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dration Heat Analysis of Coping With Ambient and Placing Concrete Temperature

교각 코핑부의 외기온도와 타설온도에 따른 수화열 해석

  • 양주경 (청운대학교 철도행정토목학과)
  • Published : 2008.08.28

Abstract

The thermal stresses due to hydration heat in massive concrete structures are affected by ambient temperature and placing concrete temperature. It is needed to predict the thermal stresses considering ambient temperature and placing concrete temperature. In this study, hydration heat analyses of coping were carried out. After the maximum tensile stress was occurred at 2,75 days the crack index was increased. Therefore the possibility of crack occurrence was rare. The possibility of crack occurrence can be reduced by placing concrete temperature drop. Therefore some method to drop the placing concrete temperature may be effective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crack occurrence.

매스콘크리트에서 수화열에 의한 응력은 외기온도와 콘크리트의 타설온도에 따라 변하므로 이들의 영향을 고려한 해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교각의 코핑부를 대상으로 해석을 수행하여 분석하였다. 최대 인장응력은 타설 후 2.75일을 전후하여 표면 모서리부에서 발생하며 균열지수는 계속 증가하여 균열 발생 가능성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계절에 관계없이 콘크리트의 타설온도를 낮추면 수화열에 의한 균열 발생 가능성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타설온도를 낮추기 위한 여러 가지 방안을 강구하면 수화열에 의한 균열을 최소화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