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년군

검색결과 551건 처리시간 0.024초

초등학교 교사의 2015 개정 과학과 검정 교과서 선정 경험 분석 (Experience Analysis on the Selection of the 2015 Revised Science Authorized Textbook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 채희인;노석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2권1호
    • /
    • pp.194-209
    • /
    • 2023
  • 본 연구는 과학과 검정 교과서를 선정하는 과정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선정 주체인 교사의 인식 분석을 통해 과학과 검정 교과서 체제가 바르게 정착되고 발전될 수 있도록 시사점을 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과학과 검정 교과서 선정 과정에 참여한 초등학교 교사 5명과 내러티브 면담을 진행하고, 32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제기된 교과서의 저자에 관한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첫째, 교사들은 '의견수렴' 단계가 가장 중요하다고 이야기하였으며, 경력과 전공을 고려하여 과학 교과서 선정협의회를 구성하였고, 학교의 상황에 맞게 평가기준표를 재구성하여 활용하고 있었다. 둘째, 의견수렴 과정에서 교사별로 과학 교과서 전체를 검토하는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내적 요소로 탐구 활동과 교과서 구성을 중요하게 고려하였다. 외적 요소로는 동영상과 같은 교수·학습자료가 매우 중요하게 고려되었다고 이야기하였으며, 교과서의 신뢰성과 전문성의 지표인 저자와 관련된 부분도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셋째, 학교운영위원회 심의 및 학교장 보고의 경우 선정 이후 진행하는 행정적인 마무리 단계로 인식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3~4학년군 교과서와 5~6학년군 교과서를 임의로 통일하는 것 보다 학년군별로 가장 적합한 교과서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액션러닝을 활용한 노인간호학실습 수업 운영의 효과 (The Effects of a gerontological nursing clinical practice course using action learning o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 권상민;권말숙;박지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421-427
    • /
    • 2016
  • 본 연구는 노인간호학실습 교육에 액션러닝의 팀 학습 방법을 활용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및 팀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2015년 3월 9일부터 2015년 6월 19일까지 Y대학 간호학과의 노인간호학 실습 교과목을 수강신청한 간호학과 3학년생 전체를 편의표집 대상으로 하여 실험군은 A, B병원으로 실습을 나가는 학생들 중에서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에 동의한 학생 40명, 대조군은 동일 간호대학 3학년 학생들 가운데 실험군과 겹치지 않는 병원(C, D, E병원)에 실습을 낙가는 학생 40명을 선정하여 액션러닝을 2주간 적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0 program을 이용하여 하여 일반적 특성과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 동질성 검증은 ${\chi}^2$-test, t-test, 실험처치 효과에 대한 검증은 independent t-test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액션러닝을 적용한 결과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점수는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나, 팀 효능감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액션러닝은 간호학생들의 문제해결능력 및 의사소통능력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고 학습성과 기반 교육과정에서 매우 유용한 교수학습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반성군 문항 해결과정에 나타난 초등 수학 영재 아동들의 반응과 인식 분석 (Analysis on the Responses and Recognitions of the Gifted Students in Solving Reflection Cluster Problems)

  • 조영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5권2호
    • /
    • pp.147-158
    • /
    • 2012
  • 이 논문에서는 국내 교육현장에서 적용 사례를 찾아보기 힘든 반성군 문항을 소재로 하여 그 개념과 구체적인 문항 사례, 적용에 따른 학생들의 반응 등을 알아보고, 더불어 반성군 문항을 해결한 후 학생들의 인식을 설문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6학년 영재아동을 대상으로 반성군 문항 중심의 문제해결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에 투입한 반성군 문항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분석하였으며, 기존 수학 수업 또는 영재 수업에서의 문항에 대비하여 반성군 문항에 대한 인식 등을 살펴보았다. 이는 우리나라에 반성군 문항의 도입이나 영재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초등학생의 아침식사 빈도에 따른 영양상태와 부모 관련요인 분석 : 2013 ~ 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Nutritional status and related parental factors according to the breakfast frequen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2013~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유소영;양윤정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2권1호
    • /
    • pp.73-89
    • /
    • 2019
  • 본 연구는 2013 ~ 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초등학생의 아침식사 빈도에 따른 식생활 및 영양상태를 분석하고, 초등학생의 아침식사 빈도와 관련된 부모 요인을 조사하였다. 주요 결과에 대한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 과체중과 비만에 해당하는 비율은 남녀 고학년에서 아침식사 빈도가 낮은 군이 높은 군보다 더 높았다. 둘째, 부모 요인을 비교한 결과 어머니의 BMI지수, 어머니의 비만 비율은 남자 고학년에서 아침식사 빈도가 낮은 군이 높은 군보다 더 높았다. 어머니의 경제활동 참여비율과 부모의 직업이 단순노무직인 비율은 남자 저학년에서 아침식사 빈도가 낮은 군이 높은 군보다 더 높았다. 부모가 아침을 결식하는 비율은 남자 저학년 및 고학년과 여자 저학년에서 아침식사 빈도가 낮은 군이 높은 군보다 더 높았다. 어머니가 혼자 아침 식사를 하는 비율은 남자 저학년에서 아침식사 빈도가 낮은 군이 높은 군보다 더 높았다. 셋째, 영양소 섭취상태를 비교한 결과 아침끼니로 섭취하는 에너지는 모든 대상자에서 권장수준인 25% 이하였으며, 철분을 평균필요량 이하로 섭취하는 대상자의 비율은 남녀 고학년에서 아침식사 빈도가 낮은 군이 높은 군보다 더 높았다. 본 연구를 통해 초등학생의 아침식사 빈도는 비만과 영양소 섭취상태와 연관성이 있었고, 부모의 올바른 식생활 실천이 자녀의 아침결식 문제 해결의 효과적인 중재요인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초등학생이 규칙적이고 균형 있는 아침식사를 실천하기 위한 부모를 대상으로 한 영양교육 프로그램 개설 및 학교에서의 아침급식 도입 등과 같은 다양한 정책지원을 고려해볼 필요성이 있겠다.

초등 KAIE 컴퓨팅 시스템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교육내용 탐색 (A Study of the Direction for Developing KAIE Computing System Curriculum in Elementary Education)

  • 성영훈;박남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701-710
    • /
    • 2017
  • 본 연구는 초등 KAIE의 컴퓨팅 시스템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 정보기기, 운영체제, 정보통신 영역에 필요한 교육모델과 교육내용 요소들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정보과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핵심개념과 연관 개념을 추출하고 내용체계를 재구조화하여 초등학교 3,4학년군, 5,6학년군에 적용할 수 있는 교육 모델을 설계하였다. 설계한 모델의 교육내용 요소들은 전문가 델파이조사 검증을 통해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컴퓨팅 시스템 영역의 교육내용 요소들을 기반으로 하위영역에 대한 교육내용 요소들을 결합하여 다양한 학습자의 탐구전략과 교사의 교수학습모델 개발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초등학교 3~4학년군 수학 교과서에 의도된 교과 역량 분석 (An Analysis of Mathematical Competencies Intended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for Third and Fourth Grade)

  • 방정숙;황지남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4권1호
    • /
    • pp.21-41
    • /
    • 2021
  •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교과 역량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그 하위 요소까지 명시되었지만, 교육과정을 구체적으로 반영한 교과서에서 정작 교과 역량을 얼마나 어느 정도로 다루고 있는지에 대한 분석은 별반 없다. 이에 본 논문은 초등학교 3~4학년군 수학 교과서에 의도된 교과 역량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의사소통과 추론 능력이 전체의 절반 정도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창의·융합, 정보 처리, 태도 및 실천, 문제 해결 능력 순서로 제시되어 있었다. 또한 각 교과 역량의 하위 요소별로 분석한 결과 그 편차가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은 수학 교과 역량별로 하위 요소까지 분석하고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수학 교과서에 의도된 교과 역량의 특성을 파악하고 더불어 역량 기반의 교과서 개발과 관련하여 논의를 촉진할 것으로 기대된다.

초등학생의 인터넷 중독 실태: 성과 학년별 차이를 중심으로 (Current Status of Elementary Students' Internet Addition: Differences according to Students' Gender and Grade)

  • 김형만;이보람;조미헌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10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1-8
    • /
    • 2010
  • 최근 인터넷의 오남용으로 인한 역기능 중에서 특히 인터넷 중독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심리적으로 불안정한 10대학생들의 인터넷 사용률이 다른 연령층보다 높다는 사실을 고려할 때, 인터넷을 올바로 사용하도록 지도하여 인터넷의 순기능을 강화하고 인터넷 중독으로 인한 부작용을 예방하기 위한 방안들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10대 청소년들 중에서도 특히 판단력이 부족한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인터넷 중독 실태를 분석하고, 성과 학년에 따른 중독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989명의 5,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응답자의 5.0%에 해당하는 학생들이 고위험사용자군에 속하며, 15.7%의 학생들이 잠재적위험사용자군으로 속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학생들의 특성 중에서 성과 학년에 따라서 중독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성에 따라서는 중독 검사의 총점과 6가지 세부 항목(일상생활 장애, 긍정적 기대, 금단, 가상적 대안관계 지향성, 일탈행동, 내성) 모두에서 남녀학생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이 발견되었다. 또한 학년에 따라서 중독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중독 검사의 총점과 4가지 세부 항목(일상생활 장애, 금단, 일탈행동, 내성)에서 5학년과 6학년 학생들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 PDF

2015 개정 초등학교 슬기로운 생활과 3~4학년 과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 (Analysis on Continuity between the 2015 Revised Elementary Intelligent Life Curric ulum and Sc ienc e Curric ulum for Grades 3-4)

  • 박지선;장진아;진예은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1권2호
    • /
    • pp.267-282
    • /
    • 2022
  • 본 연구는 초등학교 1~2학년 슬기로운 생활과 3~4학년 과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 분석을 통해 체계적인 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슬기로운 생활 내에서의 과학 관련 내용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정리하고, 두 교과의 교육과정 연계성을 지식 측면과 탐구 기능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슬기로운 생활 교육과정 내 과학과 교육과정과 연계된 내용은 32개의 내용 요소 중 10개에 불과하였다. 이 중 5개의 내용 요소가 3~4학년군 과학과 교육과정과 연계되어 있었으며, 모두 생명 영역에 집중되어 있었다. 운동과 에너지와 물질 영역에 대한 내용은 슬기로운 생활에서 전혀 다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생명 영역은 발전적으로 연계되고 있었으며, 지구와 우주 영역은 급변적으로 연계되고 있었다. 탐구 기능의 경우, 관찰과 측정, 추리, 의사소통은 슬기로운 생활과 과학과가 수준이 자연스럽게 높아지면서 반복되는 발전적 연계가 이루어졌다. 분류는 기능적 활동 측면에서 발전적 연계가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으나 명확한 인식적 목적 없이 단순히 무리지어 보는 분류 활동에 그치고 있었다. 반면, 예상 활동은 슬기로운 생활에서는 제시되지 않다가 3~4학년군 과학에서 제시되기 시작하므로 격차가 발생한다고 보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슬기로운 생활 교육과정과 과학과 교육과정의 연계성 확보를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메타버스를 활용한 초등학생 대상 온라인 기반 학습형 STEAM 프로그램 개발 (Developing an Online-based Learning STEAM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using Metaverse)

  • 박기락;김형범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3-55
    • /
    • 2023
  • 이 연구는 지방에 소재한 초등학교 2학년·4학년·6학년 197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메타버스를 활용한 온라인 기반 학습형 STEAM 프로그램을 적용한 수업이 초등학생의 STEAM에 대한 태도와 만족도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본 것이다. 연구 수행을 위해서 각 학년군에서 각각 4~5차시의 온라인 기반 학습형 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한 후 이를 적용하여 효과를 알아보았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온라인 기반 학습형 STEAM 프로그램을 적용한 수업은 초등학생의 STEAM에 대한 태도를 향상하는 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으며,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시범 적용 교사는 면담에서 '프로그램에 대한 학생들의 수업 집중도가 굉장히 높았으며 메타버스 공간을 활용하는 것이 매우 흥미로웠다'는 긍정적 평가를 하였다. 시범 적용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의 학년군별 4 ~ 5차시에 해당하는 1종의 학생용·교사용 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메타버스를 활용한 온라인 학습 프로그램은 교육 불평등을 해소하고 유연한 학습 환경을 제공하여 팬데믹 기간에 교육을 혁신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이에 중·고등학생을 위한 온라인 STEAM 프로그램 개발 연구를 제안하였다.

2015 개정 실과 교과서 소프트웨어 교육 단원의 외적 체제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n External System of Software Education Unit in Practical Arts Textbooks based on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김지윤;이태욱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년도 제59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7권1호
    • /
    • pp.305-306
    • /
    • 2019
  • 2019학년도 초등학교 5-6학년군에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전면 적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실과 검정 교과서 6종 소프트웨어 교육 단원의 외적 체제를 비교 분석하였다. 단원 체제 분석 결과 모든 교과서에 공통적으로 대단원명, 대단원 차례, 중단원명, 본문텍스트, 본문삽화, 용어 설명, 단원 마무리 등이 제시되어 있었다. 단원 구성 분석 결과 소프트웨어 교육 단원은 전체 교과서 분량의 18.8~25%까지 교과서별로 다양한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후속 연구로는 본 논문에서 다룬 교과서의 외적 체제 뿐 아니라 내적 체제 까지를 포함하여 각 교과서의 소프트웨어 교육 단원을 전체적인 틀에서 비교 분석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