 국방문화재연구원, 2012, 「연천 횡산리 적석총」.
  18. 국토문화재연구원, 2018, 「고성 송현리 128번지 유적」.
  19. 김남돈, 1995, 「철원군의 선사유적」, 「철원군의 역사와 문화유적」, 강원대학교 박물관.
  20. 김병희, 2003, 「경기지역 비무장지대 유물과 유적」, 「비무장지대 도라산유적」, 경기도박물관.세종대학교 박물관, p.402.
  21. 문화재관리국 문화재연구소, 1993, 「파주 서곡리 고려벽화묘 발굴조사 보고서」.
  22. 방유리, 2023, 「군부대 문화재 조사현황과 보호 방안」, 「박경식 그리고 한국 고고미술」, 학연문화사, pp.282~283.
  23. 백종오, 1999, 「경기북부지역 고구려 성곽의 분포와 성격」, 「경기도박물관연도」 3, 경기도박물관.
  24. 백종오, 2007, 「남한지역 고구려 관방체계」, 「선사와 고대」 26, 한국고대학회.
  25. 불교문화재연구소, 2018, 「철원 안양사지」.
  26. 서울대학교 박물관, 2015, 「연천 무등리 2보루」.
  27. 서울대학교 박물관, 2019, 「연천 무등리 1보루 정밀 발굴조사 보고서」.
  28. 서울문화유산연구원, 2021, 「파주 백연리 유적」.
  29. 심정보, 2019, 「태봉국 철원도성의 축조기법과 공간구성」, 「문물연구」 36, 동아문화재단.
  30. 심재연, 2019, 「일제강점기 태봉국 철원성 조사와 봉선사지」, 「문화재」 52(1), 국립문화재연구소.
  31. 심재연, 2022, 「강원 고성지역 사례로 본 DMZ와 접경지역 문화유산 현황과 보호 방안」, 「문화재」 55(3), 국립문화재연구원.
  32. 안성현, 2017, 「덕진산성의 축조 연대와 의미」, 「백제문화」 56,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33. 엄기표, 2003, 「경기지역 비무장지대의 불교문화」, 「비무장지대 도라산유적」,
  34. 엄기표, 2005, 「파주 읍내리 석불 입상」, 「문화사학」 23, 한국문화사학회, pp.206~207.
  35. 예맥문화재연구원, 2009, 「철원 평화.문화광장 조성사업부지내 유적 시굴조사보고서」, 「화천 용암리유적」.
  36. 울산문화재연구원, 2018, 「연천 답곡리 1009유적」.
  37.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1994, 「경기도 파주군 군사유적 지표조사 보고서」.
  38.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1995, 「경기도 연천군 군사유적 지표조사 보고서」.
  39.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1996, 「강원도 철원군 군사유적 지표조사 보고서」.
  40. 이정철, 2022, 「임진강과 한강 하류역 구석기 유적 조사의 성과와 과제」, 「제46회 한국고고학전국대회 발표문」, 한국고고학회.
  41. 이재, 2019, 「비무장지대 문화유적 현황과 보전방안」, 「문화재」 52(1), 국립문화재연구소, p.218.
  42. 이홍직, 1954, 「고려벽화고분 발굴기」, 「한국문화논고」.
  43. 조병로.김주홍 외, 2003, 「한국의 봉수」, 눈빛.
  44. 중부고고학연구소, 2022, 「파주 덕진산성III」.
  45. 최승엽, 2018, 「강원도 구석기연구 최근 10년의 성과와 전망」, 「한국구석기학보」 37, 한국구석기학회.
  46. 한국고고환경연구소, 2017, 「철원 강산리 유적」.
  47. 한국토지공사 토지박물관, 2000, 「연천군의 역사와 문화유적」, p.485.
  48. 한양대학교 문화재연구소, 2006, 「연천 횡산리 구석기 유적」.
  49. 한양대학교 박물관.문화인류학과, 1999, 「파주시의 역사와 문화유적」.
  50. 황보경, 2015, 「603년 북한산성 전투 고찰」, 「한국사학보」 58, 고려사학회.
  51. 허의행.양정석, 2021, 「태봉 철원도성의 고지형과 구조 분석 연구」, 「문화재」 54(2), 국립문화재연구소.
  52. 허의행.심재연.양정석, 2022, 「DMZ 내 유적 탐색과 신발견」, 「선사와 고대」 68, 한국고대학회, pp.204~209.
  53. '파주마애사면석불', 국가유산청 국가문화유산포털, 2024년 2월 27일 접속,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ulPageNo=1®ion.
  54. '파주읍내리석조여래입상', 국가유산청 국가문화유산포털, 2024년 2월 27일 접속,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ulPageNo=1®ion.
  55. '동송읍마애불상', 국가유산청 국가문화유산포털, 2024년 2월 27일 접속,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ulPageNo=1®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