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Discourse for the Theory of Adaptive Learning Object Design

적응적 학습객체 설계 이론을 위한 개념적 연구

  • 조일현 (춘천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Published : 2005.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the conceptual and theoretical fundamentals of learning object. Learning object, a new paradigm for instructional design in the era of information technology, has attracted much research efforts since it has lots of advantages in terms of production efficiency and use effectiveness. A theory for the systematic design of this new instructional design, however, looks far from mature. Since the birth of the idea of a learning object has been found in the field of computer software design, such as object-oriented software development, learning object does not have enough theoretical underpinnings in terms of learning and instruction. The researcher tried to establish theoretical foundations for this new, alien concept as a learning design theory. Relevant research efforts and discourses have been discussed for this purpose.

학습 객체는 생산 및 효율성과 구성주의적 학습 효과성을 겸비하면서, 컴퓨터 기반 학습 환경에 잘 적용될 수도 있는 차세대 학습 개념으로 각광 받고 있다. 그 탄생의 연원을 소프트웨어 공학에서의 객체지향 설계 이론에 기초한 이 학습 객체 설계 이론은, 그러나 학습자라는 학습의 주체에 대한 고려의 부족, 맥락성과 연계성, 그리고 의미론적 응집성이라는 "학습"의 논리를 담아내기에 충분한 수준의 이론적 기반을 갖추고 있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 객체 설계 이론이라는 독특한 설계 모델을 지향하면서, 그 기초 작업으로서 관련 이론들을 정리해 내고, 메타포 수준의 개념틀 속에 자리 잡아 두며, 나아가 그 설계를 위한 원리들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구체적인 개발 사례를 통한 실증 연구와, 아울러 LCMS, 하이퍼텍스트의 노드와 링크 개념 등과 연결되면서, 본격적인 디지털 학습 콘텐츠 개발을 위한 이론을 지향하는 이론 연구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