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mparison Study on the Geometric Construction between Korean Public School and Waldorf Education -Focused on the Usages of Compass in Elementary School-

우리나라 공교육과 발도르프교육에서 작도 지도 내용 비교 분석 연구 - 초등학교 수학에서 컴퍼스의 쓰임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16.10.17
  • Accepted : 2016.11.26
  • Published : 2016.11.30

Abstract

In this paper we discussed about the contents which were related with geometric construction in elementary school. We examined how the compass has been used in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Thus we found several features. And we inspected the ideas and sequences about geometric construction in Waldorf mathematics education. Finally, we suggested how to change the contents to make the relationships between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better.

초등학교 수학의 컴퍼스 관련 내용은 중학교 작도 교육과 연계될 수 있다. 활동주의 교육의 소재가 될 수 있는 작도를 지원할 수 있도록 초등학교 내용에서 수정 보완할 점과 그 개선 방향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을 통해 초등학교 컴퍼스 관련 내용의 주요 특징을 추출하였고, 작도가 기하 교육의 핵심을 이루는 발도르프교육에서 작도 지도의 계열과 주요 특징을 살펴 보았다. 우리나라와 발도르프교육을 비교한 결과로, 컴퍼스 도입을 고학년으로 늦추기, 논증기하 이전에 형태 체험과정과 심미적 체험을 할 수 있는 과정을 추가하는 것 등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석일 (2006). 중학교 기하교재의 '원론'교육적 고찰. 서울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교육과학기술부 (2011). 수학 3-1. 서울 : 두산동아.
  3. 교육과학기술부 (2011). 수학 5-1. 서울 : 두산동아.
  4. 교육부 (2000). 초중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 기준(1946-1997).
  5. 교육부 (2015). 수학과 교육과정.
  6. 교육부 (2015). 초등학교 수학 : 3-4학년군, 3-1. 서울 : 천재교육.
  7. 교육부 (2015). 초등학교 수학 : 5-6학년군, 5-1. 서울 : 천재교육.
  8. 김문희 (2016). 공립초등학교 교사의 발도르프교육 운영 사례 연구. 한국교육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성숙 (2014). 슈타이너의 포르멘선묘(2) -실천을 통한 포르멘의 교육적 효과. 예술교육연구, 12(1). 69-84.
  10. 김훈태 (2015). 교사를 위한 인간학 : 발도르프 교육의 인간 이해. 서울 : 교육공동체 벗.
  11. 노성두 (2004). 성화의 미소. 서울 : 아트북스.
  12. 류강하 (2007). 한대(漢代)의 복희(伏羲)와 여와, 위대한 "커플"의 탄생. 중국어문학지. 23.
  13. 문교부 (1963). 산수 3-1.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4. 문교부 (1963). 산수 5-2.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5. 문교부 (1965). 산수 3-2.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6. 문교부 (1965). 산수 5-1.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7. 문교부 (1973). 산수 3-2.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8. 문교부 (1973). 산수 6-1. 국정교과서주식회사.
  19. 문교부 (1983). 산수 3-2. 국정교과서주식회사.
  20. 문교부 (1983). 산수 5-1. 국정교과서주식회사.
  21. 문교부 (1990). 산수 3-2. 국정교과서주식회사.
  22. 문교부 (1990). 산수 5-1. 국정교과서주식회사.
  23. 문교부 (1990). 산수 3-2. 국정교과서주식회사.
  24. 문교부 (1990). 산수 5-1. 국정교과서주식회사.
  25. 박한식 (1990). 한국수학교육사.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6. 신이섭 외 (2011).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과 교육과정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정책연구 2011-11.
  27. 유미영, 최영기 (2015). 유클리드 원론 I권 정리 22의 Diorism을 통해서 본 존재성. 수학교육학연구, 25(3). 367-379.
  28. 이준열 외 (2013). 중학교 수학 1. 서울 : 천재교육.
  29. 임영빈, 류희수 (2011). 선분의 등분할 작도에 나타나는 6학년 영재.일반 학급 학생들의 수학적 사고,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5(2), 247-282.
  30. 손민경, 류희수 (2014). 우리나라 초등 수학 교과서와 미국 EM 교과서 비교 -도형의 합동을 중심으로.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8(3), 539-555.
  31. 이무현 (1997), 기하학원론 : 평면기하 . 서울 : 교우사.
  32. 장혜원 (1997). 중학교 기하 영역 중 작도 단원에 관한 고찰. 수학교육학연구, 7(2), 327-336.
  33. 푸른씨앗 (2013). 형태그리기. 서울 : 푸른씨앗.
  34. 하주연 (2016). 발도르프학교의 수학. 서울 : 푸른씨앗.
  35. Jarman, R (2000). Teaching mathematics in Rudolf Steiner schools for classes I-VIII. 하주현(역) (2016), 발도르프학교의 수학. 서울 : 푸른씨앗.
  36. Neiderhauser, H., Andrer, H. B. (1984). Form drawing. 푸른씨앗(역) (2015). 발도르프학교의 형태그리기 수업. 서울 : 푸른씨앗. 33-68.
  37. Schneider, M. S (1995), A beginner's guide to constructing the universe : the mathematical archetypes of nature, art, and science. 이충호(역) (2002). 자연, 예술, 과학의 수학적 원형. 서울: 경문사.
  38. Schuberth, E., Embrey-Stine, L (1996). Form drawing grades one through four. 푸른씨앗(역) (2013). 형태그리기. 서울 : 푸른씨앗.
  39. Schuberth, E (2004). Geometry lessons in the Waldorf School: freehand form frawing and basic geometric construction in grades 4 and 5. 푸른씨앗(역) (2016). 맨손 기하 : 형태그리기에서 기하 작도로. 서울 : 푸른씨앗.
  40. Hughes, G. (2012). The Polygons of Albrecht Durer -1525. https://arxiv.org/pdf/1205.0080
  41. York, J (2006). Making math meaningful : A middle school math curriculum for teachers and parents. Whole Spirit Press.
  42. www.waldorftoda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