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ractical Problem focused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 for Housing for the Later life - in High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

실천적 문제 중심 노인주거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적용 - 고등학교 기술.가정을 중심으로 -

  • Kim, Yu-Ni (Bundang Information Industry High School) ;
  • Cho, Jae-Soon (Dep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김유니 (분당정보산업고등학교) ;
  • 조재순 (한국교원대학교 가정교육과)
  • Received : 2010.01.03
  • Accepted : 2010.03.17
  • Published : 2010.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practical problem focused teaching learning process plan for housing for the later life in order to apply it to the older stage of family planning section of Technology Home Economics in a highschool. Practical problem focused method was used for the teaching learning process plans of 3-session lessons according to the ADDIE model. The global practical problem was "What should I do to plan a safe and comfortable housing for the later life?" In the development stage, 53 teaching learning materials (44 students activity materials, 2 students' and 5 teacher' reading texts, and 2 moving pictures) were developed for 3-session lessons. The planes applied to the 5 classes, 150 students, in the freshmen of B highschool during April 20th-24th, 2009. The 5 point likert questionnaire were used to evaluate the 3-session lessons about 4 contents related aspects as well as the methods and effects of the lessons besides 2 open ended questions. The overall evaluation was very positive in all 6 aspects of the lessons. Some students wanted to learn more about universal design and aging related jobs. Those results showed that the practical problem focused teaching learning process plan for housing for the later life which this study developed would be appropriate to teach the older stage of family planning section related to housing and could be adjusted to the condition of each school and regions.

2007년 개정 기술 가정과 교육과정에서는 저출산 고령화 사회에 대응할 수 있는 교육을 강조하고 있으며 도덕성, 비판적 사고와 문제해결능력을 필요로 하는 문제를 다루는 내용에서 실천적 추론 수업의 교수 학습 방법을 적용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노인주거' 관련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 교수 학습 과정안과 학습 자료를 개발하여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한 후, 학생평가를 통해 이 교수 학습 과정안이 고등학교 기술 가정 노인주거 주생활 교육내용에 적합한지 평가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ADDIE 교수설계모형에 따라 분석, 설계 및 개발, 실행, 평가단계로 진행하였다. 분석단계에서는 노인주거 교육내용을 선정하기 위해 관련 선행연구와 현행 제7차 기술 가정 고등학교 10종 교과서, 현행교육과정과 2007년 개정 기술 가정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과 LT 협동학습 관련 문헌을 고찰하였다. 설계 및 개발 단계에서는 노인주거 수업의 교수 학습 내용에 맞는 실천적 문제를 선정하고 교수 학습 과정안을 구성하였다 개발된 교수 학습 과정안은 '노후에 안전하고 편안한 주거를 만들기 위해 나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의 실천적 문제에 따라 3차시 수업으로 구성된다. 개발단계에서는 교수 학습 과정안 3차시분, 학습 자료 53개(학생 활동지 44개, 학생 읽기 자료 2개, 교사 읽기 자료 5개, 동영상 자료 2개)와 설문지(33문항)를 개발하였다. 2009년 4월 20일부터 24일까지 경기도 성남시 소재 B전문계 고등학교 2학년 5학급(150명)을 대상으로 3시간씩 총 15차시 적용한 후 설문지를 이용해 평가단계를 거쳤다. 이 교수 학습 과정안을 적용한 후 평가 결과, 모든 평가 영역에서 매우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노인주거 주생활 교육내용은 고령화 사회에 대비한 생활교육으로 적합하며,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은 나와 가정 그리고 사회에 선한(도덕적)행동, 비판적 사고와 문제해결능력을 길러주기 위한 효과적인 교수 학습 방법이라고 결론 낼 수 있겠다 수업 시수를 늘려 더 다양한 내용과 학생 활동이 충분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후속 연구를 통해 더욱 발전된 노인주거 관련 주생활 실천적 문제 중심 수업 교수 학습 과정안이 개발되길 제언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