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습 동기 척도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7초

요양보호사 교육 참가자의 학습동기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cademic Motivation on the Learning Flow with Training for Caregivers)

  • 노효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428-437
    • /
    • 2011
  •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 교육원에서 교육을 받고 있는 교육생들의 학습동기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조사 대상자는 B시의 요양보호사 교육원의 교육생 230명이었다. 연구도구는 학습동기 척도와 몰입 상태 척도를 사용하였다. 학습동기가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본 결과 내재적, 외재적 학습동기가 학습몰입과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학습과제에 대한 몰입은 학습동기가 증가될수록 높아지는 성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외재적 학습동기보다 내재적 학습동기가 학습몰입과 더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요양보호사 교육생들의 몰입정도는 내재적 동기에 가장 많은 영향을 받고, 외재적 동기에도 영향을 일부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공적인 요양보호사 인력 양성을 위하여 요양보호사 교육에 대한 다각적인 측면의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대학원 생물학 강좌에서 역동적 복합 수업 모형(DCIM)의 적용이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과 학습 동기 유형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Application of Dynamic Complex Instruction Model (DCIM) to a Biology Class in the Graduate School and Its Effect in Chang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cademic Motivation Types)

  • 오순애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5권2호
    • /
    • pp.295-306
    • /
    • 2011
  •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의 중요성은 날로 증가하고 있다. 전통적 교수자 주도의 강의, 세미나, 토론 수업 모두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향상에 일정한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역동적 복합 수업 모형(dynamic complex instruction model, DCIM)이 오순애(2010)에 의해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DCIM을 대학원 생물 교과에 적용하였을 때, 대학원생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향상 여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측정 검사 도구로는 유귀옥(1997)이 번안한 West & Bentley(1990)의 자기주도적 학습 준비도 척도를,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의 하위 요인인 학습 동기 척도 측정에는 오순애(2001)가 번안한 Hayamizu (1997)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대구광역시 소재 K 대학교 2010년 1학기 2개 대학원생 생물 수업을 대상으로 DCIM이 적용되었으며, 수업 전 후에 척도를 이용한 검사가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교수자 주도의 일방적 강의 수업을 실시한 통제 집단에 비해 DCIM 적용 수업이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학습 동기는 통제 집단과 실험 집단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본 연구는 대학원 수업에 DCIM의 적용이 대학원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는 의미 있는 결과라고 판단된다.

  • PDF

이러닝 학습자들의 사회비교동기 유형에 따른 EngageGram이 학습참여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EngageGram on e-Learning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Learners' Social Comparison Motive)

  • 진성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652-661
    • /
    • 2015
  •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의 사회비교동기 유형에 따라 이러닝 참여도 동기부여자인 EngageGram이 학습자들의 이러닝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에 참여한 학습자들은 A대학교 '창의적 사고' 교과목을 수강한 144명(남: 106명, 여: 38명)이다. 학습자들의 사회비교동기는 사회비교동기 척도를 활용하는 방법과 학습자들이 이러닝 학습상황에서 EngageGram을 보고 든 느낌이나 생각을 적도록 한 의견을 분석함으로써 사회비교동기 유형을 구분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비교동기 척도를 활용한 경우, 학습자들의 사회비교동기 수준과 이러닝 참여도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이러닝 학습맥락에서 수집한 학습자들의 의견을 분석함으로써 도출한 사회비교유형에 따른 이러닝 참여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들은 학습상황에서 대체로 자기보다 참여도가 높은 학습자들을 비교대상으로 선정함으로써 참여동기가 촉진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학습분석연구 분야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하리라 기대된다.

음악심리치료가 학습부진아의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Music Psychotherapy on Improvising Motivation of Underachieving Students)

  • 강노아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6권2호
    • /
    • pp.1-23
    • /
    • 2009
  • 본 연구는 학습부진아에게 음악심리치료를 실시하였을 때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9명의 대상자들을 4명의 실험집단과 5명의 통제집단으로 구분하고, 실험집단에 주 2회 총 18회기의 음악심리치료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로는 김용래(2000)의 학교학습 동기척도를 사용하였고 검정은 집단 간의 동질성 비교를 위해 Mann-Whitney U, 대상자들의 사전 사후 점수결과에 대한 Wilcoxon 검정을 실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그리고 실험집단 대상자들의 범주화된 언어분석을 함께 하였다. 이를 통해 첫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전체 학습동기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 < .001), 둘째, 실험집단의 학습동기척도 하위영역별 사전 사후 점수를 비교하였을 때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 < .1), 셋째, 회기별 내용 분석을 통해 학습동기 향상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음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음악심리치료가 학습부진아의 학습동기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증명하며 음악심리치료가 학교현장에서 학습부진아의 학습동기를 향상시키기 위한 심리 치료적 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PDF

동기유발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학습동기와 자기효능감의 변화 (Change of Learning Motivation and Self-Efficacy according to Participation in a Motivational Program)

  • 강경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28-134
    • /
    • 2013
  • 본 연구는 대학 체육계열 신입생을 대상으로 4주간의 동기유발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이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학습동기와 자기효능감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C도에 위치한 2개 대학 체육계열 학과를 편의 표본추출 방법에 의해 선정하여 각각 실험집단(37명)과 통제집단(29명)으로 분류하였으며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학습동기 척도는 외적동기, 내적동기로 분류하였고 자기효능감 척도는 자신감, 자기조절효능감, 과제난이도로 구성하였다. 자료분석은 대음표본 t-검증, 일원변량분석,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동기유발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학습동기를 분석한 결과 외적동기에서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 대한 집단내 비교에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내적동기와 외적동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동기유발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자기효능감을 분석한 결과 모든 하위요인에서 집단간에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 대한 집단내 비교에서 실험집단의 자신감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NCS 기반 교육과 학습동기에 따른 학업성과 결정요인분석 (An Analysis of the Academic Achivement of Study Based on NCS-based Education and Learning Motives)

  • 강미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353-359
    • /
    • 2018
  • 본 연구는 NCS기반 교육 및 학습동기와 학업성과간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또한 정부의 NCS(국가직무능력표준)와 학습모듈 개발 장려에 따른 NCS 기반 교육의 실효성을 진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을 위해 우선, 실무중심 교육이 주를 이루는 항공서비스 분야를 중심으로 관련내용 척도를 개발하였다. 관련학과 학생들을 표본대상으로 검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교수역량, 교육내용, 교육방법 등으로 측정된 NCS(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교육은 학업성과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를 영향요인으로 한 학습동기는 학업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초등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력 향상을 위한 블로그 시스템의 활용 (The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elf-directed Learning Competency using Blog Systems in Elementary School)

  • 윤경남;한선관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489-496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자기주도적 학습력 신장을 위한 교육용 블로그 커뮤니티를 구현하여 적용한 뒤 그 효과성을 살펴보았다. 블로그 커뮤니티를 활용한 수업을 한 후 자기주도적 학습력 검사지를 통해 그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 연구에서 설계 및 개발한 블로그를 활용한 학습이 일반 학급홈페이지를 활용한 학습보다 학습자의 자기주도적 학습력 신장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하위 척도별 검사 결과를 보았을 때 인지조절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동기조절, 행동조절 등의 척도에서 특히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블로그 커뮤니티를 활용한 학습 및 학급경영이 자기주도적 학습력 신장에 효과적이며, 특히 학습자의 동기 및 행동에 영향을 미쳐 학습자 주도형 수업 및 학급 커뮤니티를 개발하는 데 큰 도움을 주리라 기대된다.

  • PDF

간호대학생의 학습동기와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earner Motivation and Teacher-student Interaction on Learner Satisfaction in Nursing Students)

  • 조미경;김미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468-47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여 새로운 학습법을 도입할 때 대상자의 학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고려해야 하는 요소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주도학습 준비도, 교수-학생 상호작용, 핵심역량, 스트레스와 학습동기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변수를 측정하기 위하여 자기주도적 학습준비도 검사, 교사-학생관계척도, 대학생 핵심역량, 대학차원의 스트레스 측정도구, 학습동기 측정표, 학습만족도 측정도구를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S시에 위치한 E대학교 간호대학생 2, 3학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132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포함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학습만족도는 자기주도학습 준비도(r= .21, p= .018), 교수-학생 상호작용(r= .39, p<.001), 핵심역량(r= .21, p= .014), 학습동기(r= .75, p<.001)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학습동기는 자기주도학습 준비도(r= .24, p= .005), 교수-학생 상호작용(r= .38, p<.001), 핵심역량(r= .21, p= .018)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습동기와 교수-학생 상호작용이었으며, 이 2개의 변수로 구축된 회귀모형의 학습만족도에 대한 설명력은 59.7%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 학습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동기를 고취시키고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효율적으로 일어날 수 있도록 하는 중재가 필요하겠다.

공학계열 대학생의 물리학습동기 측정 (Measurement of Motivation to Learn Physics in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 문공주;황요한;하민수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4권1호
    • /
    • pp.74-83
    • /
    • 2020
  • 본 연구는 공학대학 학생들의 물리학에 대한 자발적인 학습이 이뤄지지 않는 이유를 탐색하기 위해 물리학습동기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Glynn 등이 개발한 Science Motivation Questionnaire II(SMQ II)을 물리학습 상황으로 수정한 Physics Motivation Questionnaire(PMQ)을 이용하여 서울에 위치하는 C대학의 공학계열 1학년 학생 374명을 대상으로 물리학습동기를 측정하였다. PMQ는 intrinsic motivation, career motivation, self-determination, self-efficacy, grade motivation의 5요인으로 구성되며 총 25개 리커트 척도문항의 검사도구이다. PMQ는 탐색적요인분석(EFA)를 통해 5가지 요인이 공학계열 대학생들의 물리학습동기를 측정하는데 있어 구조적으로 타당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라쉬(Rasch)모델 분석을 활용하여 문항적합도(MNSQ)를 확인하였다. 측정결과, 물리학습동기의 요인 중에서는 성적동기가 평균 4.1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직업동기가 평균 3.75으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내재동기는 평균 3.42, 자기효능감은 평균 3.38, 자기결정력는 평균 3.32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공학대학 학생들의 과학학습 동기는, 점수 및 직업과 관련된 외적 동기가 높게 나타나는 특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공학계열 학생들 물리학습에 대한 숙달목표지향을 가지고 내적 동기를 높일 수 이도록 하는 교수-학습 전략의 개발에 노력해야 할 것이다.

한국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자발성 향상방안에 관한 연구: 자기결정성 이론(self-determination theory)에 기반하여 (A Study on Spontaneous Improvement Plan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 이신복;문준환;박찬욱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3권4호
    • /
    • pp.43-53
    • /
    • 2017
  • 본 연구는 한국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기존의 상벌점제도와 자기결정성 이론에 근거한 교육환경요인들이 학습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학습동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서울시에 위치한 중 고등학교를 다니는 학생 202명을 대상으로 자기결정성 교육환경요인, 학습동기, 학습 성과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자기결정성 이론에 기반 한 교육환경 변수들 중 자율성은 내부, 외부 학습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자신감은 내부, 합리적 동기를 높여주며, 유대관계는 무동기를 낮추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최근 체벌에 대한 대체체벌로서 시행되고 있는 상벌점제도(Reward and Punishment Mark System)가 학생들의 학습동기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동기 하위요인이 학습 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내부동기가 수업참여의지와 학습 성과에 모두 유의한 정의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자기결정성 이론에서 제시하는 자율성, 자신감, 유대관계에 대한 배려가 학습동기를 높여줌으로써 수업참여 의지를 높이고 학습 성과를 높인다는 사실을 확인함으로써 교육 분야에서 벌점제도 이외에 새로운 접근법을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