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생포트폴리오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33초

학습효과 향상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ystem for Learning Effects Improvement)

  • 여희보;권대곤;최신형;한판암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284-286
    • /
    • 2008
  • 교육현장에서는 보다 효과적인 강의를 위해 수업 포트폴리오 작성법 혹은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교육법 등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산만한 학생들을 수업에 집중하게 할 수 있는 쉬운 방법은 받아쓰기를 시키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를 이용한 수업에서 받아쓰기 방법을 적용하여 학습자들의 수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알아보고, 받아쓰기 기반의 교육시스템을 제시한다. 본 시스템을 사용하면 학습자들은 해당 교과목에 더욱 집중할 수 있고, 담당 선생님들은 실시간으로 학습자들의 학습상태를 확인함으로써 학습태도에 따라 문제가 있는 학생들에게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 PDF

자연과 수업에 증거집(포트폴리오) 평가의 적용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과학 지식, 탐구능력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ortfolio Assessment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ience Knowledge, Inquiry Ability and Science Attitudes)

  • 김혜정;김찬종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9-28
    • /
    • 1999
  • 이 연구의 주요 목적은 증거집(포트폴리오) 평가를 적용할 때 초등학교 학생들의 과학 지식, 탐구능력,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학생들의 증거집 평가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비교집단은 충북 청원군 미원면의 M초등학교 4학년 45명이며, 실험집단은 대전광역시 G초등학교 4학년 36명이다. 사전 검사로 과학지식 검사1, 과학탐구능력검사, 과학 태도 검사를 두 집단에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증거집 평가를 적용한 수업을 비교집단은 전통적인 수업을 약 6주 동안 실시하였다. 두 집단 모두 사후 검사로 과학지식 검사2, 과학 탐구능력검사, 과학 태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증거집 평가에 대한 인식 검사지를 실험집단에 실시하였다. 결과는 SPSS를 이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비교집단이 실험집단보다 과학 지식 검사에서 높은 성취를 보였다. 과학 탐구능력과 과학 태도에서는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하위 영역 분석 결과 과학적 태도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성취를 보였다. 학생들의 증거집 평가에 대한 인식은 매우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증거집 평가에 대한 흥미, 학습 참여도, 자기 주도적 학습, 고차적 사고, 앞으로 참여 의사 등과 같은 대부분의 하위 영역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 PDF

초등학생을 위한 사이버 커뮤니티의 교육적 활용 방안에 관한 탐색적 연구 (Exploratory Analysis of Cyber Community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 한광현;김미량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69-78
    • /
    • 2002
  • 많은 수의 초등학생들이 인터넷을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그 중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수단으로도 활용하고 있다. 특히 면대면의 학교 상황에서 여러 요인으로 인해 원활하지 못한 상호작용을 촉진시키기 위한 학급커뮤니티의 활용사례도 급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교 사이버 커뮤니티의 관찰과 분석을 통해 사이버 커뮤니티의 교육적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주요 결과로서는 커뮤니티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교사가 커뮤니티의 활용 방향성에 대한 목표를 결정하고, 채널 특성에 대한 사전 탐색이 필요하다는 것과, 학생 자율권과 교사 권한을 적절하게 조화시켜 운영해야 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사이버 공간에서의 상호작용으로만 그치지 않고 온라인과 오프라인이 상호 유기적으로 운영되어야 하며, 누적물은 학생들의 포트폴리오로서 학기말에 학생들에게 제공될 때 효과적일 것이라는 결론도 도출되었다.

  • PDF

수학사를 이용한 Portfolio 제작물 구안 적용이 수학적 성향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An Effect on Mathematical Preference and Learning Attitude of the Application of Designing for Portfolio using Mathematical History)

  • 신재용;박준석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7권2호
    • /
    • pp.1-20
    • /
    • 2004
  • 본 연구는 포트폴리오를 이용하여 학습자의 수학학습능력을 다방면에 걸쳐 종합 분석하여 평가하고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태도 그리고 효과적인 수행능력을 제고한다. 특히, 수학 학습에서 수학의 개념과 그 역사에 대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여 효과적인 수학 학습과 학생들의 학습태도를 점검한다. 이렇게 함으로서 수학학습의 지도에 있어서 미치는 영향과 그 효과를 분석한다. 또한 이러한 것들은 학생들의 잠재성을 발견하도록 도와주고, 나아가서는 수학교육과정을 분석한다. 또한 학습자들이 수동적인 입장이 아니라 능동적 입장에서 학습의 주체가 되어 수학학습을 수행하도록 격려한다.

  • PDF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 심사를 위한 평가준거 개발 사례연구 (Case Study of Developing Evaluation Criteria for Students' Portfolios)

  • 박경선
    • 공학교육연구
    • /
    • 제15권4호
    • /
    • pp.76-84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valuation criteria for students' portfolios in an annual intramural contest. To accomplish the purpose, evaluation categories and their questions were developed after previous literature, ABEEK's evaluation guidelines, and eight Universities' evaluation forms were analyzed. Furthermore, experts' validity tests were completed by showing that the evaluation criteria form was validated with a mean score of 4.24. Also, the inter-rater reliability was turned out with a high score of .86. The interview results by evaluators of students' portfolios made the final version of evaluation criteria form include five evaluation criteria categories and their allotted score portions: overall organization(40), personal information(15), certificates and awards(5), curriculum(15), and extra-curriculum(15). The importance of overall organization was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s of teachers as well as students.

거꾸로 수업기반 지구과학 수업모델 개발 및 적용 사례 (The Development and Applied Case of Earth Science Class Model Based on Flipped Learning)

  • 문병찬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91-103
    • /
    • 2017
  • 이 연구는 거꾸로 수업에 기반 한 지구과학수업 모델을 개발하고, 초등 예비 교사의 과학수업에 수업모델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수업모델은 교실수업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내용과 정보를 사전에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것으로 거꾸로 수업에서의 선행과제를 대체하였다. 교실수업에서 '지식'내용은 교수에 의한 강의식 설명으로 20분 동안 학생들에게 수행되었으며, 그 후 학생들은 지식과 관련된 심화탐구문제를 토론 협력을 통해 모둠별로 해결하였다. 탐구문제 해결 후, 모둠원 중 발표자로 선정된 한 학생이 모든 학생들 앞에서 모둠에서 수행한 결과를 발표하였다. 14차시 수업 중에 나타난 학생들의 학습과정과 사전에 제공된 학습 자료의 포트폴리오는 기말고사를 대처한 한 학기의 과정평가로 교수에 의해 운영되었다. 수업에 참여한 많은 학생들은 본 수업 모델이 수업에 대한 집중력, 그리고 토론기술과 사고능력을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매우 긍정적으로 작용한다는 인식을 나타냈다. 결론 적으로 본 수업모델은 지구과학수업에서 적용하는데 매우 유용하다고 볼 수 있다.

미국과 한국의 공학교육인증 체제 비교에 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America in Accreditation System of Engineering Education)

  • 한지영
    • 공학교육연구
    • /
    • 제11권1호
    • /
    • pp.24-33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EC2000 시스템하에서 2007년도에 공학교육 인증평가를 받은 한국의 A대학과 미국의 M 대학의 공학교육인증 체제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해당 프로그램의 자체평가보고서 분석 및 홈페이지 검색을 실시하였다.한국과 미국의 공학교육인증 기준은 거의 대동소이하나 한국의 인증기준이 행정적인 지원 체제나 각 평가기준별 자율순환체제를 강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인증평가별 체제를 살펴보았을 때 미국의 장점을 꼽아보면 체계적인 교육과정 운영과 설계교육, 교과목 중심의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 체제, 교수들의 연구 및 학생지도에의 지원 체제이다. 한국의 장점은 다원적인 지원 체제를 기반으로 하고 평가에서의 정량적인 지표 활용이 많기 때문에 이를 교육개선에 활용하기 쉬운 면이 있고, 학생포트폴리오의 활용을 통한 체계적인 학생 지도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아두이노를 활용한 프로젝트 기반의 임베디드 시스템 교육 (Project-based Embedded System Education Using Arduino)

  • 김송주
    •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173-180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공학계열 학생들의 임베디드 시스템 수업 사례로 아두이노를 활용한 프로젝트 기반의 학습을 제안한다. 이러한 프로젝트 기반 학습을 공학교육에 도입함으로써 학생들은 전공 교과과정을 통해 학습했던 개별적인 이론들을 실제로 구현해 볼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며 프로젝트 개발의 전 과정에 참여함으로써 현장 실무능력을 쌓을 수 있는 경험을 하게 되었다. 수업 전후 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프로젝트 기반 학습은 팀 체제로 운영이 되기 때문에 구성원들 간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조직 내에서의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팀워크를 키울 수 있는 바탕이 되었고 프로젝트의 수행과정에서 만들어진 모든 자료들은 학생들의 포트폴리오 제작에 사용될 수 있어 졸업 후 취업활동을 위한 자료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었다.

교육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블록 코딩 및 피지컬 컴퓨팅 교육 사례 (A Case Study on Block Coding and Physical Computing Education for University of Education Students)

  • 한규정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5권3호
    • /
    • pp.307-317
    • /
    • 2019
  • 본 연구는 교육대학교의 예비교사들에 대한 블록 코딩과 피지컬 컴퓨팅의 교육 사례이다. 학생들은 블록 코딩을 지원하는 '엔트리'를 통해 여러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코딩에 대한 친숙함을 느꼈으며 코딩 능력을 향상시켰다. 또한 학생들은 피지컬 컴퓨팅 교구의 다양한 입·출력 장치로 컴퓨팅 시스템을 구성하고 프로그래밍을 통해 사물을 제어하였고, 교육용 포트폴리오를 제작을 통해 코딩에서의 문제분석, 설계, 구현, 테스트 등의 전반적인 과정을 경험하였다. 적용된 교육 방법으로는 몰입기반 프로그래밍과 짝 프로그래밍이고, 교육의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한 설문 결과, 학생들은 엔트리와 피지컬 컴퓨팅 교구를 잘 이해하였고 엔트리와 피지컬 컴퓨팅 교구를 혼합하여 학습한 것이 엔트리 단독의 코딩학습보다 효과가 더 좋았다는 응답을 하였다. 또한 피지컬 컴퓨팅 교구 학습에서 적용한 짝 프로그래밍의 효과가 좋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자연과 포트폴리로 적용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정의적 특성과 포트폴리오 인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ortfolio Applied Science Instruction on the Students Scientific Affective Domain and Perceptions of Portfolio in Elementary Schools)

  • 문유정;김효남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19권2호
    • /
    • pp.29-41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ortfolio applied science instruction on the students' scientific affective domain and perceptions of portfolio in elementary schools. Portfolio applied science instruction of the 6th grade science unit 'Environment pollution and Nature protection' was developed for this study. Traditional instruction was implemented to the control group and portfolio applied science instruction was implemented to the experimental group. Pretests of the scientific affective domain were administered to both groups. The treatment was given for about seven weeks for both groups. Instruments about scientific affective domain were administered to both groups. A questionnaire on perception of portfolio applied science instruction was given to the experimental group after the treatment. The results were analyzed using t-test on the students' scientific affective domai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Portfolio applied science instruc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s was developed. Students themselves determine the portfolio learning goal in a portfolio applied science instruction. Students construct the portfolio and they evaluate themselves and other colleagues. Also teachers go on portfolio applied science instruction considering portfolio purpose, concepts, evaluation. 2. There was not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o]1 the students' scientific affective domain. In three sub categories of a scientific affective domain, the science perception, the interest on science and scientific attitude, there were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among them. 3. As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on perceptions of portfolio, they didn't understand it very well but after learning portfolio, they showed positive attitude to perceptions of portfolio. Students in portfolio applied science instruction like more the portfolio applied science instruction than general instruction. 4. Portfolio applied science instruction has an useful value as a method of teaching and evaluation. Students and teachers can produce various portfolios products in portfolio applied science instruction. As a conclusion, portfolio applied science instruction was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on the students' scientific affective domain, but it gives positive effects on perceptions of portfolio in elementary schools. Therefore, portfolio has an educational value as a method of teaching and evaluation for students' growth. In the future, teachers and students must have interaction and feedback in portfolio applied science instruc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