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업동기

검색결과 381건 처리시간 0.02초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 조화,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 (Relation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Harmony, Stress Coping and Adjustment to College Life among Nursing students)

  • 이지은;곽혜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1호
    • /
    • pp.527-537
    • /
    • 2016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 조화,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경북지역 2개 대학 간호학과 1, 2학년 재학생 231명이며, 2015년 12월 1일~11까지 설문조사 하였고,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대학생활 적응은 대인관계 조화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은 일반적 특성 중 학년, 간호학 지원동기, 간호학 전공만족도 및 학업성적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대인관계 조화(${\beta}=.27$, p<.001), 문제중심 대처(${\beta}=.25$, p<.001), 정서적 대처(${\beta}=-.25$, p<.001), 소망적 사고 대처(${\beta}=-.20$, p<.001)로 나타났고, 이들 변수의 대학생활 적응에 대한 설명력은 23%이었다. 결론적으로, 적절한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대인관계 조화능력을 증진시키는 것은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다.

한국어판 Gifted Rating Scale의 구인타당도 (Construct Validity of Korean Translated Gifted Rating Scale)

  • 이동혁
    • 영재교육연구
    • /
    • 제20권2호
    • /
    • pp.595-619
    • /
    • 2010
  • 본 연구는 Pfeiffer와 Jarosewich(2003)에 의해서 개발된 Gifted Rating Scale(GRS)을 한국어로 번역한 한국어판 GRS의 구인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GRS는 교사의 평가에 의해서 아동의 영재성을 판별하는 척도로 미국 교육부의 영재성에 대한 정의에 기초하여 영재성의 6개 하위영역(지적 능력, 학업적 능력, 예술적 재능, 창의성, 지도력, 동기)을 측정하도록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판 GRS의 구인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서울 경기 지역에 있는 5개 초등학교에서 자료를 수집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한국어판 교사용 GRS는 미국판 GRS와 동일한 요인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부모용의 경우 미국판 GRS와 동일한 요인구조를 가지고 있다고 결론 내릴 수 없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한국어판 GRS 교사용의 타당도에 대한 근거를 제시해 주고 있으며, 한국 교육 현장에의 적용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통신망기반 소집단 협동학습의 실천적 전략탐색 (Exploration on the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Network-Assisted Cooperative Learning)

  • 최성희;전영국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3권1호
    • /
    • pp.31-41
    • /
    • 2000
  • 소집단협동학습은 학습자가 지식의 습득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학습자 중심의 학습방법으로 학업 성취와 함께 상호작용 기술의 습득, 학습의 동기유발, 나아가 창의성을 향상할 수 있는 교수-학습법이다. 정보의 급증과 함께 학습자의 능동적인 참여를 요구하는 현 시점에서 교육현장에서 시행되는 협동학습은 더욱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특히 교수매체로서 통신망의 도입은 기존에 교실에서 수행되어온 소집단 협동학습에 새로운 조명을 가져온다. 그러나 통신망이 협동학습을 도와줄 수 있다는 교육적 기대에도 불구하고 이를 수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지침 및 전략에 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집단 협동학습에 유용한 통신망의 특성을 기반으로 기존의 협동학습 모형을 고찰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교실 수업에서 교수-학습의 도구로서 통신망기반 소집단 협동학습의 실천적인 전략을 제시하였다.

  • PDF

e-러닝의 시스템품질과 동기화요인이 학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fluence of System Quality and Synchronization Factors for Learning Performance in e-Learning: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 김영애;신호균;김준우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0권4호
    • /
    • pp.181-204
    • /
    • 2011
  • Recently, the development of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s technology) with the advent of new media paradigm shift in learning has brought a dramatic impact on the competitiveness of universities. The previous studies on the academic performance of e-learning mainly targeted on e-learning users, studying additional synchronization and system quality factors to measure academic performance.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learning flow and academic performance considering both DeLone & McLean model system quality and synchronizing factors based on ARCS model. Relating to quality and synchronization factors, the academic performance of e-learning system was tested, and the difference between learning flow and academic performance was also analyzed based on time-series data, by the test difference(in the beginning, during, and final of the semester).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shows that both system quality and synchronization directly affected the learning performance. Thus, when designing e-learning system,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se two factors at the same time. Second, the indirectly mediating effect on the system quality and synchronization factors turned out to be significant in learning flow. Third, the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on the contents of utilizing dummy variable presents that the teacher's explanation has greater influence than multimedia has to the academic performance, and furthermore, the test difference showed no significance. Further research should be undertaken to consider the learner's degree of acceptance which reflects various aspects for building m-learning or u-learning.

초등학교 교과통합 로봇활용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in Program Development of Course Incorporated Education by Utilizing Robots in Elementary Schools)

  • 박정호;김철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35-44
    • /
    • 2010
  • 로봇은 지식정보화시대에 요구되는 창의성, 문제해결능력 등의 고차원적인 사고능력 신장의 효과적인 도구로 인식되어 있다. 하지만 해외의 로봇교육이 교과 학습에 통합되어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는 것에 비해 국내의 경우는 조립, 주행, 프로그래밍 등 로봇 자체에 관한 교육 수준에 머물러 있다. 로봇은 본질적으로 설계 및 조립, 조작, 문제해결 등이 결합된 교구로서 실제적인 학습경험을 제공하기 때문에 교과학습과 접목이 된다면 학습동기 및 학업성취도 측면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로봇교육 사례 비교, 로봇 메카니즘, 제7차 교육과정 및 재량활동 분석을 기초로 교과통합 로봇활용교육프레임워크를 설계하고 이를 기초로 학년별, 교과별 로봇활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의 타당성 확보를 위해 적절성, 현실성, 유용성 세 측면의 전문가 검토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수정 및 보완하였다.

  • PDF

언플러그드 활동의 체계적 문헌고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ystematic review of unplugged activity)

  • 김정랑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103-111
    • /
    • 2018
  • 언플러그드 활동의 교육적 효과 및 향후 방향에 대하여 고찰하기 위해 2007년부터 2016년까지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을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고찰을 실시하였다. 체계적 문헌고찰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는 RISS, KISS, E-article의 세 종류를 활용하였으며 '언플러그드', '놀이중심' 등의 옵션으로 검색을 실시하였다.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방법에서 선정한 프로토콜에 따라 모니터링하고 추출한 결과 최종 선정된 논문은 37편이었으며 연구현황, 연구 대상, 연구 방법, 연구 주제어, 학습 유형, 교육 방법, 연구 효과의 측면에서 분석을 실시하였다. 언플러그드 활동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으며 교육적 효과로는 학업성취도 및 문제해결력, 논리적 사고력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정의적 영역에서는 흥미, 호기심, 동기 부여 측면이 가장 많았다. 문헌분석 결과를 기초로 언플러그드 활동이 지닌 특성 및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동기유발을 위한 ARCS 이론을 적용한 수업이 지구과학 학업성취도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ARCS Model for Learners' Achivement and Motivation in Highschool Earth Science)

  • 박수경;김영환;김상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29-440
    • /
    • 1996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ARCS model for science education and found a way of improving ARCS while finding any weaknesses. Mor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1) Does the ARCS model enhance the learners' achivement in highschool Earth Science significantly?; 2) Does the ARCS model enhance the learners' motivation in highschool Earth Science significantly?; 3) What are the weaknesses of the prescriptions of the ARCS model for designing a lesson, if any?; 4) How can the weaknesses of the prescriptions of the ARCS modeI be overcome? In order to fulfill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two major research methodologies were implemented: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and formarive research.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wo distinct phases: 1) designing a set of instructions for 4 weeks with the principles of the ARCS model (to find the weaknesses of the ARCS model) and 2) teaching the instructions and checking the effectiveness of the ARCS model by pretest and posttest with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to find weaknesses of the underlying theory of the ARCS). After the experiment, each group took an achievement test and an attitude test on the given instruction and gathered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s. Also, from each four classes 7$\sim$8 students were randomly sampled and individually interviewed about the instructional effectiveness and their preference on the instruc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experimental group are seen in three components; Attention, relevance, and satisfaction. No significant differences are seen in the attitude of confidence. The weakness of the prescriptions of the ARCS model, are insufficient of strategy for 'confidence'. For overcoming the weaknesses of the prescriptions of the ARCS model, developmental type research is needed.

  • PDF

일부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행복지수에 미치는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Dental Hygiene Students' Happiness Index)

  • 성정희;유수민;최길복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4호
    • /
    • pp.181-186
    • /
    • 2018
  • 다양한 이유로 치위생과에 입학한 학생들 중 국가고시에 대한 스트레스와 학교생활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는 학생들의 스트레스 해소와 만족스러운 학과생활을 위한 상담 및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충청, 경상지역의 213명의 치위생(학)과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행하였다. SPSS 3.0으로 분석한 결과 행복지수는 21점 만점에 평균 16.32점으로 만족감이 15.17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긍정정서가 13.79점, 부정정서가 12,64점으로 나타났으며, 성별, 성격, 친구관계, 학업성취도, 용돈 만족도, 건강상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전공만족도에서는 성격, 친구관계, 진학동기, 전강상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행복지수와 전공만족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래밍 언어의 조절효과 및 학습자의 학습특성과 성취도와의 관계 분석 (Analysis of the moderating effects of programming languag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learning characteristics and achievements)

  • 이경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4호
    • /
    • pp.49-55
    • /
    • 2021
  • 본 연구는 컴퓨터 비전공생인 학습자가 프로그래밍 학습 진입에 사용하기 적정한 언어에 관한 연구를 위해 학습자의 특성과 학습하는 언어에 따른 성취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학습자의 특성은 성취동기, 상황적 흥미, 인지적 관여, 수행자기효능감으로 설정하였으며 사용하는 언어와 학습 성취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구조방정식을 이용한 경로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흥미와 인지적 관여는 수행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고 수행자기효능감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학습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종류가 학습성취도에 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 연구 결과는 소프트웨어 비전공자 대상의 수업에서 학습하는 언어의 종류와 학습 순서가 중요하며 이에 따른 교육과정 설계와 수업진행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제언한다.

한국 내 중국 유학생의 학습태도 유형 분석 - Q방법론적 접근 - (An analysis of Learning Attitude among the Chinese Students in Korea - focused on the Q Methodology -)

  • 이장패;이효휘;박창언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115-123
    • /
    • 2017
  • 본 연구는 한국 내 중국 유학생의 학습태도 유형을 분석하고, 각 유형별 특징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질적 연구방법과 양적 연구방법의 장점을 갖춘 방법론으로 개인의 생각이나 태도와 같은 주관적 행위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Q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연구의 결과 중국 유학생의 학습태도 유형은 네 가지로 분류되었다. 제1유형은 자기 자신에 대하여 만족감을 느끼지만, 학습 환경 및 자원에 대하여 불만이 있는 '학습 환경 불만형', 제2유형은 대학생활에 잘 적응하면서 즐겁게 공부하는 '적극융합형', 제3유형은 학위취득의 목표를 두지만 학습을 위한 의지가 부족한 '학습동력 부족형', 제4유형은 자신의 생각과 행동이 다르게 나타나는 '갈등·혼란형'이다. 논의 결과 중국 유학생이 고향에 떠나 외국에 유학하는 과정에서 성공적인 학습을 위하여 학습에 대한 동기를 명확하게 가지고, 한국어 능력을 더 높여야 하며, 학습방법의 정확한 이해와 활용이 필요하였다. 향후 중국인 유학생이 더욱 늘어나 것에 대비해 학습태도 조절과 학업의 적응을 위한 노력이 대학과 국가적 차원에서 지원할 수 있는 여건을 보다 적극적으로 행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