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생주거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23초

학생용 주거계획을 위한 자취생들의 주생활특성과 주거선호에 관한 연구 -경북 안동시 소재 대학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atterns of Space Use and Housing Preferences to be used in the Housing Plan for Student - With Special Reference to Students in a University in Andong, Kyoungbuk -)

  • 이미혜;배정인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1-10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atterns of space use and housing preferences to be used in the housing plan for students. Data was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surveys from local university students living apart from their family. We collected 272 samples and analyzed them using SPSSwin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average hours of staying at the housing for student are 5 hours and 30 minutes(except sleeping time). Most of the time was used for ‘hobby’ and ‘study\ulcorner computer works’. The most of the students had ‘a meal per day’ at their housing. 2) The most preferred housing type by the students is ‘studio apartment’ and the next preferred is ‘apartment’. The highly demanded facility is ‘laundry’ and the next comes ‘kitchen’. 3) Those who spend more time in their housing than average show higher demand in ‘kitchen’ and ‘balcony’. Those who spend less time in their housing show higher demand in ‘storage’.

초등학생의 생활재 수량 및 용적특성에 관한 현장조사연구 (A Field Survey on Number and Volume of the Living Commodities of Children)

  • 이연숙;조은경;김주연;권오진;허진민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43-148
    • /
    • 2002
  • Residential indoor space is a major living setting for young children where multi-dimension at development can be expected through the interaction with items and components of the environment.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attributes have been, however, relatively ignored. Especially during last several decades of housing development, residential units have been produced without accurate understanding of residents' material possession. To better design living environments, especially, a life setting for children, this research focused on finding out the characteristics of living items which belong to and are used by children.

  • PDF

실천적 문제 중심 노인주거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적용 - 고등학교 기술.가정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ractical Problem focused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 for Housing for the Later life - in High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

  • 김유니;조재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19
    • /
    • 2010
  • 2007년 개정 기술 가정과 교육과정에서는 저출산 고령화 사회에 대응할 수 있는 교육을 강조하고 있으며 도덕성, 비판적 사고와 문제해결능력을 필요로 하는 문제를 다루는 내용에서 실천적 추론 수업의 교수 학습 방법을 적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주거' 관련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 교수 학습 과정안과 학습 자료를 개발하여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한 후, 학생평가를 통해 이 교수 학습 과정안이 고등학교 기술 가정 노인주거 주생활 교육내용에 적합한지 평가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ADDIE 교수설계모형에 따라 분석, 설계 및 개발, 실행, 평가단계로 진행하였다. 분석단계에서는 노인주거 교육내용을 선정하기 위해 관련 선행연구와 현행 제7차 기술 가정 고등학교 10종 교과서, 현행교육과정과 2007년 개정 기술 가정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과 LT 협동학습 관련 문헌을 고찰하였다. 설계 및 개발 단계에서는 노인주거 수업의 교수 학습 내용에 맞는 실천적 문제를 선정하고 교수 학습 과정안을 구성하였다 개발된 교수 학습 과정안은 '노후에 안전하고 편안한 주거를 만들기 위해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의 실천적 문제에 따라 3차시 수업으로 구성된다. 개발단계에서는 교수 학습 과정안 3차시분, 학습 자료 53개(학생 활동지 44개, 학생 읽기 자료 2개, 교사 읽기 자료 5개, 동영상 자료 2개)와 설문지(33문항)를 개발하였다. 2009년 4월 20일부터 24일까지 경기도 성남시 소재 B전문계 고등학교 2학년 5학급(150명)을 대상으로 3시간씩 총 15차시 적용한 후 설문지를 이용해 평가단계를 거쳤다. 이 교수 학습 과정안을 적용한 후 평가 결과, 모든 평가 영역에서 매우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노인주거 주생활 교육내용은 고령화 사회에 대비한 생활교육으로 적합하며,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은 나와 가정 그리고 사회에 선한(도덕적)행동, 비판적 사고와 문제해결능력을 길러주기 위한 효과적인 교수 학습 방법이라고 결론 낼 수 있겠다 수업 시수를 늘려 더 다양한 내용과 학생 활동이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후속 연구를 통해 더욱 발전된 노인주거 관련 주생활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 교수 학습 과정안이 개발되길 제언한다.

  • PDF

고등학생의 가정과 교과에서 건강가정에 관한 교육 요구도 (The Need for Healthy Families Education in Home Economics Subject of High School Students)

  • 김명자;장지연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43-156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이 가정과 교과에서 건강가정에 관한 교육으로 어떠한 내용을 요구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통하여 가정과 교과에서 건강가정에 관한 교육의 새로운 교육 방향을 모색하고, 그에 합당한 교육내용을 구성 하는데 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 및 경기도 소재 고등학교 2학년생 550명으로 하였으며,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고등학생의 가정과 교과에서 건강가정에 관한 교육 요구도를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가정과 교과에서 건강가정에 관한 교육 요구도는 남학생이 3.63, 여학생이 3.66으로 나타났으며, 남학생은 '결혼과 부모됨', '가족간의 대화방법' '영양관리', '가정경제', '의복 주거관리', '가정문화' 영역의 순으로 여학생은 '결혼과 부모됨', '가족간의 대화방법', '영양관리', '가정문화', '의복 주거관리' 영역의 순으로 요구도가 높게 났다. 전체적인 요구도는 3.64로 중간 이상의 요구도를 보였으며 '결혼과 부모됨', '가족간의 대화방법', '영양관리', '가정경제', '의복 주거관리', '가정문화' 영역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가족배경 변인에 따른 고둥학생의 가정과 교과에서 건강가정에 관한 교육 요구도는 학교계열, 가족형태, 부모의 학력, 부모의 직업, 가계월소득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 PDF

한.일 주거 공간에서의 개인영역 구축에 대한 비교 연구 - 건축과 학생을 대상으로 - (Territorial Disharmony in Occupants When Living Together in South Korea and Japan)

  • 박지연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2권4호
    • /
    • pp.11-22
    • /
    • 2011
  • According to the changing environment of modern society, a resident of the symbols reflects the growing need for housing has risen. Recently the participation of women in Korea, increased divorce rates, diversification of types of jobs, personal life, due to the typically family-oriented values is not the type of atypical forms of various types of households (a person households, newlyweds, Late Marriage Couples, single parent households, cohabiting, single core, including a disclaimer) is formed, and this trend for the social composition of the new housing environment is required. In this study, South Korea, Japan, the two countries central to the values of personal life for the area be developed by the individual but in reality did not meet the residential space in the current "environmental action research" living life based on the construction of a personal area tend to be aware of. Central values of private life, which amplified the possibility of increased prices as the difficulties in living life the most "private area" Building "area of the discrepancies" and controlled through the building of the reason for the tendency of humans in the future by identifying Oriented for the formation of residential space i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In addition, changes in family patterns in Japan and South Korea ahead of the current family patterns by comparing the present and future of Korea is trying to think.

2004 한국건축문화대상

  • 대한건축사협회
    • 건축사
    • /
    • 11호통권427호
    • /
    • pp.18-32
    • /
    • 2004
  • 영예의 대통령상이 수여되는 한국건축문화대상의 대상이 올해부터 '비주거'와 '주거'로 나뉘어 확대, 시상한다. 그 첫번째 수혜자로 비주거부문은 김삭식 건축사(주.금성 종합건축사사무소 대표)가 설계하고, (주)금호산업이 시공한 '광주광역시청사'가 주거부문에는 김종국(주.종합건축사사무소 건원)건축사가 설계하고, 현대산업개발(주)이 시공한 '아이파크 삼성동'이 국내 준공건축물들을 대상으로 한 2004한국건축문화대상에서 영예의 대상으로 각각 선정됐다. 또 올해 한국건축문화대상에서는 KT여의도사옥 등 6작품이 본상을 차지한 것을 비롯해 우수상 등 모두 22개 작품이 수상작으로 선정됐다. "불이 - Architecture in NatureㆍNature in Architecture"를 주제로 공모한 일반 및 신인ㆍ학생 대상의 계획건축물부문에서는 박종대, 윤새봄, 김정희(인하대학교 건축공학과대학원 건축의장연구실)씨가 공동 출품한 'Plankton House'가 금상을 차지한 것을 비롯해 은상 2팀, 동상 3팀 입선 22점 등 모두 28개 팀이 입상했다. 올해 한국건축문화대상에는 준공건축물부문 89점, 계획건축물부문 252점 등 총 341개 작품이 응모했다. 비주거 부문의 대상을 차지한 광주광역시청사는 "관 건물의 이미지를 탈피하여 하나의 문화 건물로 탈바꿈하려는 시도가 특히 돋보이는 작품으로 시공에도 많은 어려움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완성도가 우수한 작품"이란 평을 받았다. 또한 주거 부문의 아이파크 삼성동은 "아파트이면서도 주상복합의 이미지를 구현시키면서 판상형 형태에서 벗어나 탑상형 배치에 의한 낮은 건폐율 적용으로 친환경적인 단지를 이루고 있으며, 특히 시공이 매우 우수한 작품"이란 평을 받았다. 한편 올해부터 우리나라 건축문화발전을 위해 기여한 건축인을 발굴해 시상하는 '올해의 건축인상'을 제정, 그 첫번째 수상자로 김석철 건축사(아키반건축도시연구원 건축사사무소)와 이창남 건축사(센구조 건축사사무소)가 선정되어 건설교통부장관상을 받았다. 시상식은 지난 11월 24일 서울 종로구 세종로 세종문화회관 컨벤션홀에서 개최되어 대상의 비주거부문 수상작의 설계자인 김상식 건축사에게 대통령상 그리고 시공자인 (주)금호산업에게는 건설교통부장관상, 건축주인 광주광역시장에게는 국무총리상이 수여됐다. 또한 주거부문 수상작의 시공자인 현대산업개발(주)에게 대통령상 그리고 설계자인 김종국 건축사에게는 국무총리상, 건축주인 현대산업개발(주)에게는 건설교통부장관상이 수여됐다. 또 KT 여의도빌딩 등 본상 6개 작품의 설계자 및 시공자에게는 건설교통부장관상 등 정부포상이, 준공건축물부문 우수상 입상자 전원에게는 각각 대한건축사협회장상, 서울경제신문사장상이 수여됐다. 계획건축물부문의 금상 수상자에게는 건설교통부장관상과 상금이 수여되었으며, 은상과 동상, 입선작은 대한건축사협회장상과 상금이 각각 수여됐다. 아울러 동상이상 수상자 중 영어 인터뷰심사를 거쳐 2명을 선발, ARCASIA 학생잼버리대회 파견 특전이 주어진다. 건설교통부와 대한건축사협회, (주)서울경제신문이 공동주최하고 대한주택공사 등 건설관련 5개 단체가 후원하는 한국건축문화대상은 올해로 13회째 개최되고 있다. 더욱이 올해에는 대통령상을 두 부문으로 나누어 시상하는 등 그 폭이 넓어져 수상자에게 더 큰 영예를 주었으며, 시간이 흐를수록 그동안 기성 건축인들의 창작의욕 고취는 물론 건축저변을 크게 확대하였다는 평과 아울러 우리 건축문화 창달에 기여해 한국건축문화대상은 명실공히 국내 건축인은 물론 일반 국민의 대표 건축축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 PDF

신체발육과 안전 증진을 위한 학생용 의자 개발 (Development of a Student Chair for Promoting the Physical Growth and Safety)

  • 정화식;정형식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29-39
    • /
    • 2005
  • 우리의 식생활 및 주거 환경이 향상됨에 따라 과거에 비해 학생들의 체격이 커지고 체형 또한 점차 서구화 되가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나 아직까지도 초${\cdot}$${\cdot}$고등학교에서는 학생 자신의 체격에 적합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없는 고정형 의자를 사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학생들의 신체발육에 지장을 초래 할 수 있으며 특히 요통과 같은 허리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생 자신의 체격에 맞게 높낮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학생용 의자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조절형 의자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학생용 의자의 다리부분에 풀림과 조임이 가능한 금속제 나사형식의 높이조절봉을 도입하여 공구가 필요 없이 손으로 회전시켜 좌판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설계하였다. 또한 의자 등받이는 전${\cdot}$${\cdot}$${\cdot}$하방향으로 이동되게 함으로써 착석 시 좌판의 깊이와 등받이의 높낮이를 동시에 한번의 동작으로 조절 가능하게 하였다. 한편 개발된 조절형 의자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채택하여 사용하고 있는 ISO 5970(Standards for tables and chairs for educational institutions)과 비교하여 수용능력에 따른 적합성 여부를 평가하였으며 피실험자 40명을 대상으로 fitting trials를 실시하였다. 평가결과 개발된 조절형 의자는 두가지 평가 기준에 적합하였으며 실용화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향후 이를 각급 학교 및 학원에 보급 활용함으로써 학생들의 이상체형 형성을 억제하여 신체 발육과 안전을 도모할 수 있으며 학습효과 또한 높일 수 있다고 판단된다.

지방대학교의 학생주거에 관한 연구 -충남 홍성군 소재 대학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tudent Housing in the Regional University -Focused on the University at Hongsung Kun, Chungnam-)

  • 이선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5호
    • /
    • pp.142-148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practical guide for the actual conditions and the preference of student housing in a regional university. The data a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surveys from the students of a regional university. 265 samples are collected, and are analyzed by using SPSS-PC.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actual conditions of student housing Most residents of student housing(76.3%) come from the Capital region. Most of student housing are located at 30 minute distance from the school. Most of house style are Offistel as one room style. Most of housing size are within 10 minute distance from the school. Most of house style are Offistel as one room style. Most of housing size are within 10py, and two people reside in one unit. The average hours of staying at the student housing are over 10 hours. The most inconvenient factor is the lack of soundproofing in the current student housing. 2) The preference of student housing The most preferred location is in the walking distance from the school, and the apartment is the most preferred housing style. The most preferred installation of inside is internet connection. When choosing student housing, students prefer the distance from the school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Most female students reside with a roommate within 10 py of housing size, cook for themselves, and consider rent and maintenance fee as the decision factors in choosing housing. The most preferred style of house is apartment, and they prefer to install basic furniture and kitchen system inside of housing. As students go up to higher grade, they prefer the apartment, and prefer to cook for themselves. More fresh men reside with a roommate compared to other grades. They prefer Offistel with meals service at a walking distance from the school.

  • PDF

고등학교 기숙사 주거시설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 (Users' Satisfaction on the Dormitory of High School in Jeonju City)

  • 안진숙;최병숙
    • 한국주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주거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02-207
    • /
    • 2006
  • This study was to find out users' satisfaction on the dormitory high school in Jeonju City and to propose it's physical environmental improvement directions. This was performed by a questionnaire survey method, and the questionnaire was designed by researchers considering relative literatures. Data were collected from 200 students, who had been dwelling 4 high school dormitories in Jeonju City. By analyzing those data, findings were as follows : 1) Users of students were satisfied the whole of their dormitory; facilities, spaces, and living. 2) They were highly concerned about a library and a personal unit space in their dormitory. 3) They needed their personal unit space to be designed bedroom+bathroom type with 2 persons' sharing and be equipped one story bed and desk furniture. Also, they needed improvement on heating & cooling, small space and indoor air quality of unit space. 4) The users' satisfaction on unit space were 3.23, and the space utility and the space size of functional factor and the heating/ventilation of technical factor were highly effected their satisfac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