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생의 학습

Search Result 7,104,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Analysis on the Trends of Science Education Studies Related to Students' Science Learning in Korea (학생의 과학학습 관련 국내 과학교육 연구 동향 분석)

  • Kim, Youngmin;Paik, Seoung-Hey;Choi, Sun Young;Kang, Nam-Hwa;Maeng, Seungho;Joung, Yong Ja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5 no.4
    • /
    • pp.751-772
    • /
    • 2015
  • Valid and effective science education would require research-based decisions on multiple aspects of science education including policy decisions, science curriculum development, designing teaching resources and methods. However, this has not been the case. In order to provide a research base for science education practices and policy-making, this study reviewed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major science education research journals in South Korea in the last ten years. The analysis was focused on 8 areas including student conceptions, student thinking, inquiry, affective domain, student ideas about science, science curriculum, students' learning and classroom activity, and student learning in informal settings. General research trends found include: First, science education research conducted for the past decade focused on a certain limited topics/areas. Second, research participants were also limited to certain grade levels or types of students. Third, rather than examining developmental processes descriptive research was prevalent. Fourth, there was a lack of research on developing new areas of study or research on generation of new perspectives, theories or tools. Fifth, many studies were related to school science learning while relatively less studies were about other areas that would impact students' future.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 several implications for science curriculum development, policy development,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resources, and others.

A Study on ICT Literacy Education Goal Attain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초등학생들의 ICT 소양교육목표 달성 정도에 관한 연구)

  • Choi, Yun-Hee;Jun, Woo-Chu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8a
    • /
    • pp.51-60
    • /
    • 2005
  • 현대 사회에서 정보는 학생들의 생활에 큰 영향을 주고 있으며, 정보화 사회의 주역이 될 학생들에게 정보화 교육은 절실하게 필요하다. 2003년 이후로 초등학교에서 정보통신기술이 전면적으로 실시된 이후 여러 방면에서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교육 목표에 대한 학생들의 학업 성취 수준을 평가하는 것은 간과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교 2, 4, 6학년 학생들의 정보통신기술교육에 대한 학습 목표 성취도를 살펴보고, 학생들의 학습 경로와 교육목표 성취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더 나은 ICT 교육의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먼저, 단계별 학습 영역에 따른 학습 내용을 추출하고 평가 기준을 세운 후 해당 학생들의 학습 정도와 학습 내용의 습득 경로를 평가지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조사 내용을 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컴퓨터 교육의 인지적인 부분이 기능적인 부분보다 상대적으로 교육목표 성취도가 낮으며, 학습 경로를 분석한 결과 수업 시간보다는 집에서 가족에게 배우거나 스스로 익히는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A Study on C Programming Self-Directed Learning Process Analysis Method Using Online Scoring System (온라인 채점 시스템을 활용한 C 프로그래밍 자기주도학습 과정 분석)

  • Jeon, Jun-Ho;Yi, Soyul;Lee, Yo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7a
    • /
    • pp.413-414
    • /
    • 2019
  • 최근 프로그래밍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지만 수업시수 문제로 학교 수업시간만으로는 성과를 거두기는 어렵다. 온라인 채점 시스템은 학생의 코드를 평가하고 피드백을 제공해주기 때문에 자기주도적인 프로그래밍 학습에 도움을 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채점 시스템을 사용해서 C 프로그래밍 기초 학습을 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제출코드와 피드백을 분석하려고 하며, 학생들의 프로그래밍 학습경험과 학습참여도 등을 조사하여 대상학생을 선정하고,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대상 학생들의 소스코드 및 피드백을 분석하여 자기주도학습 과정을 분석하고, 문제개선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음을 제언한다.

  • PDF

The Effectiveness of online English Learning Program Content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초등학교 온라인 영어 학습 콘텐츠 유형별 효과성)

  • Kim, Yooje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2
    • /
    • pp.427-437
    • /
    • 2018
  •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iveness of the online English learning program content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tudy used the online English learning program served by Gyeonggi province office of education. 107 students attending P elementary school in K city volunteered for the program. After studying English via the website for almost one year, they were asked to respond the questionnaires related to the contents of the online English program. Since the research investigated that the relations of students' grades, the time for the study, their diagnostic test scores,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contents, the survey responses were analyzed with Spearman correlation. As a result, older students thought that the type of problem-solving, the type of performing a task, WBI (Web Based Instruction) were not efficacious. Also, these types of online English program were chosen as ineffective from the students at the higher level. Whereas the type of private lesson, the lessons based on a story, and the type of animation were preferred to the students who spent longer time on the website. This highlights the need to consider the students' characteristics such as students' grades, the time for the study, and their English level when developing the contents of the online English learning program.

Study Level Inference System using Education Video Watching Behaviors (학습동영상 학습행위 기반의 학습레벨 추론시스템)

  • Kang, Sang Gil;Kim, Jeonghyeok;Heo, Nojeong;Lee, Jong Sik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Architecture
    • /
    • v.10 no.3
    • /
    • pp.371-378
    • /
    • 2013
  • Video-demand learning through E-learning continuously increases on these days. However, not all video-demand learning systems can be utilized properly. When students study by education videos not matched to level of their own, it is possible for them to lose interest in learning. It causes to reduce the learning efficiency.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we need to develop a recommendation system which recommends customized education videos according the study levels of students. In this paper, we estimate the study level based on the history of students' watching behaviors such as average watching time, skipping and rewinding of videos. In the experimental section, we demonstrate our recommendation system using real students' video watching history to show that our system is feasible in a practical environment.

Design of Algodoo Simulation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Algodoo 시뮬레이션 교수 학습 프로그램 설계)

  • Jeong, Jaehoon;Lee, Taew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3.07a
    • /
    • pp.199-201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학생들의 과학 교과에서 학생들의 흥미와 학업성취를 향상시키기 위해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융합인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하였다. 최근 디지털 기술의 고도화로 인해 다양한 정보통신 기술과 지식의 융합을 교육 환경에 적용하는 스마트러닝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학생들은 모바일 기기의 접근성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고 학교 현장에서는 모바일 기기와 교육용 프로그램을 활용한 학습이 활성화 되고 있다. Algodoo는 2D기반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물리적인 효과를 태블릿과 컴퓨터로 시뮬레이션 할 수 있으며, 웹에서 다양한 물리적인 효과나 원리에 대한 학습내용을 참고 할 수 있다. 교수 학습자료는 2009 개정교육과정 초등 과학에 나온 내용을 분석 후 실생활과 관련된 주제를 선정하여 학생들의 흥미와 이해를 향상시키도록 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개별학습과 협력학습을 통해 학습할 수 있으며, 학습 후에는 학생들이 시뮬레이션을 설계 및 실행하여 평가 및 반성을 할 수 있게 하였다.

  • PDF

인터넷 실시간 자료를 이용한 고등학교 지구과학 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 홈페이지 구축

  • Gu, Ja-Ok;An, Hui-Su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9a
    • /
    • pp.199-206
    • /
    • 2005
  • 지구과학은 실생활과 직접적으로 관련되거나 학생들이 친숙하게 생각하는 많은 개념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런 특성은 과학캠프나 자연탐사 활동에서 지구과학과 관련한 탐구주제가 학생들의 큰 호응을 얻는 사실을 설명할 수 있다. 하지만 정규 수업에서 이루어지는 지구과학 실험 수업은 교과서에 제시된 자료해석 위주의 실험이 많아 학생들의 흥미를 반감시키는 경우가 많으며 자료 측정과정에서 과학자가 느낄 수 있는 중요하고 귀중한 경험을 놓칠수 있다. 그런데 인터넷에서는 해양과 대기, 천문, 지질 각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갱신되는 실시간 관측 자료를 제공해 주는 곳이 많으며 이 실시간 자료들을 고등학교의 지구과학 실험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면 기존의 자료해석 실험이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고 학생들의 지구과학에 대한 호응도를 높일 수 있으며 보다 다양한 탐구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학습 프로그램의 특징은 탐구 중심 혹은 문제 해결 학습을 강조하는 현재의 교육 목표를 잘 반영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인터넷에서 제공되는 지구과학 관련 실시간 자료들을 활용할 수 있는 고등학교 지구과학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지원할 수 있는 홈페이지를 구축한 후 실제로 수업에 적용하여 교육적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 실시간 자료를 이용하는 고등학교 학생들을 위한 지구과학 학습 프로그램을 12개의 주제에 대해서 완성했다. 먼저 지구과학실험 시간에 적용할 수 있는 2차시 분량의 학습 프로그램 6주제를 개발했는데 개발 주제는 '지진이 일어나고 있는 곳은 어디인가?', '진앙으로 판의 경계를 결정하기', '진앙의 위치를 찾아라', '암영대를 찾아라', '태양의 자전 주기를 측정하기', '태양활동' 이다. 각 주제별로 수업소개, 학습목표, 과정, 학습자료(학생 활동지, 기타 자료, 수업 내용과 관련한 실시간 자료 제공 사이트 목록), 평가 자료를 만들었다. 학생들의 활동 내용은 <지진이 일어나고 있는 곳은 어디인가?>의 주제를 예로 들면 학생들이 실시간으로 전 세계의 지진활동을 모니터하는 사이트에 접속하여 최근에 지진이 어디에서 일어났는지 알아보고 지난 30일 동안에 일어났던 규모 4 이상의 지진 자료를 다운 받아 세계 지도에 점으로 표시한다. 이 때 학생들은 손으로 진앙의 위치를 지도에 그리는 대신 엑셀의 그래프 기능을 이용하여 지도에 진앙의 위치를 나타내게 한다. 또 개인 과제 연구에 적용할 수 있는 학습 프로그램을 5가지 개발하여 학생들이 특정한 주제에 대하여 탐구 과제를 수행할 수 있게 했는데 개발된 주제는 '태양 활동으로 오로라 예측하기', '국제 우주 정거장을 찾아내자', '한반도 부근의 해양 기상과 해수의 물리적 상호 관계', '일기도 분석을 통한 태풍의 진로 예측', '우리 나라 조석 예측' 이다. 마지막으로 사이버 학습을 통해서 수업 시간의 제약 없이 과제 형태로 처치 가능한 학습 프로그램 개발 했는데 그 주제는 '태풍이 저위도에서 북상하는 이유?'이다. 개발된 프로그램 중 2차시 학습 프로그램은 과학고 중학생 영재반에게, 개인 탐구 과제는 과학고 1학년 학생들에게, 사이버 수업 형태는 과학고 2학년 학생에게 적용시켰다. 실시간 자료 활용을 지원하는 홈페이지를 만들어 자료 제공 사이트에 대한 메타 자료를 데이터베이스화했으며 이를 통해 학생들이 원하는 실시간 자료를 검색하여 찾을 수 있고 홈페이지를 방분했을 때 이해하기 어려운 그래프나 각 홈페이지가 제공하는 자료들에 대한 처리 방법을 도움말로 제공받을 수 있게 했다. 실시간 자료들을 이용한 학습은 학생들의 학습 의욕과 탐구 능력을 향상시켰으며 컴퓨터 활용 능력과 외국어 자료 활용 능력을 향상 시키는데도 도움을 주었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 that five-minute tests influence low level students' improvement of their assessment in mathematics (수학 학습부진 학생의 수학 학습 성취도 향상을 위한 5분 테스트 활용의 효과)

  • Bae, Se-Hyeon;Park, Yeon-Yong;Lee, Heon-Soo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14 no.4
    • /
    • pp.459-476
    • /
    • 2011
  • In this study, as a teaching way of classes by achievement level, low level students have taken five-minute tests that could be efficient in remedial feedback, and we have investigated the students' improvements of their assessment in mathematics through each of the unit tests. The results show that the five-minute tests with low level classes helped them develop mathematics problem-solving skills and also form positive attitudes about mathematics. More studies of the various methods must be done so that low level students can develop their abilities to solve mathematical problems skillfully.

  • PDF

Exploration on Teaching and Learning Experiences Improving Positive Experiences about Science of Scientifically-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초등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긍정경험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경험 탐색)

  • Seo, Sunjin;Kang, Hunsi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41 no.2
    • /
    • pp.133-144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teaching and learning experiences to improve the positive experiences about science (PES) of scientifically-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is study, 36 students in grades 5~6 at a gifted science education institutes in Seoul were selected and conducted pre-test and post-test for 'Test for Indicators of Positive Experiences about Science (TIPES).' After the weekly science classes of the institutions were over,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also conducted with some students to explore the teaching and learning experiences for improving their PES. The analysis of the results reveals that the science classes for scientifically-gifted students have been shown to improve PES of scientifically-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teaching and learning experiences to improve their PES included eight teaching and learning experiences that appeared in gener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previous study such as 'practice-centered exploratory activities,' 'student-led class,' 'positive and professional feedback,' 'construction of knowledge through exploration,' 'class considering student's interest and aptitude,' 'use of materials related to real life,' 'smooth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in group activities,' and 'appropriate difficulty in learning content.' There were also six teaching and learning experiences that newly emerged from science-gifted students: 'Learning experience through the strategies for improving scientific creativity,' 'inquiry experience as a little scientist,' 'advanced or accelerated learning experience,' 'learning experience with excellent students,' 'experience helping other students,' and 'experience with high or low achievement'. Based on these results, the practic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student's PES are suggested.

Comparison of Character Strengths, Emotional Intelligence, and Learning Flow between Elementary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and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초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성격 강점, 정서지능, 학습몰입 비교 및 관계 분석)

  • Park, Mun-Sook;Yoo, Mi-Hyun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24 no.5
    • /
    • pp.829-849
    • /
    • 2014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elementary gifted students with general students in respect of their character strengths, emotional intelligence and learning flow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 strengths, emotional intelligence, and learning flow of the gifted student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general students. Humanity was the highest virtue for both gifted and general students. Gifted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mean difference in humility and modesty than that of general students. The gifted students showed a statistically higher mean value in the sub-region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all sub-areas of the learning flow than that of the general students. Second, the strong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character strengths and emotional intelligence, between character strengths and learning flow in gifted students. Thir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haracter strengths of gifted students affected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and learning flow significant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