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학교 수학 교육

Search Result 2,824,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The Comparison Study on the Geometric Construction between Korean Public School and Waldorf Education -Focused on the Usages of Compass in Elementary School- (우리나라 공교육과 발도르프교육에서 작도 지도 내용 비교 분석 연구 - 초등학교 수학에서 컴퍼스의 쓰임을 중심으로 -)

  • Cho, Youngmi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20 no.4
    • /
    • pp.541-561
    • /
    • 2016
  • In this paper we discussed about the contents which were related with geometric construction in elementary school. We examined how the compass has been used in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Thus we found several features. And we inspected the ideas and sequences about geometric construction in Waldorf mathematics education. Finally, we suggested how to change the contents to make the relationships between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better.

초등 영재교육에 적용 가능한 이산수학 프로그램 개발 연구

  • Choe, Geun-Bae;An, Seon-Ye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9 no.1 s.21
    • /
    • pp.167-189
    • /
    • 2005
  • 본고에서는 영재교육에서 실제 학습자료의 부족과 이산수학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최근의 동향을 감안하여, 초등학교 영재교육에 적용 가능한 이산수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우선 프로그램의 개발에 선행하여 관련 이론에 대한 고찰을 하였으며 제 7차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의 이산수학 관련 내용을 분석하석 교육과정의 내용을 심화 ${\cdot}$ 발전할 수 있는 방안에 초점을 두었다. 특히 이산수학과 관련된 기존의 수학학습 프로그램들은 대부분 순수 수학적 이론을 제시하고 그에 따른 문제를 풀어보는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본고에서는 이산수학의 이론을 중심으로, 문제해결에서 알고리즘적으로 사고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초점을 두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즉, 프로그램 자체가 하나의 수학적 원리를 탐구해 가는 과정이 되는 것이다. 또한 이산수학이 수학적 문제해결 학습과 연관됨에 착안하여 프로그램은 Polya의 문제해결학습을 바탕으로 구성하고자 한다.

  • PDF

Implications of Euclid Elements for the Understanding of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의 이해에 유클리드 원론이 주는 시사점)

  • Hong, Gap Ju;Kang, Jeong Min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 /
    • v.20 no.1
    • /
    • pp.117-130
    • /
    • 2017
  • Euclid's elements have been recognized as a significant textbook in mathematics and mathematics education because of importance of its contents and methodology. This study discussed how the elements is connected with understanding of math textbooks in elementary school, trying to reveal the value for teacher training. First, when details in elementary textbooks were considered in aspect of elements, the importance of elements was illustrated with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contents of elementary school by examining educational implications. In addition, the study discussed the value of the elements as the place for teachers and would-be teachers to experience math system.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Family Math Program (가족단위 수학공감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 연구)

  • Chang, Hyewon;Lim, Miin;Yu, Migyoung;Park, Haemin;Nam, Jihyun;Kim, Hyejin;Lee, Hyewon;Shin, Saeme;Jeong, Jinhwan;Lee, Sangeun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22 no.4
    • /
    • pp.427-451
    • /
    • 2018
  •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family math program that can be experienced by the families in accordance with the 2nd Mathematics Education Comprehensive Plan and to spread the positive attitude and perception of mathematics to the people by applying the family math program for the family units. And this study aims to suggest some concrete ways to develop and apply family math sympathy programs. For this purpose, we developed over 24 activities for math tour, mathematical games, math activities, my home math, historical math, and e-world mathematics, which can be enjoyed by infants and students in the levels of elementary school and secondary school. And we applied these programs to 175 families eight times and surveyed them using a questionnaire. Based on the results, some implications related to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family math sympathy program to disseminate a positive culture of mathematics were derived.

  • PDF

미분교육을 위한 비쥬얼베이직 프로그램 설계

  • Han, Hui-Dong;Lee, Gyu-B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2
    • /
    • pp.303-315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고등학교 수학교과 7차 교육과정중 미분 단원의 교수 학습을 위한 프로그램을 Visual Basic 프로그램으로 설계한 과정과 그 기능을 기술하였다. 함수의 미분을 위한 초기의 좌표와 미분할 점의 좌표, 실행회수 등의 데이터를 입력 ${\cdot}$ 실행하여 그 결과(접근과정)를 화면에 도표와 그래프로 나타나게 하였고 미분단원의 ‘학습내용’과 ‘사용설명’의 기능을 추가하였다. 보조계산이나 함수의 입력을 위해 “함수값 계산”, “극한값 계산”, “함수입력판” 등의 창(폼)을 설치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일선 학교 교육 현장에서 수학 교수-학습을 위한 효율적인 시청각 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자연수 연산의 학습 내용 구성 방향

  • 신준식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 /
    • v.1 no.1
    • /
    • pp.73-83
    • /
    • 1997
  • 옛날부터 계산을 잘하는 것이 수학적으로 우수하다고 생각해왔으며, 거의 1900년까지도 교육을 받았다는 것은 계산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였다. 초등학교의 대부분의 시간은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을 배우는 데 투입되었다. 현재에도 초등학교의 교육과정은 기본 교육에 중점을 두어 3R's(reading, writing, arithmetic)을 강조하고 있으며, 많은 교사나 학부모들은 계산능력에 대해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 1970년대의 '새 수학' 운동으로 계산력이 약화되었다는 비난이 쏟아지자 '기본에 충실하자(Back to basic)'는 운동으로 계산이 강화되기도 하였다.(중략)

  • PDF

고등학교 수학 교실수업의 내용 분석

  • Im, Hyeong;Sin, Min-A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6
    • /
    • pp.279-287
    • /
    • 2003
  • 본 연구는 고등학교 수학 교과의 6차시 분의 교실 수업을 비디오로 녹화하여 TIMSS 비디오 연구에서 사용한 코드와 현재 고등학교에서 수업 장학을 위하여 가장 많이 사용하는 점수형 수업참관록으로 분석하였다. TIMSS 비디오 연구의 코드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교실 수업의 다양한 상황과 수업 내용을 자세하고 객관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으나 1/3정도의 코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문제점을 보여주어서 우리 나라 고등학교 수학 수업 분석을 위해서는 TIMSS 연구에서 사용한 코드의 수를 줄여서 고등학교 수학 교실 분석에 사용하는 것이 유용할 것 같다. 수업참관록의 요소를 사용한 분석 결과는 단순하고 개괄적이어서 수업 내용을 정확하게 분석하기는 어렵고 단지 수업 평가 정도의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수업참관록에 분석 요소를 추가시킴으로서 보다 의미있고 객관적인 수업 장학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xploring the direction of Assessment in Korean High School Mathematics through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Mathematics Domain Changes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 영역의 변화를 통해 살펴본 고등학교 수학 평가의 방향 탐색)

  • Choi, Inseon;Lee, Sehyung;Moon, Duyeol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26 no.2
    • /
    • pp.137-158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shifts in the mathematics domains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since its inception in 1993, with the intent of identifying improvements for the future. The goal is to provide insights for exploring the direction of assessment in Korean high school mathematics education. To this end, we focused on the test system, content area, and behavioral area within the CSAT mathematics domains. Key findings include: first, the test structure influences the assessment factors and item types, in addition to the examination time and number of items. Second, by analyzing the content area, we established a correlation between the national curriculum and assessment area, and confirmed the importance of setting the assessment area. Third, the examination of the behavioral area tended to the item-type fixation, demonstrating the necessity of the ongoing modifications in evaluation item types. Building upon these findings, we discuss the direction of an evaluation that considers the evolving demands and shifts within mathematics education.

Effects on equity in mathematics education: Multilevel analysis via the PISA 2015 (수학교육 형평성에 미치는 학교 영향: PISA 2015를 이용한 다수준 분석)

  • Hwang, Jihyun;Shin, Dong Hoon
    • The Mathematical Education
    • /
    • v.60 no.4
    • /
    • pp.451-466
    • /
    • 2021
  • The interaction between student and school levels should be considered to understand and examine equity in education. For this reason, we included the socioeconomic composition of schools to scrutinize the equity related to students' socioeconomic status and mathematical literacy in Korea. We applied the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approach to the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PISA) 2015 data for binational comparison between Korea (5,548 students from 168 schools) and the U.S. (5,217 students from 161 schools). The findings show that school-level achievement and the socioeconomic composition of schools cannot be ignored to understand Korean students' achievement gap between high and low socioeconomic status. In addition, U.S. students from low socioeconomic status were likely to have similar mathematics literacy scores. These findings indicated that inequity in Korean mathematics education could be intertwin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tudents like high demands for supplementary private education and school characteristics like curriculum selection. This research also reminds mathematics educators that people should not simply mimic other education systems to resolve education issues in their ow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