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한국 수학

Search Result 10,128,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Analysis of Pattern of Mathematical Interaction Occurring in the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lassrooms (초등학교 수학교실에서 나타난 수학적 의사소통 유형 분석)

  • Cho, Young-Jun;Shin, Hang-Kyun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14 no.3
    • /
    • pp.681-700
    • /
    • 2010
  • These days, the importance of the mathematics interaction is strongly emphasized, which leads to the need of research on how the interaction is being practiced in the math class and what can be the desirable interaction in terms of mathematical thinking. To figure ou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athematical interaction patterns and mathematical thinking, it also classifies mathematical thinking levels into the phases of recognizing, building-with and constructing. we can say that there are all of three patterns of the mathematics interactions in the class, and although it seems that the funnel pattern is contributing to active interaction between the students and teachers, it has few positive effects regarding mathematical thinking. In other words, what we need is not the frequency of the interaction but the mathematics interaction that improves students' mathematical thinking. Therefore, we can conclude that it is the focus pattern that is desirable mathematics interaction in the class in the view of mathematical thinking.

  • PDF

Mathmatization As a Method of Teaching Mathematical Thinking (수학적 사고의 교수 방법으로서의 수학화)

  • Yoo Hyun Joo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1 no.1
    • /
    • pp.123-140
    • /
    • 1997
  • Researchers have insisted that mathematics should be learned not as a product but as a process. Nevertheless school mathematics has chosen ‘top-down’ method and has usually instilled into the mind of students the mathematical concepts in the form of product. Consequently school mathematics has been teamed by students without the process of inquiring and mathematical thinking. According to Freudenthal, it is a major source of all problems of mathematics education. He suggested mathematising as the method for 'teaching to think mathematically' 'Teaching to think mathematically' through the process of mathematization, interpreting and analysing mathematics as an activity, is a means to embody the purpose of mathematics education.

  • PDF

Using History of Mathematics for Prospective Mathematics Teachers (예비수학교사를 위한 수학사 활용 방안)

  • Jung, Hae-Nam
    •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 /
    • v.25 no.3
    • /
    • pp.141-157
    • /
    • 2012
  • There is enthusiasm among many mathematics educators to seek to understand how history of mathematics can be employed to emphasize the usefulness of mathematics and to make it even more useful. We investigate theoretical backgrounds of using history of mathematics for secondary students and prospective mathematics teachers. On the basis of historico-genetic principle and mathematics teachers' professional knowledge, we go into curriculum of prospective mathematics teachers. This study focussed on developing pedagogical approach using history of mathematics for prospective mathematics teachers.

생활 속의 수학 문제가 대학교 1학년 수학 학습부진학생의 수학화 과정에 미치는 영향

  • Kim, Hwa-Su;Kim, Seong-Su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2
    • /
    • pp.397-409
    • /
    • 2001
  • ‘수학을 한다는 것은 수학자가 하는 것처럼 하는 것이다.’ 이 말은 여러 번의 시도와 실패를 반복해 가면서 ‘왜 이렇게 될까?’ 라는 의문을 가지고 여러 가지 창의적인 수학적 사고를 먼저 해보고 문제를 대하는 것을 뜻한다. 생활 속의 수학 문제는 바로 이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런 수학 문제를 풀 때 학생들은 수동적이 아닌 능동적인 논리적 사고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 입시제도로 인해 지금까지의 수학을 암기위주로 수동적으로만 학습하였던 수학 부진학생들에게 생활과 연관된 수학문제들을 제시함으로써 수학 우수 학생과 비슷한 능동적 구성활동을 유발할 수 있었으며 수학 부진 학생들과 우수 학생들의 지금까지 배운 수학 학습의 전이에 어떤 요인이 영향을 주었는지를 조사하였다.

  • PDF

${\cdot}$ 중학생들의 수학적 신념 형성의 요인 분석 -수학 교실의 사회적 규범을 중심으로-

  • Gwon, Mi-Yeon;Jeon, Pyeong-Gu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8
    • /
    • pp.189-207
    • /
    • 1999
  • 본 연구의 목적은 초 ${\cdot}$ 중학생들의 수학적 신념을 알아보고, 그러한 신념을 형성하는 요인들을 수학 교실의 상호작용에서 찾아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 6학년과 중학교 1, 2, 3학년 학생들의 수학적 신념을 질문지로 조사하였으며 각급 학교의 수학 교실에서 벌어지는 교수-학습 과정을 비디오로 촬영하여 각 교실의 사회적 규범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서, 학생들은 수학은 이미 만들어진 규칙과 용어들로 이루어졌고 그 규칙에 따라 주어진 문제를 풀어 답을 구하는 것이 수학적 활동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한편, 이러한 신념은 각급 교실에 형성된 사회수학적 규범과 일치했으며, 특히 개념설명과 새로운 전략 및 오류에 대한 반응과 관련된 사회수학적 규범이 학생들의 수학적 활동을 제한함으로써 그들의 신념을 결정하고 있었다.

  • PDF

Comparison and Analysis among Mathematical Modeling, Mathematization, and Problem Solving (수학적 모델링과 수학화 및 문제해결 비교 분석)

  • Kim, In-Kyung
    •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
    • /
    • v.25 no.2
    • /
    • pp.71-95
    • /
    • 2012
  • Nowadays, the big issues on mathematics education are mathematical modeling, mathematization, and problem solving. So, this paper looks about these issues. First, after 1990's, the researchers interested in mathematical model and mathematical modeling. So, this paper looks about mathematical model and mathematical modeling. Second, it looks about Freudenthal' mathematization after 1970's. And then, it compared with mathematical modeling. Also, it looks about that problem solving focused on mathematics education since 1980's. And it compared with mathematical modeling.

학교 현장에서의 수학과 수행평가에 관한 고찰

  • Go, Sang-Suk;Jeon, Yeong-Ju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5
    • /
    • pp.129-134
    • /
    • 2003
  • 수학과의 평가는 수학의 학습 내용에 대한 학생들의 성취도를 다양한 유형의 평가기법을 이용하여 파악하고, 이를 통해 수학교육의 질을 관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대부분의 평가는 수학교육의 본질이라 할 수 있는 학습자의 수학적 사고력을 제대로 측정하지 못하고 단편적인 수학적 지식을 결과 위주로 평가하는 데 만족해 왔다. 한편으로는 지극히 교과서적이고 인위적인, 단지 문제를 위한 수학 문제는 수학 무용론을 부추기기도 하였다(박경미, 1998). 이와 같은 수학과의 위기를 탈출하기 위해서는 결과만을 고려하는 선다형의 문제가 아닌 과정을 중시하는 서술형 주관식 문제, 기능 위주의 고립된 수학적 지식을 측정한 학업성취 결과보다는 수학 학습에 대한 태도나 노력, 관심, 탐구적 활동 그리고 성향 등 정의적 영역의 평가가 절실히 요구된다. 따라서 기존의 지필 검사를 뛰어넘는 다양한 평가의 틀이 요구된다 하겠다. 이런 점에서 1999학년도부터 시행되고 있는 고등학교에서의 수행평가는 변화하는 교육기조의 교수 ${\cdot}$ 학습에 대한 적절한 평가의 한 방법이라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는 다양한 평가의 틀 가운데 수학과 수행평가에 관한 고찰을 통해서 현장에서의 수행평가활용 방법을 찾는데 있다.

  • PDF

미국 NCTM의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에 나타난 수학과 교수 ${\cdot}$ 학습의 이론

  • Choe, Yeong-Han;Kim, Mi-Wol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3 no.2
    • /
    • pp.751-764
    • /
    • 2002
  • 미국의 “전국 수학 교사 협의회”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NCTM)는 1989년부터<학교 수학의 교육과정과 평가 규준> (1989), <수학 가르침(교수)의 전문성 규준> (1991), <학교 수학의 평가(시험) 규준> (NCTM, 1995), <학교 수학의 원리와 규준> (2000)을 출판하여 미국의 수학 교육의 전망(목표, 나아갈 길)과 규준(실행 지침)을 제시하였다. 수학 교사들로 구성된 미국의 NCTM은 학생, 학부모, 학교 행정가 등 많은 사람들과 힘을 합하여 모든 학생들에게 수준 높은 수학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여건(환경, 기회)을 조성하는 데 구심점의 역할을 하였다. 한편 많은 관련 단체들은 여러 배경과 능력을 가진 학생들이 전문성을 지닌 교사(특수 교사를 일컫는 말이 아니다. 수학 교과를 이해하고 수학의 전문성과 특수성을 가르칠 수 있는 일반 교사를 일컫는 말이다.)로부터 미래를 대비해 평등하고, 진취적이며, 지원이 잘 이루어지고, 공학 도구(IT)가 잘 갖춰진 환경에서 중요한 수학적 아이디어를 이해하면서 학습할 수 있는 수학 교실(미국에서는 우리나라처럼 수학 교사가 수학 시간에 학생의 방(교실: Homeroom)에 찾아가지 않고 학생들이 선생의 방(수학 교실: Classroom)을 찾아온다. 전형적인 수학 교실의 사진은 2쪽에 나와 있다.)을 만들기 위해 함께 힘썼다. NCTM에서 출간한 여러 규준들은 우리나라의 제 6 차와 제 7 차 교육과정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이 글에서는 NCTM (2000)에서 제시한 학습 원리를 간단히 살펴본 다음 이를 중심으로 현재 미국 수학교육의 교수 ${\cdot}$ 학습 이론의 동향을 살펴본다.

  • PDF

Elementary Students' Mathematics Anxiety: A Review (초등학생 수학불안에 관한 문헌연구)

  • Kim, Rina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 /
    • v.21 no.2
    • /
    • pp.223-235
    • /
    • 2018
  • This literature review focuses on the history of research on elementary students' mathematics anxiety. The results of analysis shows the characteristics, measurement tools, causes and the treatments of mathematics anx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alytical views of elementary students' mathematics anxiety to teachers, researchers and policymakers. I categorize the results of analysis according to the key words of literatures: (1) the relationship between mathematics anxiety and students' behavior (2) measurements of mathematics anxiety (3) the causes of mathematics anxiety and (4) the treatment of mathematics anxiety.

Korea-U.S. Cross-National Comparison Study on Mathematics College Entrance Exams : the 7~th Pilot Test and the S.A.T. (한미 대학 입학 시험(수학)의 비교 연구 : 7차 실험 평가와 S.A.T.를 중심으로)

  • Kwon Oh Nam
    • The Mathematical Education
    • /
    • v.32 no.3
    • /
    • pp.244-255
    • /
    • 1993
  • 본 연구를 수행하게된 동기는 1994년부터 미국에서 S.A.T.를 개정하고, 한국에서는 대학 수학 능력 시험 제도라는 새로운 제도가 도입되는 것에 있다. 대학 학업 적성 평가 제도로서 미국의 S.A.T. 제도에 대한 유효성이 많은 학자들에 의해서 연구되고 있다. 대학 수학 능력 시험과 S.A.T.는 각각 한국과 미국의 대학에서 학업 적성을 측정한다는 면에서 그 목적이 같다. 한국의 대학 수학 능력 시험의 유효성을 연구하기에는 아직 실시되지 않았으므로 너무 이르다고 본다. 대학 수학 능력 시험 제도 확립이 실험 평가에 근거하기 때문에 대학 수학 능력 시험 실험 평가와 S.A.T.를 비교 연구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본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한국의 대학 수학 능력 시험 실험 평가(수리)와 미국의 S.AT.(수학)와의 상관 관계를 연구한다. 본 연구의 조사 대상으로 선발된 집단으로서 광주시의 3개교 6학급의 고등학교 3학년 283명이 참가하였다. 본 논문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가 연구되었다. 1. 7차 실험 평가(수리)와 S.A.T.(수학)의 평균 점수에 대한 남녀 차이의 통계학적 유의성 (statistical significance). 2. 7차 실험 평가(수리)와 S.A.T.(수학)의 평균 점수에 대한 자연계 인문계 차이의 통계학적 유의성 (statistical significance). 3. 한국의 대학 수학 능력 시험 실험 평가(수리)와 미국의 S.A.T.(수학)의 상관 관계.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