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습 객체

Search Result 752, Processing Time 0.06 seconds

AI Learning Cookie Image Data Set Construction (AI학습 맞춤형 이미지 데이터셋 구성에 대한 연구)

  • Lee, JoSun;Ko, Byeongguk;Kang, Eunsu;Choi, Hajin;Kim, Jun O;Lee, Byong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7a
    • /
    • pp.347-349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컴퓨팅 이미지 객체인식 시스템인 YOLO 성능 향상을 위한 효율적인 이미지 마킹 정책을 제안한다. 이 정책은 이미지 데이터를 통한 객체인식 학습 YOLO의 객체인식을 높이고 다른 객체와의 구분을 최대화하여 학습 모델의 성능을 높인다. YOLO의 성능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YOLO의 학습을 몇 번 시킬 것인지 무엇을 객체로 인식시킬지 동적으로 할당한다. 이때 학습 싸이클에 따라 객체의 인식이 달라지며 어느 싸이클에서 가장 효율적인지, 왜 다른 객체를 같이 학습시켜야 하는지 중명한다. 본 논문에서는 YOLO의 싸이클과 다른 객체 학습에 있어서 최적의 객체인식 싸이클과 학습 성능 향상 면에서 우수함을 보인다.

  • PDF

Design of LO's Basic Structure for supporting Individualized Learning (개별화 학습 지원을 위한 학습객체 기본 구조 설계)

  • 홍지영;정영식;송기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553-555
    • /
    • 2003
  • e-Learning 컨텐트 설계에 있어 객체지향기법에 근간한 학습객체 기반 설계에 많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학습객체는 기존의 컨텐트가 하나의 커다란 덩어리로 이루어져 있어 동일한 내용에 관해서도 많은 코스들이 생성되었던 재사용성의 문제를 해결하며 상호운용성, 접근성. 내구성 등의 잇점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학습객체는 레고모형에 비유되어 각각의 학습자마다 서로 다른 조합의 코스를 제공한다고 하지만, 현재의 시퀀싱된 형태는 CBT 수준의 분기수준에 머물러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별화 학습을 지원할 수 있는 시퀀싱 설계를 위하여 학습객체 구조의 관점에서 접근하며, 이러한 학습 설계에 기초가 되는 학습객체의 기본 구조를 제안하고자 한다.

  • PDF

Automatic Classification of Learning Objects Using Case-based Cohesion for Learning Management System (학습관리시스템을 위한 사례 기반 응집도를 이용한 학습객체 자동 분류)

  • Kim, Hyung-Il;Yoon, Hyun-Nim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6 no.12
    • /
    • pp.2785-2791
    • /
    • 2012
  • In this paper, a method for automatic classification of learning objects is proposed for effective management and reuse of learning contents. Proposed method will create cohesion of learning objects using cases of learning objects and perform automatic classification of learning objects by measuring their relationship based on cohesion. Application of proposed method to learning management system has the advantage of reducing the costs for developing learning contents. Simulation has shown the average accuracy of 28.20% with probability-based method and 56.38% with cohesion-based method. Simulation has proved that the method proposed in this paper is effective in automatic classification of learning objects.

The Modeling of Object oriented Database basesed E-learning Object (학습 객체를 기반으로 한 객체 지향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설계)

  • Kim, Jun-Mo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Industry Society
    • /
    • v.5 no.9
    • /
    • pp.941-946
    • /
    • 2004
  • This Paper has been designed extend object-orientid database model that introducted new class basing the I-learning model. In order to implement this model, we have introducted E-learning class to traditional object-orinted database. And we designed querry for search data that basis on the heurilistic classficaslon model using stored data in extened object-oriend data model.

  • PDF

Individualized Learning System based on Learning Object, through Semantic Sequencing by Learning Task Types (학습과제 유형별 유의미 연결을 통한 학습객체 기반 개별화 학습 시스템)

  • Hong, Ji-Young;Song, Ki-Sang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7 no.6
    • /
    • pp.47-58
    • /
    • 2004
  • To generate individualized and adaptive course, it's required to have the foundation structure in which learning objects are connected with each other with logical relevances. Each learner can have peculiar learning path at each point of time of learning through the logical relevancy between those learning objects and various links, considering individual learn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learning object-basis individualized learning system structure, considering semantic sequencing by learning task types. It is our understanding that the individualized learning system design model of this study, considering the relevancy between learning objects, can be a fresh trial to accommodate semantic learning and true educational spirits in e-Learning at this point of time when criticism, such as the learning object based course design is simply a collection of meaningless objects, etc., is becoming influential.

  • PDF

Generation Tool of Learning Object Sequencing based on SCORM (SCORM 기반 학습객체 시퀀싱 생성 도구)

  • Kuk, Sun-Hwa;Park, Bock-Ja;Song, Eun-Ha;Jeong, Young-Sik
    • The KIPS Transactions:PartA
    • /
    • v.11A no.2
    • /
    • pp.207-212
    • /
    • 2004
  • In this paper, based on SCORM Sequencing Model, we propose the learning content structure which has structure informations of learning object and decision rules how to transfer learning object to learner. It is intended to provide the technical means for learning content objects to be easily shared and reused across multiple learning delivery environment. We develop the generation tool of learning object sequencing, for processing the learning with variable teaching methodologies. The teaming objects also are automatically packaged the PIE(Package Interchange File) to transmit with SCORM RTE(Run-Time Environment) and attached SCO(Sharable Content Object) function for tracking learner information.

Generator of Content Package Metadata for Learning Object Sequencing (학습 객체 시퀀싱을 위한 컨텐츠 패키지 메타데이터 생성기)

  • 국선화;박복자;정영식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3.11b
    • /
    • pp.897-900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SCORM 기반 시퀀싱 모델을 기반으로 학습객체의 구조에 대한 정보, 학습자에게 학습 객체를 어떻게 전달할 지를 결정하는 규칙 등을 포함하고 있는 컨텐츠 구조를 제시하고 학습 컨텐츠의 재사용과 공유가 가능하고 동일한 학습 컨텐츠에 서로 다른 교수법을 적용하여 교육의 효과를 달리할 수 있도록 시퀀싱을 위한 컨텐츠 패키지 메타데이터 생성기를 개발한다. 또한 학습자 정보 트래킹을 위한 SCO(Sharable Content Object)함수를 부착하여 학습 객체가 SCORM RTE(Run-Time Environment)와 통신 할 수 있도록 PIF(Package Interchange File)로 자동 패키징 시킨다.

  • PDF

Design and Development of Learning Object based on EPUB for Smart Learning (EPUB기반의 스마트러닝 학습객체 설계 및 개발)

  • Byeon, Jaehee;Moon, Namm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1.11a
    • /
    • pp.337-339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EPUB기반의e-Book 콘텐츠를 스마트러닝환경에서학습객체로 활용하고자한다. 이를 위해e-Book의 표준인 EPUB을 분석하여 SCORM의 콘텐츠 모델을 적용하여 확장 설계하였으며, 더블린코어와 LOM 메타데이터를 Collection Map을 이용하여 EPUB 기반의 학습객체메타데이터인ELOM을 설계하였다. EPUB기반의 학습객체가 LMS에서 추적관리가 가능하도록 SCORM2004의 CMI 데이터 모델을 바탕으로 학습객체 특성에 맞는 기본 데이터 모델을 정의하였다. 설계된 학습객체의 운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EPUP기반 오픈소스 콘텐츠인 모비딕의 bodymatter를 학습객체로 재구현한 후 ADL의 SCORM2004 $4^{th}$ Test Suite1.1.1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계된 ELOM은 스마트 스크린으로 확장하여 적용할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Modification of SCORM International Standard to Design Adaptive Personalization E-Learning System (적응적 이러닝 시스템의 효율적인 설계를 위한 SCROM 국제표준 수정에 관한 연구)

  • Mi-Joung Lee;Ki-Seok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1170-1172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적응적 이러닝 시스템을 구현하기에 다소 미흡하였던 SCORM 2004 국제표준을 수정한 새로운 표준을 제안한다. 학습자가 선택하는 과목과 학습객체에 대한 데이터 모델을 분리하였고, 이것을 이용한 API 메소드를 추가하였다. 또한 학습객체정보, 그것들의 관계와 과목을 구성하는 학습객체들의 경로에 대한 정보를 설명하는 섹션을 Manifest 파일에 추가하였다. 기존 SCORM 2004 를 수정한 새로운 표준을 따르면 학습자가 과목을 선택하는 시점과 학습 객체가 선택되는 시점을 분리할 수 있고, 기존 학습객체 단위보다 상위 단위의 학습객체 시퀀싱이 가능하게 되어 효율적인 적응적 이러닝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Development of Cooperative Loaming Object Model based on SCORM (SCORM 기반의 협동학습객체 모형 설계)

  • Kim, Young-Sik;Bae, Young-Kwon;Kim, Myeong-Ryeol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1a
    • /
    • pp.413-421
    • /
    • 2004
  • 지식 정보화 시대의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웹을 통하여 정보와 아이디어를 서로 공유할 수 있는 사회적 상호작용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상호작용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사회적 상호작용 도구를 제공할 수 있는 웹 기반협동학습 시스템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웹 기반 협동학습 환경을 쉽게 구성할 수 있도록 재사용 가능한 협동학습객체 모형을 SCORM을 기반으로 설계하였다. 협동학습객체 모형을 필드와 메소드, 속성으로 구성하였다. 필드는 상호작용을 통해 발생된 상호작용 결과를 저장하기 위해 데이터 모델로 구현하였으며, 메소드는 상호작용 결과를 LMS에 전달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API 함수로 구현하였다. 또한 협동학습객체의 속성은 접근성, 다형성, 포장성, 제어성으로 구분하여 각각 베타데이터, 계열화, 패키지, 런치를 통해 구현하였다. 이러한 협동학습객체는 학습 내용과 결합하여 하나의 협동학습 활동을 구성하게 되고, 이렇게 구성된 협동학습 활동을 계열화함으로써 교수 학습 설계가 이루어진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