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meta-analysis on the variables related to children's psychosocial maladjustment -from the eco-systemic perspective-

아동의 심리사회적 부적응 상관요인에 관한 메타분석 -생태체계적 접근-

  • Kim, Yei-lee (Dept. of Social Welfare, Dongguk University-Gyeongju) ;
  • Lim, Kyeong-soo (Dept. of Social Welfare, Dongguk University-Gyeongju) ;
  • Kim, HyunSoo (Dept. of Social Welfare, Dongguk University-Gyeongju)
  • 김예리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 임경수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 김현수 (동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Received : 2016.09.30
  • Accepted : 2016.12.22
  • Published : 2016.12.30

Abstract

In this study,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were performed in order to identify the variables related to children's psychosocial maladjustment at the individual, family, school, and community levels from the eco-systemic perspective. A total of 36 research studies published in Korea from 1999 to 2016 were selected: 21 variables and 65 data regarding externalizing problems, and 22 variables and 70 data regarding internalizing problems were used in the final meta-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biggest effect size concerning externalizing problems was as follows: stress coping, among child individual factors; family communication, among family factors; adoption to school, among school factors; and satisfaction for community welfare services, among community factors,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biggest effect size concerning internalizing problems was as follows: child temperament, among children individual factors; family relationships, among family factors; peer relationships, among school factors; and social support, among community factors, respectively. According to each system, the mean effect size was enumerated as individual > family > school/community in both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problems. We also presented the results of moderating effects regarding differences according to eco-systemic factors.

본 연구는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을 활용하여 아동의 심리사회적 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상관요인을 생태체계적 관점으로 개인, 가족, 학교, 지역사회 수준에서 고찰하였다. 1999년부터 2016년 6월 30일까지 국내에서 수행된 연구 중 선정기준에 따라 총 36편이 선정되었고, 외현화 문제관련 21개변인 65개 데이터, 내재화 문제관련 22개변인 70개의 데이터가 최종 메타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아동의 외현화 문제 관련 아동 개인요인 중 스트레스 대처방식, 가족요인 중에는 가족의사소통, 학교요인 중에서는 학교적응, 지역사회요인 중에서는 사회복지서비스 만족정도가 가장 큰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반면, 내재화 문제와 관련해서는 아동 개인요인 중 아동의 기질, 가족요인 중 부모가족과의 관계, 학교요인 중 또래와의 관계, 지역사회요인 중 사회적 지지가 가장 큰 효과크기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요인군별 평균효과크기를 살펴본 결과 외현화, 내재화 문제 모두 개인 > 가족 > 학교/지역사회 요인군 순으로 평균효과크기가 나열 되었다. 또한 요인군별 이질성에 대해 조절효과 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