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업수행

검색결과 417건 처리시간 0.026초

간호대학생의 임상추론 능력과 학업성취도 (A Study on Clinical Reasoning 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s in Nursing Students)

  • 김정아;고자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1874-1883
    • /
    • 2015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임상추론 능력을 확인하고 학업성취도와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졸업반 4학년 학생 87명을 30팀으로 나누어 2-3명이 한 조가 되어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수행한 성인 환자의 수술 후 간호를 녹화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자 2명이 개발한 임상추론 루브릭을 사용하여 평가 및 분석한 대학생의 임상추론 능력은 가장 낮은 초보자 수준이 70.1%(61명), 그 다음 양호한 수준이 23%(20명), 우수한 수준이 6.9%(6명)이었으며, 가장 높은 탁월한 수준에 해당하는 학생은 없었다. 또한 간호대학생들의 임상추론 능력은 학업성취도인 총평점평균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성인간호학 및 성인간호학 실습 교과목의 평점과는 낮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4학년 졸업반 간호대학생들은 졸업 후 신규 간호사가 갖추어야 할 임상추론 능력이 매우 부족하고, 임상추론 능력과 학업성취도 간에 상관성이 확인되지 않았으므로 교육과정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문제중심학습법을 적용한 HTML 교수-학습방법의 연구 (A Study on HTML Learning Method Using PBL)

  • 김갑수;이선현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37-46
    • /
    • 2006
  • 구성주의 교수-학습모형인 문제중심학습법(Problem-Based Learning )은 초등학생의 HTML 학습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ning)과 전통적 강의-실습법을 HTML 학습에 적용하는 비교 실험을 통하여 학업 생취도의 차이와 그 효과성을 검중하였다 문제중심학습은 문제중심학습센터의 IMSA 모형에 근거하여 이루어졌다. 학업 성취도 평가는 이론 영역과 실기 평가 영역으로 나누어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학업 성취도의 이론 영역의 평가영역에서는 강의법과 문제중심학습법이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실기 평가 영역에서는 문제중심학습이 유의한 차로 우위의 학업 성취도를 나타냈다. 실험결과 프로그래밍 학습에서 구성주의 학습형태인 문제중심학습이 전통적 학습 방업에 비하여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 PDF

미디어 융합 활용 플립러닝 기반 실습 수업이 간호대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Flipped Learning Using Media Convergence in Practice Education on Academic Self-efficacy and Self-directed Learning of Nursing Students)

  • 김옥선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49-58
    • /
    • 2020
  • 본 연구는 기본간호학실습 교과목에 미디어 융합을 활용한 플립러닝을 적용한 후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주도 학습 능력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수행하였다. 비동등대조군 전후설계 연구로 실험군 22명, 대조군 26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총 10주 동안 플립러닝 교수법을 적용하였다. 2019년 8월 27일부터 12월 3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플립러닝 수업 전과 후의 실험군과 대조군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차이는 실험군 1.00점, 대조군 0.81점으로 두 군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0.11, p=.917). 그러나 자기주도학습 능력 차이는 실험군 11.32점, 대조군 0.23점이었다(t=2.32, p=.027). 본 연구결과 미디어 융합 활용 플립러닝은 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 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교수법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미디어 융합 활용 플립러닝을 다양한 간호학 교과목에 확대 적용 연구가 필요가 있다.

비전공자를 대상으로 한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동질적 학습 집단 구성을 위한 사례 분석 (Case analysis for constructing a homogeneous learning group in programming lessons for non-specialists)

  • 이경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2호
    • /
    • pp.59-65
    • /
    • 2019
  • 본 연구는 비전공생 대상의 프로그래밍 교육에서 중·소규모의 학생 수로 구성된 학습에서도 학습 성취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 동질적 학습 집단 구성의 필요성을 제안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학부전공별 수업이 진행되고 있는 현실에서 이러한 집단구성이 학습자를 동질 집단으로 분류할 수 있는 요인인지 살펴보았다. 학습내용의 난이도는 동질 집단을 분류하는 요인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난이도가 쉬운 중간성취도와 기말성취도를 나누어 요인을 분석하였다. 또한 난이도와 상관없이 학기내 지속적 학습 의지를 갖는데 영향을 끼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두 성적간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도 살펴보았다. 학습자의 성별과 학부전공은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현재 학부전공별로 프로그래밍 수업이 진행되고 있는 수업환경을 재고해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난이도가 쉬운 학습내용의 학업성취도에는 학습자의 개인적동기가 영향을 미쳤고, 난이도가 어려운 학습내용의 학업성취도와 성취도의 유지에는 수행자기효능감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등예비교사의 창의역량 강화를 위한 융합수업지도안 작성 및 수업시연의 효과 (The Effect of Convergence Lesson Plan and Teaching Demonstration for Enhancing Creative Competency of The Pre-service Teachers')

  • 김은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466-474
    • /
    • 2019
  • 본 연구는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수업에서 중등예비교사에게 요구되는 창의역량 강화와 학업도전 변화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등예비교사 94명이 한 학기 동안 융합수업지도안 작성 및 수업시연으로 진행되는 프로젝트 학습에 참여하였다. 설문지는 지은림, 주언희(2012)가 개발한 창의적 인재 역량측정도구와 배상훈 외(2015)의 학부교육 실태조사(K-NSSE)의 학업도전 사전-사후 설문을 실시하였다. 데이터 분석은 IBM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응표본 t 검정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창의역량에서는 '고차적 사고력', '문제해결능력', '호기심', '감수성', '과제집착력', '사회 가치추구', '협동 및 배려'가 유의미하였다. 학업도전에서는 '고차원 학습'과 '학습전략'이 유의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융합교육, 융합수업을 일반화하여 수업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융합수업설계, 지도안 작성, 실천연구와 반복적인 융합수업의 효과를 검증하며 수정 보완 과정의 필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학업스트레스가 이러닝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안의 매력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Academic Stress on the Intention to Use e-Learning: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Attractiveness of Alternatives)

  • 배재홍;신호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301-309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들의 학업스트레스와 이러닝 이용의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고 대안의 매력도에 대한 조절효과를 파악하는 데 있다. 자료 수집은 2020년 5월 18일부터 5월 22일까지 317부의 설문지를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martPLS를 이용하여 측정모형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대학생들의 학업스트레스 중 수업, 성적, 대인관계로 인한 스트레스는 이러닝 이용의도와 정적인 관계를 보이며, 그 영향력은 학습자가 지각하는 대안의 매력도 수준이 클수록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시험 스트레스는 이러닝 이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대안에 대한 지각된 매력도의 조절효과도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건강한 대학생활과 이러닝 학습의 중요성을 부각시켜 대학 내에서 다양하고 매력적인 이러닝이 제공될 수 있기를 제언한다.

대학생의 COVID - 19로 인한 온라인 학업 경험 (Virtual Academic Experience of College Students Due to COVID-19)

  • 김영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278-290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생의 COVID-19로 인한 온라인 학업 경험을 현상학적으로 이해하고, 그 내용을 밝히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Colaizzi의 분석 방법에 따라 15명의 심층 면담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참여자들은 눈높이 학습 욕구와 불만족스러운 학업 요인들에의 짜증, 학업 만족도를 높이는 요인들에의 고마움,, 온라인 강의에서의 요인들과 외로운 싸움, 건강관리를 통한 조화 도모 등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학생들의 눈높이 학습이 가능하도록 수단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전달력과 집중력을 높이기 위한 변화를 도모해야 한다. 셋째, 소통을 향한 교수의 노력 및 성실성과 열정은 수업에서 학생들을 감동시킨다. 넷째, 공감적이고 지지적인 수업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한 교수-학습자 간의 협력이 필요하다. 다섯째, 코로나가 종식될 때까지 원격 교육의 원칙이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고수되어야 한다. 온라인 강의에서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까지 제시한 본 연구 결과는 효과적인 온라인 수업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소프트웨어 사교육의 양극화 현상 분석 (Analysis of Polarization in Software Private Education)

  • 이재호;심재권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871-878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가구의 월평균 전체 사교육비와 소프트웨어 및 인공지능 관련 사교육비, 그리고 학업성취 간 관계를 분석하여 소프트웨어 교육의 양극화 실태를 조명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초등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 2,7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상관분석과 차이검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프트웨어 교육 참여 여부에 따라 자녀의 학업성취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자녀의 학업성취도가 높을수록 소프트웨어 사교육에 참여하는 비율도 현격히 증가하는 경향성을 확인하였다. 셋째, 총 사교육비와 소프트웨어 관련 사교육비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넷째, 소프트웨어 사교육비와 학업성취도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으나 정적 상관이 존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학부모는 공교육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교육이 충분하지 않은 탓에 사교육 참여와 그 지출 규모를 늘리고 있고, 가구소득에 따라 미래 인재로 성장하기 위한 주요 역량을 키우는 데에 격차가 존재한다는 문제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국 청소년의 학업동기 발달 (The Development of Academic Motivation Among Korean Adolescents)

  • 김아영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4권1호_spc
    • /
    • pp.111-134
    • /
    • 2008
  • 이 논문에서는 한국 청소년의 학업동기가 어떤 양상으로 발달하는 가를 탐색하기 위하여 학업동기에 핵심적인 영향을 미치는 지각된 유능감과 자율성 개념을 중심으로 중학생과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행한 경험적 연구 논문들을 검토하였다. 지각된 유능감은 자기효능감 이론과 기대-가치이론, 자기결정성이론에 기초한 연구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율성은 내재동기이론의 하나인 자기결정성이론에 기초한 연구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들을 종합한 결과, 초등학생시기부터 중학교로 올라가면서 유능감은 감소하다가 고등학교로 가면 약간 증가하거나 변화가 없는 경향을 나타냈다. 자기조절 유형 별로 확인한 자율적 동기 역시 중학생들의 발달 상태가 초등학생에 비해 퇴보된 것과 같은 결과를 보였다. 모든 연령 수준에서 내재동기가 낮고 확인된 조절 동기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무동기 경향이 높아지는 결과가 나타났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 논의하고 후속 연구와 교육현장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들에 대해 제안하였다.

  • PDF

기질 및 성격 검사에서 밝혀진 영재기관 영재의 특성이 영재 선발에 주는 시사점 (Characteristics of "gifted" students found in a new psychological inventory and their implications in selecting "gifted" students)

  • 박주용;오현숙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1권1호
    • /
    • pp.143-156
    • /
    • 2005
  • 영재 교육은 현재 법국적이고 범사회적인 차원에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새로운 심리 검사 도구를 통해 밝혀진 영재의 특성이 기존의 영재 선발의 문제점에 주는 시사점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과학/수학 영재 집단이었고 이들의 특성을 명확하게 구분해 줄 통제 집단으로 학업우수자 및 고지능자집단이었다. 영재의 타고난 기질적 특성과 후천적인 성격을 구분할 수 있는 '기질 및 성격검사 JTCI'와 함께, 진단성 지능검사를 사용하였다. 영재들은 흔히 어떤 타고난 특성이 있다고 특징지어지기 때문에, 학업우수자의 비교할 때, 기질 면에서 어떤 차이가 있을 것이 예상되었다. 그렇지만 기질은 물론 성격의 여러 하위 척도 상에서 영재 집단과 통제 집단간에 어떤 유의미한 차이도 발견되지 않았다. 이 결과는 현재의 영재집단은 그 선발 방식의 다면성이나 복잡성에도 불구하고, 시실상 학업성적 우수자와 차별성이 없음을 보여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확대일로 있는 영재교육의 미래에 대한 몇 가지 제안을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