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한국수화

검색결과 2,091건 처리시간 0.03초

교각 코핑부의 외기온도와 타설온도에 따른 수화열 해석 (Hydration Heat Analysis of Coping With Ambient and Placing Concrete Temperature)

  • 양주경
    • 한국컴퓨터산업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99-104
    • /
    • 2008
  • 매스콘크리트에서 수화열에 의한 응력은 외기온도와 콘크리트의 타설온도에 따라 변하므로 이들의 영향을 고려한 해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교각의 코핑부를 대상으로 해석을 수행하여 분석하였다. 최대 인장응력은 타설 후 2.75일을 전후하여 표면 모서리부에서 발생하며 균열지수는 계속 증가하여 균열 발생 가능성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계절에 관계없이 콘크리트의 타설온도를 낮추면 수화열에 의한 균열 발생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타설온도를 낮추기 위한 여러 가지 방안을 강구하면 수화열에 의한 균열을 최소화할 수 있다.

  • PDF

겉보리 및 쌀보리의 수화속도 (Absorption of Water by Husked and Naked Barley)

  • 이종숙;김성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20-224
    • /
    • 1983
  • 겉보리(올보리와 강보리) 및 쌀보리(세도하다가와 백동)를 각각 40 및 30%도정한 다음, 20, 30 및 $40^{\circ}C$에서 6시간 침지하면서 수화속도를 검토하였다. 수화속도는 수화시간의 평방근에 비례하였고, 확산계수 ($D,\;cm^{2}/min$)는 D = $D_{0}\;{\exp}\;(-E_{a}/RT)$로 표시되었다. 확산계수 값은 강보리가 돌보리보다 다소 높았으며, 세도하다가와 백동은 비슷하였다. 쌀보리의 확산계수는 겉보리보다 다소 높았다.

  • PDF

황토결합재를 이용한 매스콘크리트의 수화열과 건조수축 효과 (Effect of Hydration Heat and Drying Shrinkage of Mass Concrete Using Hwangtoh Binder)

  • 강성수;이성로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제20권1호
    • /
    • pp.649-652
    • /
    • 2008
  • 본 연구는 황토결합재로 시멘트를 대체함으로써 시멘트의 수화 반응 등에 의한 콘크리트 내부발열과 건조수축 문제의 해결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소형모형에서 HBC는 28일 압축강도가 18${\sim}$33MPa으로 보통강도 콘크리트의 강도를 발현할 수 있으면서, OPC에 비해 양생시 내부의 최고온도가 1/4 정도로 낮게 나타나고 건조수축 역시 HBC는 OPC에 비하여 50% 감소하였다. 대형시편에서도 HBC는 낮은 수화열로 인해 내부온도가 OPC에 비해 50% 낮게 나타났으며 건조수축 역시 60일 기점으로 OPC의 50% 정도의 수축률을 나타났다. 따라서 황토 결합재를 이용하여 매스 구조물을 제작하면 시멘트에 비하여 수화열과 건조수축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상대적으로 유리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분발도가 포틀랜드 시멘트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Fineness on the Properties of Portland Cement)

  • 송종택;김재영;전준영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77-81
    • /
    • 1999
  • 분말도가 포틀랜드 시멘트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서로 다른 분말도(2300, 2500, 3000, 3500, 3500, 4500 $\textrm{cm}^2$/g)를 갖는 5종의 일반 포틀랜드 시멘트를 제조하여, Ca(OH)2 분석, 수화열, 유동성 및 물성 측정을 하였다. 그 결과, 시멘트의 분말도가 낮아짐에 따라 수화속도는 늦어졌고 수화열 및 압축강도는 떨어졌으나 유동성은 개선되었다. 특히 2300$\textrm{cm}^2$/g 시멘트의 경우, 수화열은 3500$\textrm{cm}^2$/g 시멘트에 비교해서 약 15% 감소하였다.

  • PDF

보통포틀랜드 시멘트의 수화에 미치는 Boric Acid의 영향 (The Effect of Boric Acid on the Hydration of OPC)

  • 이의학;송영진;송명신;이경희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401-408
    • /
    • 2002
  • 무기질 지연제인 붕산 첨가시 OPC의 수화지연 특성을 연구하였다. 붕산 무첨가시에는 수화시작 수분안에 침상형의 Ettringite가 활발하게 생성하나 붕산을 첨가함에 따라 Ettringite와 $Ca(OH)_2$의 형성은 지연되었다. 이는 pH의 저하에 따른 Al이온의 안정화로 수화반응이 지연되기 때문이다.

립모션을 이용한 수화 인식 툴 개발로 일반인과 청각 언어 장애인들간의 대화와 소통의 장 구성 (A Development on Sign Language Recognition Tools for Communication with Dyslexic and Hearing-impaired People)

  • 조재현;이동훈;하대규;김지인;이상은;고석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109-1112
    • /
    • 2014
  • 본 논문은 최근 급변하는 스마트 시대에 발 빠르게 대처하기 힘든 장애인들과 일반인간의 단절을 해소하기 위해 도움을 주고자 한다. 사람들 간의 융합을 위해서는 기본적인 대화가 진행되어야 하는데 청각언어 장애인들과의 대화를 위해서는 수화를 사용하여야 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수화언어에 대한 지식이 미흡하고 원활한 의사소통에 큰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립모션을 이용한 수화 인식 툴의 개발을 통해 일반인과 청각언어 장애인들간의 의사소통을 증진시켜주는 것이 목적이다.

Bensulfuron-methyl 혼합(混合) 액상수화제(液狀水和劑)의 사용법(使用法) 개발(開發) 연구(硏究)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weed Control Method for Paddy Rice by Bensulfuron-methyl Combination Suspension Concentrate)

  • 류갑희;박재읍;이인용;이한규;이정운;박영선;신현승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8-33
    • /
    • 1994
  • 본(本) 실헌(實驗)은 pyributicarb/bensulfuron-methyl과 oxadiazon/bensulfuron-methyl 액상수화제(液狀水和劑)의 제초효과(除草效果)를 검토(檢討)하고 사용(使用) 기술(技術) 개발(開發)을 자연(目的)으로 수행(遂行)하였다. 1. Pyributicarb/bensulfuron-methyl과 oxadiazon/bensulfuron-methyl 액상수화제(液狀水和劑)의 제초효과(除草效果)는 입제(粒劑)와 유사(類似)하였다. 2. Pyributicarb/bensulfuron-methyl과 oxadiazon/bensulfuron-methyl 액상수화제(液狀水和劑)의 확산(擴散) 거잡(距雜)는 6m 이상(以上)이었다. 3. Pyributicarb/bensulfuron-methyl 액상수화제(波狀水和劑)를 관수시(灌水時) 물꼬처리(處理)와 담수(湛水) 후(後) 논뚝처리(處理)한 후(後) 제초효과(除草效果)는 90% 이상(以上)이었다. 4. Pyributicarb/bensulfuron-methyl 액상수화제(波狀水和劑)의 침강속도(沈降速度)는 1시간(時間)에 1-2cm 정도(程度)였다. 5. Pyributicarb/bensulfuron-methyl 액상수화제(波狀水和劑)의 담수심별(湛水深別) 제초효과(除草效果)는 담수심(湛水深) 0-1cm에서 보다 6-7cm에서 더 높았다.

  • PDF

콘크리트 배합요인별 상·하부 분리타설에 의한 수화열 균열지수 저감방안 및 현장적용 (Method of Decreasing Cracking Index by Different Mix Conditions for Separated Placement and its Field Application)

  • 김민호;한천구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권3호
    • /
    • pp.292-29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매스 매트 콘크리트에 있어, 상 하부를 구분하여 타설하는 실무조건을 고려하여, 상부 및 하부배합의 혼화재 종류와 치환율을 동일 및 달리하는 배합 조건 변화로부터 최적치를 도출한 다음, 실구조체에 적용하여 해석치와 실측치간을 비교하므로서, 혼화재를 활용한 매스콘크리트의 효율적인 수화열균열 저감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먼저, 현장적용 전 사전검토를 위해 Midas gen을 이용하여 수화열 해석을 실시한 결과 상부는 OPC : FA = 85 : 15 배합, 하부는 OPC : FA : BS = 50 : 20 : 30 배합을 본 대상 구조물 매스 매트콘크리트의 최적배합으로결정하였다. 이를 적용한 실제 현장의 시험결과 슬럼프, 공기량 및 압축강도는 모두 목표범위를 만족하였다. 또한, 봄철 실제 현장의 매스 매트콘크리트의 온도특성으로 최적배합의 경우는 중심부의 최고 온도 약 $59^{\circ}C$, 표층부 온도 약 $49^{\circ}C$로 나타나, 약 $10^{\circ}C$의 온도차가 나타났으며, 수화열 해석결과 약 1.4의 균열지수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실무를 고려한 매스 매트콘크리트의 경우 상 하부 타설 콘크리트간의 저발열 배합정도를 달리 고려하는 수화발열량차 공법적용은 침하균열 방지 및 수화열 균열제어에 효과적인 방법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내부 온습도 측정을 통한 초기재령의 콘크리트 내부 습도 및 수화열 변화 특성 분석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Variation of Internal Relative Humidity and Temperature due to Hydration of Concrete at Early Age)

  • 홍성기;박철우;박성재;강태성;김희성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8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제20권2호
    • /
    • pp.741-744
    • /
    • 2008
  • 콘크리트 구조물의 품질관리를 위해 양생초기 내부 수화열 분석 및 습도 거동에 대한 정확한 측정 및 분석은 구조물의 내구성 및 장기공용성의 향상을 위하여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대형 콘크리트 구조물 및 고성능 콘크리트 시공사례가 증가함에 따라 이러한 초기 온습도 거동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2005 정진훈)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초기 재령시 수화반응에 의한 수화열은 내적 및 외적 구속을 받고 있는 콘크리트 구조체에 대하여 온도응력을 발생시켜 양생 초기 균열 및 지속적인 인장응력 영향을 가지게 한다. 또한 대기 온도 및 습도 그리고 콘크리트 양생환경에 의한 급속한 표면 및 내부습도 변화는 콘크리트 건조수축을 유발하며 온도응력과 더불어 초기 콘크리트 구조물에 피해를 좋지 않은 영향을 미쳐 내구성 및 장기공용성을 저하시킨다.최근 이러한 초기 거동의 분석의 중요성 인식되면서 초기 거동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하지만 수화열 분석에 비하여 수분분포 및 거동 분석에 대한 연구는 계측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 또한 내부 습도를 직접적이며 정확하게 측정하기보다는 대기 습도 및 표면습도에 의한 내부습도 변화를 예측하는 연구가 진행되었었다.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초기 재령시 내부의 수화열에 의한 온도 분포 거동과 수화반응 및 건조에 의한 수분 분포 거동을 동시에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편리하고 신뢰성 있는 측정 기법을 제시하고 그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의 온습도 거동을 측정 분석하는데 있다.

  • PDF

뽕나무깍지벌레 1세대 부화 약충의 발생과 살충제 감수성 (Insecticidal Susceptibility and Emergence of First Instar Larvae of Pseudaulacaspis pentagona)

  • 이선영;이성찬;양창열;서미혜;최병렬;윤정범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8권4호
    • /
    • pp.335-339
    • /
    • 2019
  • 뽕나무깍지벌레는 장미과에 속하는 과수의 주요 해충이다. 뽕나무깍지벌레의 산란 및 부화특성과 복숭아 및 매실의 깍지벌레 방제용으로 등록된 살충제 10종(디노테퓨란 입상수화제, 벤퓨라카브 입상수화제. 피리플루퀴나존 입상수화제, 클로티아니딘 입상수용제, 뷰프로페진 수화제, 뷰프로페진+이미다클로프리드 액상수화제, 뷰프로페진+에토펜프록스 입상수화제, 뷰프로페진+티아클로프리드 액상수화제, 벤퓨라카브+뷰프로페진 유제)의 살충제 감수성을 조사였다. 뽕나무깍지벌레의 1세대 부화시기와 부화율을 조사한 결과 5월 초에 가장 많이 발생해서 약 14일 정도 연속적으로 부화하였다. 부화율은 77.7% 였으며, 월동 암컷 성충 1개체의 평균 총 산란수는 58.7개, 평균 부화약충수는 45.7마리였다. 시험에 사용한 살충제 10종 모두에서 100%의 부화 약충 살충효과가 나타났으며 이는 약충 부화시기에 맞추어 약제를 살포하면 효과적으로 방제가 가능한 것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