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습자 만족도

검색결과 786건 처리시간 0.032초

온라인 학습상황과 학습자의 학습스타일이 블랜디드 러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online learning situation and learners' learning style on satisfaction in Blended Learning)

  • 이성주;권재환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95-103
    • /
    • 2011
  • 본 연구는 블랜디드 러닝 상황과 학습자의 특성에 따른 학습자의 만족도 차이를 살펴보아 블랜디드 러닝 실제에 도움을 주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블랜디드 러닝의 온라인 학습상황을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블랜디드 러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블랜디드 러닝 참여자들의 학습스타일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그 특성이 참여자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블랜디드 러닝 만족도는 크게 웹환경 만족도, 콘텐츠 만족도, 면대면수업 만족도, 일반적 만족도의 네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학습자의 원격수업 만족도와 LMS만족도와의 관계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Online Class Satisfaction and LMS Satisfaction)

  • 한진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3호
    • /
    • pp.25-31
    • /
    • 2022
  • 본 연구는 경상남도 소재 C대학에서 코로나19 이후 이루어진 원격수업에서 LMS만족도가 전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알아보고, 전체 수업 만족도와 LMS 만족도 요인 간의 영향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C대학에서는코로나19 이후 시행된 대규모 원격수업의 원활한 운영을 위하여 차세대 스마트 LMS 구축 사업을 시작하여 2021학년도 1학기부터 운영하였다. LMS를 활용하여 이루어진 원격수업에 대한 학습자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전체 수업 만족도와 LMS 만족도에 관한 다섯 요인으로 이루어진 설문조사를 C대학에서 원격수업을 경험한 학습자 140명을대상으로 실시한 결과, C대학에서 원격수업을 경험한 학습자는 전체 수업 만족도뿐만 아니라 LMS 만족도에서도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LMS 만족도와 전체 수업 만족도의 회귀분석 결과, LMS 기능의 편리성과 교수자와의 상호작용관련 요인이 전체 수업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습자가 LMS 기능이 편리하다고 느낄수록, LMS를 통해 교수자와 원활하게 상호작용이 가능하다고 느낄수록 전체 수업 만족도도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한 개 대학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한정된 변수 측정만 이루어졌다는 한계가 있다.

웹 기반 자기조절학습에서 학습자 만족도 요인 연구 (Study on Key Factors for Student Satisfaction in Web-based Learning)

  • 한건우;이영준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11-18
    • /
    • 2006
  • 최근 웹 기반 학습의 장점을 극대화하고 단점을 극복하려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웹 기반 학습의 문제점은 학습자의 중도 탈락률이 높다는 것이다. 교실 환경 수업에서 학습자의 만족도와 학습 유지 간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음이 알려져 있다. 과거 웹 기반 자기조절학습 시스템이 많이 연구되어 있으나 학습자 만족도와의 관계를 깊이 분석한 연구는 미비하다. 본 연구에서는 웹 기반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조절학습 요인들을 도출하고 분석하였다. 웹 기반 자기조절학습 시스템을 학생들에게 적용한 결과 자기평가, 목표설정 및 계획, 정보탐색, 사회적도움, 자료검토이 직접적으로 학습자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만족도 요인을 고려하여 학습 시스템을 개발한다면 학습 유지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Learning 에서 효과적인 학습자 관리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hrinkwrap License Contracts on Computer Information Transaction in USA)

  • 고영기;최재웅
    • 한국디지털정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19-731
    • /
    • 2004
  • 2003 년에 정부에서 여러 가지 활동과 2004 년 1월에는 산업자원부에서 'e- Learning 산업발전법' 을 공표함으로써 e- Learning 산업의 앞날이 밝아오고 있다. 하지만 아직은 전통적인 교육보다 e-Learning이 일반적으로 성과나 만족도가 떨어진다는 연구가 지배적이다 [1, 17] 이러한 상황에서 e-Learning을 확산한다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것은 e-Learning을 경험하는 학습자들의 만족을 통하여 e-Learning의 확산을 촉진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e-Learning 환경에서 학습자들이 어떠한 요인들로써 만족을 느낄 수 있는지 알아보아야 한다. 학습자의 특성에 따라 만족도에 미치는 요인들을 찾아내어 학습자의 특성에 맞게 관리를 해줌으로써 온라인 환경에서 학습자들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

  • PDF

온라인 실시간 수업에서의 학습자의 수업 만족도 연구 (A Study on the Learners' Class Satisfaction in Synchronous Online Classes)

  • 한진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3호
    • /
    • pp.173-178
    • /
    • 2021
  • 이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진행된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도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효과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 C대학교에서 2020학년도 2학기 말에 온라인 설문조사에 응답한 188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결과 분석을 진행한 결과, 학습자는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대해 만족하지 않았으며, 온라인 수업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전체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수업내용이며, 그 다음으로 수업 운영, 플랫폼 순이었다. 따라서 교수자는 학습자가 만족하는 실시간 온라인 수업을 위해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인 수업내용을 고려하여 효과적으로 수업내용을 구성함으로써 학습자의 이해를 높일 필요가 있다. 또한 학습자에게 익숙하지 않은 온라인 수업 환경에서 효과적인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교수자는 체계적이고 충실한 수업 설계를 통해 학습자가 수업에 사용되는 플랫폼에 익숙해져 원활한 사용이 가능하여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에 더해, 학습자의 요구와 어려움을 파악하여 학습에 차질이 생기지 않도록 수업을 계획하고 운영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한 개 대학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는 점과 한정된 변수만을 측정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비대면 팀 프로젝트 수업의 학습자 만족도 분석 (Satisfaction Analysis of Learners in Non-face-to-face Team Project Classes)

  • 안유정;심한뫼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년도 제65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30권1호
    • /
    • pp.395-397
    • /
    • 2022
  • 대면 수업에서와 유사한 교수자와 학습자, 학습자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지식습득뿐만 아니라 문제해결능력, 창의적 사고력, 협동학습능력을 양성하기 위해 프로그램 개발 수업에 팀 프로젝트 수업을 적용하여 운영하였다. 수업 운영 후 참여 학생들을 대상으로 만족도 설문을 실시하여 비대면 팀 프로젝트 수업에 대한 만족도와 수업에서 만족하는 부분 그리고 불만족한 경우에 그 원인에 대해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분석된 개선 사항을 차년도 수업에 반영함으로써 팀 프로젝트 수업에 대한 학습자들의 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연구의 목적을 둔다.

  • PDF

온라인 학습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 상호작용 및 수업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 Learner-Learner Interaction, and Class Satisfaction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 유지은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3권
    • /
    • pp.255-281
    • /
    • 2020
  • 코로나 19로 인해 온라인 학습으로 대표되는 학습 방법의 변화가 보편화 되고 있는 지금 본 연구는 온라인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 교수자-학습자 상호작용 및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 수업만족도의 관계를 구조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고등학생과 대학생 집단 모두 온라인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은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을 증가시켰으며, 또한 높아진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은 수업만족도를 증가시켰다. 변인 간의 잠재평균비교분석을 통해 대학생과 고등학생 집단 간 변인들의 통계적 유의미한 평균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지만, 다집단 분석을 통해 고등학생의 경우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수업만족도와 교수자-학습자 상호작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았고, 대학생의 경우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온라인 학습의 수업만족도 향상을 위한 자기주도학습능력과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교양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수업의 질적 개선을 위한교수자의 역할과 학습 성취도 및 만족도 분석 (For Improving Quality of Classes in Liberal Arts Programming Classes Analysis of role of Instructor and Learning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 김현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3호
    • /
    • pp.745-752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K대학의 교양 프로그래밍 강좌에서 실시한 교수법, 학습 성취도, 교수자 역할 만족도 설문을 기반으로 교수자의 역할이 수업의 질적 개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며 교수자의 역할 분석을 통해 학생들의 학습 성취도에 대한 만족도와의 관계에 대하여 연구한다. 비전공자를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래밍 교과목에서 교수자의 역할과 학습 성취도를 분석하여 수업의 질적 개선을 도모하고자 한다. 대학 교육의 질적 개선을 위해 대학에서는 교수자들의 교수 역량 강화를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궁극적으로 수업의 질적 개선을 위해 교수자들은 학생들의 수업 참여도를 증진시키고 학생들의 질의에 성실한 대응을 하며 학생들의 수업 중 발생 하는 여러 상황 및 학습을 조력할 수 있는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수업의 만족도 및 성취도를 향상 시키도록 노력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K대학의 교양 프로그래밍 강좌에서 실시한 교수법, 학습 성취도, 교수자 역할 만족도 설문을 기반으로 교수자의 역할이 수업의 질적 개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며 교수자의 역할 분석을 통해 학생들의 학습 성취도에 대한만족도와의 관계를 검중한다.

단어 게임기반의 온라인 비디오 학습 자동 판단 시스템 개발 및 사용자 만족도 분석 (A Development of Automatic Judgment System of Online Video Learning based on Word Game and Analysis of User Satisfaction)

  • 조재춘;임희석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대회
    • /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7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135-137
    • /
    • 2017
  • 비디오 강의를 활용한 온라인 학습은 교육 효과를 높이는 무한한 가능성을 가지고 있지만 온라인에서 학습자 주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학습 동기를 높이고 온라인 강의에 집중시킬 수 있는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교수자는 온라인 환경 안에서 학습자가 실제로 학습을 수행했는지에 대한 여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학습자와 교수자의 요구를 만족 시킬 수 있는 단어게임 기반의 온라인 비디오 학습 자동 판단 시스템을 개발하였고, 시스템 검증을 위해 343명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사용자 만족도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설문 결과, 83%의 시스템 용이성, 73%의 시스템 만족도로 긍정적인 결과를 보였다.

  • PDF

온라인 학습자들의 학습성취, 학습만족에 미치는 요인 (Exploring Influential on Learning achievement and Learning satisfaction)

  • 심선경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47-248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학습자들의 학습효과를 높힐 수 있는 교수 학습환경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학습자들의 학습성취와 학습만족에 미치는 학습자 개인요인- 건강, 가족지원 정도, 컴퓨터 능력, 취업여부, 자기조절학습능력- 에 초점을 두어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부 재학생을 대상으로 수집된 총 226개 설문지를 회귀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습성취에는 학습자 개인의 건강, 자기조절학습능력이 유의미한 영향을 보였고, 학습만족에는 가족들의 지원 정도와 자기조절학습능력이 영향을 나타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