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교적응 요인

검색결과 213건 처리시간 0.031초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셀프리더십 및 사회적지지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구조적 관계 - S대학교 대학생 사례를 중심으로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elf Leadership, Social Support and School Adjustment Impacting on Academic Achievement of University Students - Focusing on the Case of S University)

  • 이은정;송영수
    • 직업교육연구
    • /
    • 제37권6호
    • /
    • pp.63-83
    • /
    • 2018
  • 본 연구는 대학생이 개인 발달 단계에서 중요한 시기인 대학생활에 성공적으로 적응하고 나아가 학업적인 성취를 이룰 수 있도록 지원하는 주요 요인을 규명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개인 특성 요인으로서의 셀프리더십과 사회 환경적 요인으로서의 사회적지지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력 및 그 과정에서의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서울소재 4년제 S 사립대학교 재학생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최종적으로 271개의 응답을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측정도구의 구성개념타탕도을 확인하고, 구조모형방정식, 부트스트랩, 소벨테스트를 통해 변수 간 관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개인 특성 변수인 셀프리더십 및 사회 환경적 변수인 사회적지지와 대학생의 학업성취 간의 인과관계를 확인하였다. 이는 대학생이 학업에서 성취를 이룰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서는, 개인 특성적인 요인과 사회 환경적인 요인을 모두 고려한 통합적인 접근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둘째, 셀프리더십 및 사회적지지가 대학생활적응을 통해 학업성취에 간접적인 영향력을 발휘한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이는 대학생활적응이 학업성취의 중요한 선행 변수임을 증명할 뿐만 아니라 셀프리더십 및 사회적지지와 학업성취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지니는 주요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증명한다. 즉,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이 새로운 교육환경에 잘 적응하여 학업적인 성취까지 이룰 수 있도록 지원하는 개인 특성요인과 사회 환경적 요인에 대한 대학차원에서의 지원 필요성의 타당한 근거를 제시하였다는데 학문적, 실무적인 의의가 있다.

중학생의 학교적응 관련요인의 인과적 구조분석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School Adjust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Related Variables)

  • 배정이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454-464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ausal relationship of familial factors (parental acceptance, autonomy, and family satisfaction), social support (teacher's support and friend's support), school achievement, self-concept, and school adjustment. Based on preceding research, this study established a path model of school adjustment and its related variables. Methods: Two thousand six hundred and twenty nine middle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by a visit-survey with an organized questionnaire and was analyzed by the SPSS and AMOS programs. Results: Self-concept showed a significantly direct influence to school adjustment while both family satisfaction and school achievement directly and indirectly influenced school adjustment. Parental acceptance, autonomy, and social support indirectly influenced school adjustment. Conclusion: These results imply that first, family satisfaction, and self-concept are essential to solve the problems of school adjustment. Especially friend's support, teacher's support and school achievement should help improve the self-concept and school adjustment. Second, a variety of programs are available for schools to employ in an effort to provide interventions for students who demonstrate school maladjustment. Finally, it is necessary for family, school and society members to comprehensively cooperate to improve school adjustment.

영재 청소년의 학업탄력성 척도 개발 (Development of Academic Resilience Scale for Gifted Youth)

  • 김홍희;한기순
    • 영재교육연구
    • /
    • 제24권2호
    • /
    • pp.289-312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 청소년의 학업탄력성 척도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158명의 과학영재교육원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방형 질문과 선행연구 고찰로부터 101개의 기초 예비문항을 추출하였다. 이를 토대로 다시 240명의 과학영재학생들을 대상으로 문항분석 및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영재 청소년용 학업탄력성 척도 문항 개발을 위한 최종단계로 인천, 경기, 서울, 창원, 사천, 울산 지역의 영재교육원 및 지역영재학급 학생 444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영재 청소년의 학업탄력성을 측정할 수 있는 11요인 42문항을 추출하였다. 하위요인은 '목표의식', '자기이해', '교육적 열망', '학업적 자기조절', '과제 집착력', '성공귀인(능력)', '성공귀인(노력)', '대인관계(친구)', '대인관계(부모)', '대인관계(교사)', '낙관성'으로 확인되었다. 척도의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모든 경로계수가 유의하고, 개념신뢰도, 분산추출지수, 결정계수가 기준치 이상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재 청소년의 학업탄력성 척도가 학교적응, 회복탄력성, 학업소진 척도와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고 있어 내적 외적 타당도를 확보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영재 청소년의 학업탄력성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지속적 한부모가족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 변화궤적과 관련 요인 (School adjustment trajectory of adolescents from continued single parent family and its associated factors)

  • 김상하;진미정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75-95
    • /
    • 2018
  •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a school adjustment trajectory of adolescents from continued single parent families and its associated factors by comparing it to that of adolescents of two-parent families. Methods: We selected 4th grade students from Korean Youth & Youth Panel Survey (KCYPS). Using a multi-level growth modeling, we followed the trajectory of school adjustment until 9th grade and the effects of family income, parenting styles, and academic motivations of adolescents on the intercepts and the slopes. Results: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were decreased from 4th grade to 7th grade and then increased from 7th to 9th grade. The adolescents of continued single parent families showed a lower school adjustment than those of two parent families and this trend remained constant during the period. The effects of family income, parenting style, and academic motivation were confirmed to explain the gap between the adolescents of single parent and two parent families. Conclusions: The results imply that an earlier intervention is necessary to reduce the gap. We need to offer income support and decent quality of work for single parent family to reduce the economic hardship and also provide parental education that is designed to enhance academic expectations and motivations.

대학 신입생 중도탈락 예측 요인 분석: S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A Exploratory Study on the Determinants Predicting Student Depature of Freshmen: Focusing on the Case of S University)

  • 이은정;이정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317-330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신입생의 중도탈락을 예측하는 주요 요인을 도출하여, 대학 차원에서 중도탈락을 예방하기 위한 정책 수립의 근거를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에 위치한 S대학교의 2018학번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입학 이후 2년 동안 관찰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랜덤포레스트 중도탈락 예측 모형을 구축하였다. 예측모형에는 대학생활적응 요인 6개 변수, 교육만족요인 12개 변수, 총 18개 변수를 투입하였다. 분석결과, 정서안정성, 경제적 여건, 전공진로에 대한 확신, 대학 선택 만족도, 교육방법(교육 내용의 체계성), 교육방법(전공 교육 내용의 효과성)이 중도탈락을 예측하는 중요도 상위 6개 변수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대학 신입생이 대학생활에 적응하고 안정적으로 학업을 지속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 설계의 방향과 필요성에 대해 제언하였다.

학령 후기 아동의 일상적 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중재하는 보호요인 : 자기통제력과 유머감각 (Self-control and Sense of Humor as Moderating Factors for Negative Effects of Daily Hassles on School Adjustment for Children)

  • 우소연;박경자
    • 아동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13-127
    • /
    • 2009
  •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children's self-control and sense of humor could moderate negative effects of daily hassles on their school adjustment.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80 6th graders (468 boys, 412 girl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Children reported their daily hassles, school adjustment, self-control, and sense of humor on questionnair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children who experienced less daily hassles, had higher self-control, and higher sense of humor were well-adjusted in their schools. Children's self-control and sense of humor moderated negative effects of daily hassles on school adjustment of children, although the moderate effect was weak.

  • PDF

아동의 심리사회적 부적응 상관요인에 관한 메타분석 -생태체계적 접근- (A meta-analysis on the variables related to children's psychosocial maladjustment -from the eco-systemic perspective-)

  • 김예리;임경수;김현수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56호
    • /
    • pp.165-193
    • /
    • 2016
  • 본 연구는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을 활용하여 아동의 심리사회적 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상관요인을 생태체계적 관점으로 개인, 가족, 학교, 지역사회 수준에서 고찰하였다. 1999년부터 2016년 6월 30일까지 국내에서 수행된 연구 중 선정기준에 따라 총 36편이 선정되었고, 외현화 문제관련 21개변인 65개 데이터, 내재화 문제관련 22개변인 70개의 데이터가 최종 메타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아동의 외현화 문제 관련 아동 개인요인 중 스트레스 대처방식, 가족요인 중에는 가족의사소통, 학교요인 중에서는 학교적응, 지역사회요인 중에서는 사회복지서비스 만족정도가 가장 큰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반면, 내재화 문제와 관련해서는 아동 개인요인 중 아동의 기질, 가족요인 중 부모가족과의 관계, 학교요인 중 또래와의 관계, 지역사회요인 중 사회적 지지가 가장 큰 효과크기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요인군별 평균효과크기를 살펴본 결과 외현화, 내재화 문제 모두 개인 > 가족 > 학교/지역사회 요인군 순으로 평균효과크기가 나열 되었다. 또한 요인군별 이질성에 대해 조절효과 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청소년의 집단따돌림 피해경험과 관련된 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f The Factors Related to Bullying Damage Experience of Adolescent)

  • 문동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685-697
    • /
    • 2020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집단따돌림 피해경험과 관련하여 지난 20여년 간 국내에서 연구된 석 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관련요인들의 효과크기를 메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발요인의 전체효과크기는 중간효과크기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발요인군의 개인심리요인군과 학교생활요인군 역시 중간효과크기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발요인군 중 개인심리요인군의 하부요인인 공격성, 불안, 스트레스, 우울, 자살생각은 중간효과크기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생활요인군인 학업스트레스 역시 중간효과크기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억제요인 전체효과크기와 억제요인군의 가정환경요인군, 개인심리요인군, 학교생활 요인군은 중간효과크기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억제요인군인 중 가정환경요인군의 하부요인인 긍정적부모양육태도와 부모지지는 중간효과크기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심리요인군의 하부요인인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 학교생활요인군의 하부요인인 친구지지와 학교생활적응은 역시 중간효과크기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지난 20년간의 선행된 연구들을 통합적으로 정리하여 객관적 결과를 살피기 위한 수량적 통합을 시도했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청소년의 집단따돌림 피해를 예방하고 낮추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정책수립에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환경요인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of Adolescents in Korean Schools)

  • 유안나;김순규;이주재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221-228
    • /
    • 2018
  • 본 연구는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을 살펴보고,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가정환경요인, 학교환경요인, 지역사회환경요인이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을 높일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아동청소년패널의 자료 중 중학교 1학년(2010년)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총 2,278명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방법은 SPSS 18.0을 통한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학교환경요인인 학교생활적응과 지역사회환경요인인 지역사회인식, 공동체의식이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을 높이기 위해 학교환경과 지역사회환경의 역할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학교환경에서는 다양한 교육과 프로그램이 마련되어야 하며, 지역사회환경에서는 지역사회의 역할과 공동체 의식을 강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지방 사립대학교 재학생의 학습몰입과 학업중단과의 관계: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 (A Relationship of Learning flow and Dropout in Local University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College Adaption)

  • 명성민;이홍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21-28
    • /
    • 2015
  • 본 연구는 지방대학교에서 학습몰입과 학업중단과의 관계에서 대학생활적응의 매개효과를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충북소재 대학생 281명을 대상으로 확증적 요인분석, Baron and Kenny 의 3단계 위계적 회귀분석 및 Sobel 검정을 적용하여 학습몰입과 학업중단에 있어 대학생활적응의 매개적 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학습몰입이 높을수록 학업중단이 낮게 나타나며, 대학생활적응의 하위요인들 중 학업적응, 사회적 적응은 학습몰입과 학업중단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하며, 대학환경적응은 완전매개 하였으며, 개인-정서적응은 매개효과가 존재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학습몰입을 높이고 매개변인인 대학생활적응을 증가시켜 학업중단을 낮추기 위한 학교의 지원과 환경이 필요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