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습 객체

Search Result 752,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UV Mapping Based Pose Estimation of Furniture Parts in Assembly Manuals (UV-map 기반의 신경망 학습을 이용한 조립 설명서에서의 부품의 자세 추정)

  • Kang, Isaac;Cho, Nam I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0.07a
    • /
    • pp.667-670
    • /
    • 2020
  • 최근에는 증강현실, 로봇공학 등의 분야에서 객체의 위치 검출 이외에도, 객체의 자세에 대한 추정이 요구되고 있다. 객체의 자세 정보가 포함된 데이터셋은 위치 정보만 포함된 데이터셋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매우 적기 때문에 인공 신경망 구조를 활용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으나, 최근에 들어서는 기계학습 기반의 자세 추정 알고리즘들이 여럿 등장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가운데 Dense 6d Pose Object detector (DPOD) [11]의 구조를 기반으로 하여 가구의 조립 설명서에 그려진 가구 부품들의 자세를 추정하고자 한다. DPOD [11]는 입력으로 RGB 영상을 받으며, 해당 영상에서 자세를 추정하고자 하는 객체의 영역에 해당하는 픽셀들을 추정하고, 객체의 영역에 해당되는 각 픽셀에서 해당 객체의 3D 모델의 UV map 값을 추정한다. 이렇게 픽셀 개수만큼의 2D - 3D 대응이 생성된 이후에는, RANSAC과 PnP 알고리즘을 통해 RGB 영상에서의 객체와 객체의 3D 모델 간의 변환 관계 행렬이 구해지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사전에 정해진 24개의 자세 후보들을 기반으로 가구 부품의 3D 모델을 2D에 투영한 RGB 영상들로 인공 신경망을 학습하였으며, 평가 시에는 실제 조립 설명서에서의 가구 부품의 자세를 추정하였다. 실험 결과 IKEA의 Stefan 의자 조립 설명서에 대하여 100%의 ADD score를 얻었으며, 추정 자세가 자세 후보군 중 정답 자세에 가장 근접한 경우를 정답으로 평가했을 때 100%의 정답률을 얻었다. 제안하는 신경망을 사용하였을 때, 가구 조립 설명서에서 가구 부품의 위치를 찾는 객체 검출기(object detection network)와, 각 개체의 종류를 구분하는 객체 리트리벌 네트워크(retrieval network)를 함께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가구 부품의 자세를 추정할 수 있다.

  • PDF

Modern Methodologies of Personalized e-Learning (개인 맞춤형 이러닝의 현대적 방법론)

  • Oh, Yong-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569-572
    • /
    • 2010
  • 맞춤형 이러닝은 학습효과의 증진을 위한 방안으로 개인 맞춤형, 개인화 혹은 적응화 등의 개념이 제안되고 확장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초기 선호도, 흥미도 혹은 검색습관을 고려하는 방식으로부터, 특정한 학습객체를 자율 선택하여 반복 학습할 수 있도록 개념단위를 적용한 방식, 학습자의 능력을 고려한 최적 난이도 학습객체를 제공하는 방식 등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는 현대적 개인 맞춤형 이러닝 체계들을 비교 분석한다. 개별 시스템에 따라 '평가'에 국한되거나 '평가'와 '학습'을 연계하는 경우가 존재하며, 이에 따른 적용에 의하여 학습환경과 맞춤형 제공방식 및 학습효과를 상호 연계할 수 있음을 밝힌다.

  • PDF

A Discourse for the Theory of Adaptive Learning Object Design (적응적 학습객체 설계 이론을 위한 개념적 연구)

  • Jo, Il-Hy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9 no.3
    • /
    • pp.483-500
    • /
    • 2005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the conceptual and theoretical fundamentals of learning object. Learning object, a new paradigm for instructional design in the era of information technology, has attracted much research efforts since it has lots of advantages in terms of production efficiency and use effectiveness. A theory for the systematic design of this new instructional design, however, looks far from mature. Since the birth of the idea of a learning object has been found in the field of computer software design, such as object-oriented software development, learning object does not have enough theoretical underpinnings in terms of learning and instruction. The researcher tried to establish theoretical foundations for this new, alien concept as a learning design theory. Relevant research efforts and discourses have been discussed for this purpose.

  • PDF

Robust Multiple Object Tracking Algorithm for Occlusion Handling using LSTM and Kalman Filter (LSTM과 칼만 필터를 활용한 폐색에 강인한 다중 객체 추적 알고리즘)

  • Lee, Jaehoon;Park, Gyoungsoo;Kim, Byeongj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0.07a
    • /
    • pp.251-254
    • /
    • 2020
  • 비디오 영상으로부터 객체를 추적하는 문제에 있어서 폐색은 오늘날까지도 해결해야하는 문제 중 하나다. 폐색이란 영상 속 찾고자 하는 객체가 이전 프레임에서는 존재했지만 특정 프레임에서는 전경 혹은 다른 객체에 의해 가려져 모습이 보이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폐색이 나타난 상황에서 해당 객체를 추적하기 위해서는 이전 프레임까지 추적된 정보를 바탕으로 영상에 다시 객체가 나타날 때까지 위치를 잘 예측해야 한다. 본 논문은 비디오 영상의 폐색 환경에 강인한 다중 객체 추적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딥러닝 기반의 LSTM 구조를 활용하여 객체의 형태 정보를 학습하고 칼만 필터를 이용해 객체의 속도 정보를 학습한다. 두 정보를 조합하여 폐색이 발생하였을 때 객체의 형태와 위치를 예측하여 영상 속에 객체가 다시 등장하더라도 추적 성능을 최대화 한다.

  • PDF

Grad-CAM based deep learning network for location detection of the main object (주 객체 위치 검출을 위한 Grad-CAM 기반의 딥러닝 네트워크)

  • Kim, Seon-Jin;Lee, Jong-Keun;Kwak, Nae-Jung;Ryu, Sung-Pil;Ahn, Jae-Hyeo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4 no.2
    • /
    • pp.204-211
    • /
    • 2020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optimal deep learning network architecture for main object location detection through weak supervised learning. The proposed network adds convolution blocks for improving the localization accuracy of the main object through weakly-supervised learning. The additional deep learning network consists of five additional blocks that add a composite product layer based on VGG-16. And the proposed network was trained by the method of weakly-supervised learning that does not require real location information for objects. In addition, Grad-CAM to compensate for the weakness of GAP in CAM, which is one of weak supervised learning methods, was used. The proposed network was tested through the CUB-200-2011 data set, we could obtain 50.13% in top-1 localization error. Also, the proposed network shows higher accuracy in detecting the main object than the existing method.

Real-time Handwriting Recognizer based on Partial Learning Applicable to Embedded Devices (임베디드 디바이스에 적용 가능한 부분학습 기반의 실시간 손글씨 인식기)

  • Kim, Young-Joo;Kim, Taeh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4 no.5
    • /
    • pp.591-599
    • /
    • 2020
  • Deep learning is widely utilized to classify or recognize objects of real-world. An abundance of data is trained on high-performance computers and a trained model is generated, and then the model is loaded in an inferencer. The inferencer is used in various environments, so that it may cause unrecognized objects or low-accuracy objects. To solve this problem, real-world objects are collected and they are trained periodically. However, not only is it difficult to immediately improve the recognition rate, but is not easy to learn an inferencer on embedded devices. We propose a real-time handwriting recognizer based on partial learning on embedded devices. The recognizer provides a training environment which partially learn on embedded devices at every user request, and its trained model is updated in real time. As this can improve intelligence of the recognizer automatically, recognition rate of unrecognized handwriting increases. We experimentally prove that learning and reasoning are possible for 22 numbers and letters on RK3399 devices.

A Study on Object-Oriented Concepts modeling for Teaching Object-Oriented Language (객체지향 언어 교육을 위한 객체지향 개념 모델링에 관한 연구)

  • Lee, Min-Na
    • Proceedings of The KACE
    • /
    • 2017.08a
    • /
    • pp.117-120
    • /
    • 2017
  •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은 산업과 교육 분야에서 그 영향력이 점차 커지고 있다. 그러나 객체지향은 추상적이고, 복합적인 개념을 많이 포함하고 있어 처음 객체지향 언어를 배우는 초보학습자는 개념을 이해하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객체지향 개념들은 상호 연관성이 매우 높아 기본 개념을 이해하지 못하면 다음 단계의 개념을 이해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은 초보학습자의 객체지향 개념의 이해를 돕기 위해 클래스와 객체 모델, 클래스간의 상속 모델을 도식화하여 제안한다. 이 모델을 이용하여 객체지향의 핵심 개념인 클래스, 객체, 레퍼런스 변수, 상속, 오버라이딩, 다형성, 동적 바인딩의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

  • PDF

A Study on Synthesizing Training Data for One-stage Object Detector (단일 단계 검출 방법을 위한 이미지 합성기반 학습 데이터 증강에 관한 연구)

  • Lee, Seon-Gyeong;Jeong, Chi Yoon;Moon, KyeongDeok;Kim, Chae-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0.05a
    • /
    • pp.446-450
    • /
    • 2020
  • 딥러닝 기반의 영상 분석 방법들은 많은 양의 학습 데이터가 필요하며, 학습 데이터 구축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된다. 특히 객체 검출 분야의 경우 영상 내 객체의 위치, 크기, 범주 등의 정보가 모두 필요하여 학습 데이터 구축에 더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이미지 합성기반 데이터 증강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미지 합성기반 데이터 증강 방법은 배경 영상에 객체를 합성할 때 객체와 배경 영상이 접한 영역에서 아티팩트(Artifact)가 발생하며, 이는 객체 검출 모델이 아티팩트를 객체의 특징으로 모델링하여 검출 성능이 저하되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양방향 필터 기반의 이미지 합성 방법을 제안하고, 단일 단계 검출의 대표적인 방법인 RetinaNet을 이용하여 이미지 합성기반 데이터 증강 방법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공개 데이터셋에 대한 실험 결과 본 논문에서 사용한 단일 검출 방법 및 데이터 증강 기법을 사용하면 더 적은 양의 증강 데이터로 기존 방법과 동일한 성능을 보여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Shape Object Analysis using Machine Learning (학습이론을 통한 모양 객체 분석)

  • 최영관;서민형;박장춘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b
    • /
    • pp.350-352
    • /
    • 1999
  • 하위레벨 이미지프로세싱(Low-Level Image Processing)과 이미지인식과 해석을 주로하는 상위레벨 이미지프로세싱(High-Level Image Processing)의 접목은 현존하는 기술과 연구소서는 상대적으로 접목이 힘들며 아직까지도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후자에 더 가까운 접근을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특정 이미지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모양-기반 객체(Shaped-Based Object)와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이론을 바탕으로 두 분야의 연관을 시도하였다. 이미지 내의 객체에 대한 기하학적인 특징을 얻기 위해서 모양-기반의 특징값 추출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며, 보다 발전된 인식을 위해서 기계학습이론을 적용시키고 있다.

  • PDF

Online Multi-Object Tracking by Learning Discriminative Appearance with Fourier Transform and Partial Least Square Analysis

  • Lee, Seong-Ho;Bae, Seung-Hwa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5 no.2
    • /
    • pp.49-58
    • /
    • 2020
  • In this study, we solve an online multi-object problem which finds object states (i.e. locations and sizes) while conserving their identifications in online-provided images and detections. We handle this problem based on a tracking-by-detection approach by linking (or associating) detections between frames. For more accurate online association, we propose novel online appearance learning with discrete fourier transform and partial least square analysis (PLS). We first transform each object image into a Fourier image in order to extract meaningful features on a frequency domain. We then learn PLS subspaces which can discriminate frequency features of different objects. In addition, we incorporate the proposed appearance learning into the recent confidence-based association method, and extensively compare our methods with the state-of-the-art methods on MOT benchmark challenge datase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