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습용 앱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3초

형태초점교수법 기반 초등학교 영어 단어 학습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learning English words Smart-phone appli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Android platform by Focus on form)

  • 김승준;김갑수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223-231
    • /
    • 2012
  • 최근 스마트폰 보급에 따른 디지털 네이티브의 등장으로 교육에 있어서도 이에 걸 맞는 변화가 필요하게 되었다. 기존의 E-Learning, U-Learning 을 보다 학습자 중심, 맞춤형 교육에 근접하도록 실현할 수 있는 교수학습용 자료와 소프트웨어가 필요한 것이다. 이에 따라 초등학생의 발달 단계에 맞는 음성언어 중심의 영어 학습 프로그램을 교육과학기술부가 추천하는 초등학생을 위한 영어 단어를 기반으로 한 스마트폰에서 학습할 수 있도록 어플리케이션을 설계하고 구현하여 초등학교 학교 현장에서의 스마트러닝의 적용 및 발전을 위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제시해 보고자 한다.

  • PDF

스마트러닝 개선을 위한 평가시스템 개발 및 타당도 연구 (A Study of System Validity and Development of Evaluation System for Improving Smart Learning)

  • 이명숙;손유익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31-39
    • /
    • 2013
  • 본 연구는 교수자와 학습자들이 소유하고 있는 여러 장치들을 활용한다는 개념을 이용하여 스마트러닝 환경을 지원할 수 있는 학습자 평가시스템을 개발하여 수업에 적용하였다. 또한, 인터페이스, 상호작용, 애플리케이션, 기술지원, 평가 영역을 통해 학습자의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은 태블릿 PC와 스마트폰용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프로젝터를 지원하는 전자교탁용 프로그램, 서버 프로그램으로 구성된다. 수업자료 및 학습자에 대한 평가, 피드백 자료는 모두 서버에 저장되며, 학습자는 이를 이용하여 스마트폰, 데스크탑 PC를 통해 학습하거나 수업에 대한 피드백을 실시간 받을 수 있게 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을 이용할 경우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와 학습에 대한 흥미를 높일 수 있음을 보이고 있다.

  • PDF

구글 Read Along 앱 활용이 초등영어학습자의 발음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 (A Study on the Effects of Read Along by Google with Primary ELLs' Pronunciation and Affective Domains)

  • 윤택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437-444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구글에서 개발한 어린이용 언어학습 애플리케이션인 Read Along 활용이 초등영어학습자들의 발음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6학년 영어학습자 24명이 4주 간의 실험 수업에 참여하였으며 주요 활동으로는 Read Along을 통한 읽기·말하기 학습이 진행되었다. 연구도구로는 사전-사후 영어발음 평가지와 정의적 영역 설문지가 활용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우선, Read Along 앱 기반 활동은 초등영어학습자들의 발음 유창성 및 정확성 향상에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두 영역 모두 사전 대비 사후 평균값은 근소하게나마 향상되었으며 대응 표본 t-검정 결과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Read Along 앱을 이용한 읽기 및 말하기 활동이 초등영어학습자들의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변화를 설문을 통해 살펴본 결과, 학습자들의 흥미도와 자신감 측면에 있어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두 영역 모두, 사전 대비 사후의 평균이 각각 0.4점, 0.5점이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t-검정 결과 역시 유의미한 향상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다만 학습 태도면에 있어서는 사후에 소폭의 상승을 보이기는 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드러내지는 않았다.

초등 예비교사가 제작한 과학교육용 앱의 특징과 앱 제작 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생각 (Characteristics of Science Education Apps Developed by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nd Elementary Teachers' Thoughts about Education Developing Apps)

  • 나지연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2권1호
    • /
    • pp.17-33
    • /
    • 2023
  •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들이 제작한 앱의 특징과 앱 제작 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생각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초등 예비교사를 위한 TPACK 교육에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과학교육 앱 제작 경험을 제공한 사례를 수집하고, 3명의 초등교사를 대상으로 해당 사례에 관한 생각을 조사하였다. 예비교사들이 제작한 앱의 특징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교사들이 앱을 제작하면서 의도한 교육목표는 탐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도구형과 학습자·교수자간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앱을 제작한 경우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이 교육과정 목표에 부합하도록 앱을 제작하였으나 건설적 차원과 협력적 차원에서는 낮은 수준의 유형에 해당하는 앱의 특징을 보여 주었다. 예비교사들이 제작한 앱과 앱 제작 교육에 대한 초등교사들의 생각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들은 예비교사들이 제작한 앱의 효과성에 가장 낮은 점수를 주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과 기 개발된 앱 평가 및 수정 활동을 제안하였다. 둘째, 초등교사들은 예비교사의 TPACK 향상을 위하여 앱을 직접 제작해보는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초등교사들은 앱 인벤터를 활용하여 앱을 제작할 수 있는 블록 코딩 문해력 정도가 예비교사에게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넷째, 예비교사의 TPACK을 향상시키기 위해 앱 제작 교육에서 모의수업과 앱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다루어 보는 경험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고 하였다.

창의융합 비교과프로그램 활동에 따른 수업효과 분석 (Analysis of Class Effects by Creativity and Convergence Extracurricular Program Activities)

  • 피수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6호
    • /
    • pp.11-21
    • /
    • 2021
  • 본 연구는 인문계열 학생들에게 생소하고 어려운 프로그래밍 교육의 효과적인 학습이 가능하도록 비교과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학습의 효과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인문계열 학생들 A학과와 B학과 70명 대상으로 한 학기 수업을 통해 수집된 학습관련 데이터와 창의융합 앱개발 공모전 비교과프로그램 활동을 통해 수집한 데이터, 설문지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비교과프로그램 활동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과정 참여 전후에 실시한 학생들의 핵심역량 진단 검사결과는 교육과정 참여 후 핵심역량이 A학과와 B학과 모두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비교과프로그램 활동이 개인의 역량 증진에 도움이 됨과 동시에 은둔형 학생들에게 맞춤지도를 하여 학업성취도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고 본다. 향후 수업진행시 일반적인 앱개발보다는 전공과 관련된 앱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학과별 맞춤지도를 하여 전공분야와 융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 컴퓨팅적 사고력, 창의적 사고력 향상을 기대해 본다.

상호작용성이 있는 유아용 지구본의 구현 (Implementation of an interactive globe for infants)

  • 박명철;임혜진;김태형;정인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8년도 제5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6권2호
    • /
    • pp.281-282
    • /
    • 2018
  • 본 과제는 지구본에 비행기를 융합한 놀이 및 학습 도구이다. 기존의 지구본은 낮은 연령대의 아이들에게 교육적 효과를 줄 수 있으며, 유아에게 호기심 유발이 적고 국한된 정보를 제공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과제에서는 유아에게 더 많은 호기심 자극과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상호작용적 기능이 내장된 스마트 지구본을 제안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 및 아동들에게 교육적 효과를 줄 수 있고,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연동으로 인한 간단한 거리뷰 및 지도를 나타냄으로써 다양한 목적을 가지고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시큐어 C 코딩 학습용 모바일 앱 개발 (Development of a Mobile Application for Learning Secure C Coding)

  • 박지희;우지민;조민지;김명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99-202
    • /
    • 2020
  • 정보화시대로 넘어오면서 코딩 역시 중요한 교육으로 자리 잡고 있다. 초등학교는 물론 중, 고등학교도 교육적인 측면에서 프로그래밍을 중요시하고 있으며 C언어나 Java는 더이상 개발자만을 위한 언어로 인지되지 않는다. 하지만 코딩의 결과만 의존할 경우 정보보호를 하는 시큐어 코딩의 요소를 중요하게 여기지 않을 수 있다. 그 결과 DB는 물론 서버 에러를 비롯해 개인정보는 많은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기본적인 프로그래밍을 숙지한 개발자를 위해 더욱 안전한 코딩을 교육하고자 시큐어 C 코딩 앱을 기획하게 되었고, 정보보호를 코딩의 중요한 요소로 인지하기를 기대한다.

청각장애인을 위한 음성-자막 자동 변환 시스템 개발 및 음성 인식률 고도화 (Development and Enhancement of Automatic Caption Generation System based on Speech-to-Text for the Hearing Impaired)

  • 최미애;김승현;조민애;박동영;김용호;윤종후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0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465-468
    • /
    • 2020
  • 인터넷 미디어, OTT, VOD 등 신규미디어가 비장애인의 정보제공 매체로 널리 확대되나, 자막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아 청각장애인의 정보 격차가 더욱 심화되고 있다. 청각장애인의 미디어 접근성 제고를 위해 음성인식 서버 및 스마트 폰·태블릿 앱 간 연계를 통해 음성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자막을 생성하고 표시하는 음성-자막 자동 변환 시스템을 개발하였고 음성인식률을 높이기 위해 뉴스/시사/다큐 장르 영상 콘텐츠의 음성에 대해 학습용 데이터를 제작하여 음성인식 성능을 고도화 시켰다. 본 논문에서는 청각장애인을 위한 음성-자막 자동 변환시스템 구성과 음성인식률 비교 평가 결과를 보여준다.

  • PDF

모바일 앱 기반 간호대학생 핵심간호술 자가학습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Self-practice Program for Core Nursing Skills for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based on Mobile Application)

  • 김선경;엄미란;이영호;고영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343-352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핵심수기술 자가학습용 모바일 앱을 개발하고, 유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된 융합적 연구이다. 모바일 앱 평가도구(MARS)와 7개의 서술형 문항을 사용하여 22명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모바일 앱의 유용성 평가하였다. 정보제공성 영역이 4.19(SD 0.79)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주관적 앱의 질영역이 3.08(SD 0.87)점으로 가장 낮은 평가를 받았다. 대상자의 핵심수기술 수행자신감은 8.23(SD 1.60)점 이었으며, 학습만족도는 7.89(SD 0.87)점이었다. 또한, 서술형 문항에서 학생들은 시공간의 제약이 없는 편리성과 반복적인 자가학습이 가능하다는 점을 가장 큰 강점으로 꼽았으며, 디자인과 기술적인 보완, 교수자 피드백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본 융합연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핵심수기술 자가학습의 효과적인 학습 촉매제로 모바일 앱의 사용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며, 향후 간호대학생의 핵심수기술 수행역량에 대한 모바일 앱의 효과연구가 필요하다.

게이미피게이션은 어떻게 학생들을 움직이는가: 학습시간 관리서비스 분석을 통한 심리적 반엔트로피와 밈에 관한 연구 (How Gamification Moves Students: A Study on Psychic Anti-entropy and Meme through Analysis of Study Time Management Services)

  • 신종천;윤준성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27-40
    • /
    • 2017
  • 본 연구는 국내 교육 환경에서 특별하게 등장하고 있는 학습시간 관리서비스의 개념과 그 안에서 활용되고 있는 게이미피케이션 요소들의 특성을 파악한 후, 학습시간 관리서비스가 지향하는 심리적 반엔트로피의 의미와 새로운 게이미피케이션 요소로서 밈(meme)의 역할을 제시한다. 교육용 게이미피케이션의 목표는 게임과 학습의 유사한 부분을 찾아 학습 환경에 접목시킴으로써 학습 동기를 강화하고 몰입으로 이끄는 것이다. 학습시간 관리서비스 또한 그러한 목표를 지향한다. 하지만 그것은 앱 차단과 같은 외적 반엔트로피 환경을 게임적 기술이나 게임적 사고로 연결해 외적 동기를 부여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뿐만 아니라 내적 동기를 유발하기 위해 새로운 게이미피케이션 요소로서 밈을 활용한다는 점에서도 차별화된다. 특히, 학습 패턴과 관련된 밈은 학습 활동 수행에 관한 일종의 지침과 같은 것으로서, 우수한 학습 패턴을 모방하려는 내적 동기를 유발하고 심리적 반엔트로피 상태를 지속시킬 수 있는 동력이 된다. 따라서 학습시간 관리서비스안의 게이미피케이션은 게임 기반의 기술이나 게임적 사고를 활용함으로써 외적 반엔트로피 환경을 강화하고, 학습 패턴의 밈을 활용함으로써 심리적 반엔트로피 상태를 지속시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