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교생활적응도

검색결과 424건 처리시간 0.022초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청소년의 학교적응 간의 관계 : 희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Adolescent School Adjustment : Hope as a mediator)

  • 오연경;임정하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14
    • /
    • 2017
  • 본 연구는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의 관계에서 희망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서울과 강원지역의 중 고등학생 403명을 대상으로 t검증,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청소년의 희망 수준은 청소년의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학교적응 중 학교교사 요인에서 남학생 집단의 평균이 여학생 집단의 평균보다 높았다. 둘째,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였고 희망을 매개로 하여 학교적응에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쳤다. 즉, 청소년들은 부모의 심리적 통제를 높게 지각할수록 희망 수준이 낮았고, 희망 수준이 낮을수록 학교적응력도 낮았다. 이러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청소년의 희망 및 학교적응의 관계는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청소년이 적응적인 학교생활을 할 수 있도록 부모의 심리적 통제를 감소시키고 청소년의 희망을 증진시키는 다양한 개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Effect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Bicultural Acceptance Attitude on Academic Adaptation : The Longitudinal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 Park, Hwiese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12호
    • /
    • pp.265-271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청소년의 학업적응 변화양상을 확인하고 이중문화수용태도, 자아존중감이 학업적응 변화에 미치는 영향의 종단변화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문화청소년 패널 조사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분석결과, 이중문화수용태도, 학업적응, 자아존중감은 각각의 선형변화모형을 통해 3년간 감소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다변량잠재성장모형을 통한 이중문화수용태도와 학업적응 간 자아존중감의 종단적 매개효과를 분석해 본 결과, 다문화청소년의 이중문화수용태도와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이 매개변수로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다문화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도를 높이기 위해 이중문화수용태도와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초등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 가족건강성, 자아존중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중재효과 (The Effects of the Rearing Attitudes of Mothers, Family Strength, and Self-Esteem on the School Life Adjustment Perceived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Este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aring Attitudes of Mothers and Their Children's School Life Adjustment)

  • 이복희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2권4호
    • /
    • pp.57-74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hich variable has the biggest effect on the school life adjust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mong family strength, self-esteem, and the mother's rearing attitude. Second, the study observes how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steem has a moderating effect regarding the rearing attitudes of their mothers and their school life adjustment. Five hundred forty-five fifth and sixth graders from an elementary school in Cheonan, are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The key research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rearing attitudes of the mothers, family strength, and self-esteem, the variable that showed the greatest relationship with positive school life adjustment was family strength followed by self-esteem. Second, The self-esteem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wed a 1% moderating significant effect between the rearing attitudes of the mothers and school life adjustment. In the high self-esteem group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steem showed a higher level of school life adjustment when the students perceived that their mother had an affectionate rearing attitude, but showed a lower level of school life adjustment if they perceived their mother's rearing attitude as rejective or overprotectiv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a focus on increasing self-esteem and family strength along with the affectionate rearing attitude of mothers is needed for the positive adjust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치위생과 학생들의 인성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융합된 영향 (-대인관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Convergenced Influence of character on adjustment to college life in dental hygiene students: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interpersonal relation)

  • 천혜원;유미선;전미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49-57
    • /
    • 2018
  • 본 연구는 2018년 7월 23일부터 8월 20일 사이 G, J 지역의 220명의 치위생(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성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대인관계와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대인관계를 매개로 하여 회귀분석을 하였다. 인성의 평균은 3.50이었다. 인성의 하위영역 중 인지영역은 3.55, 정의적 영역은 3.60, 행동적 영역은 3.38이었다. 인성은 대인관계와 정적상관(r=.74, p<0.01)을 나타냈고, 학교생활 적응과도 정적상관(r=.63, p<0.01)의 관계였다. 인성의 하위변인인 인지적 영역(r=.854, p<0.01)과 정의적 영역(r=.815, p<0.01), 그리고 행동적 영역(r=.744, p<0.01)과도 정적상관을 보였다. 대인관계는 두 변수사이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대인관계는 인성과 학교생활 적응에 중요한 매개역할을 하였다. 따라서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대인관계를 강화시키는 방안을 개발하며 인성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융합적 부모양육태도가 중학생의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Parenting Attitudes on School Adjustment in Middle School Students)

  • 오미섭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197-203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양육태도 중 부모 감독, 부모 애정, 비일관성이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여 청소년의 학교적응을 돕는데 활용하고자 한다. 자료 분석을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2010)에서 실시한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 중1 패널 1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기술통계, t-검정과 ANOVA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부모의 양육태도는 중학생의 학교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로 확인되었다. 즉, 부모의 감독수준과, 애정 수준이 높을수록 중학생의 학교적응 수준은 높아지고, 그와는 대조적으로 부모의 비일관성 수준이 높을수록 중학생의 학교적응 수준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중학생의 학교생활적응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 부모의 긍정적인 양육태도를 활성화하고 발전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적응프로그램 제언을 위한 대학신입생 학교적응 관련 문헌분석 (A Review Study on Adjustment of College Freshmen for Suggesting Adaptation Program)

  • 유경희;김종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580-591
    • /
    • 2016
  • 본 문헌분석 연구는 국내에서 최근 11년간 발표된 대학신입생의 학교적응 관련 문헌을 분석한 연구로, 대학신입생의 학교적응 요인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학교적응 방안과 대학 교육 프로그램 개선의 방향을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문헌분석은 3개의 데이터베이스 국회도서관 자료실,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한국학술정보(KISS)를 통하여 문헌 탐색기준에 의해 선택하였으며, 최종 24개의 연구가 선택되었다. 이 중 20편은 상관관계연구, 4편은 실험연구이었다. 대학신입생 학교적응 연구는 2009년부터 매년 1편씩 연구되다가 2012년부터 매년 5-6편으로 증가되어 대학 신입생의 적응에 대해 관심이 증가함을 볼 수 있다. 이 24개 문헌들에서 이용한 학교적응 조사도구는 Baker와 Siryk(1984)가 만든 도구를 23편에서 이용되었다. 분석된 상관관계 연구에서의 대학신입생 학교적응 평균은 3.25점으로 나타났다. 대학신입생의 학교적응과 관련된 변수는 20개 정도로 조사되었으며, 그 중 자기존중감, 자기효능감, 스트레스는 학교적응에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신입생의 학교적응과 관련된 일반적 특성 중 외향적 성격, 가족과 사는 경우, 나이가 많은 경우, 학과에 만족한 경우, 학교생활에 만족한 경우 학교적응이 높게 나타났다. 이에 대학에서는 신입생 적응 프로그램을 계획할 때 자기효능감 증진방안, 스트레스 관리, 대학신입생을 위한 멘토-멘티 프로그램, 신입생 적응 프로그램 등을 학교와 학과에 맞게 지속적으로 진행할 것을 제언한다.

대학생의 외모만족도와 대학생활적응능력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ppearance Satisfaction and University Adaptability on the Self-Esteem among University Students)

  • 이정환;오준혁;김혜경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362-370
    • /
    • 2019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외모만족도와 대학생활적응능력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대학생 스스로 지각하는 외모에 대한 만족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자기인식에 관련한 상담 및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자료로 활용되어 대학생의 원만한 학교생활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의 대상자는 충청지역 대학생 228명으로, 본 연구를 위한 자료의 수집은 2018년 9월5일부터 9월 20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3.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다. 연구결과,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은 외모만족도, 대학생활 적응, 외모에 대한 자가 평가 및 외모로 인해 이득을 봤던 경험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외모에 대한 자가 평가가 매우 만족일 때 가장 영향력이 컸다. 따라서 대학생의 자아 존중 감을 높이기 위해 외모만족도에 대한 자가 평가를 높이고 긍정적인 자기인식을 고려한 프로그램 개발 및 상담프로그램이 필요하다.

과학영재학교 조기입학 학생들의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chool Adjustment for Early Entrance Students of Science Academy for the Gifted)

  • 노현아;최재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693-704
    • /
    • 2016
  • 본 연구는 과학영재학교 조기입학 학생들이 어떤 조건과 상호작용전략을 사용하여 학교적응을 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조기입학생 6명과 조기입학 준비학생 2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하였다. 반구조화 질문을 이용하여 개별심층면담을 실시하여, 과학영재학교에 진학하였을 때 어떠한 걱정과 우려를 가지고 진학하였는지 그리고 학교생활을 하면서 어떻게 적응해 가는지 그 과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근거이론 방법을 이용하여, 개방 코딩, 축 코딩, 선택 코딩 과정을 통해 패러다임 모형을 구성하고 핵심범주를 추출하였다. 개방 코딩을 통해 75개의 개념과 21개의 하위범주, 10개의 범주를 추출하였고, 축 코딩 과정에서는 개방 코딩을 통해 추출한 10개의 범주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패러다임 모형을 구성하였으며, 선택 코딩과정에서는 '학업적 사회적 정서적 적응 전략을 이용한 학교적응'이라는 핵심범주를 찾아냈다. 이를 통해 과학영재학교에 조기입학하는 학생들의 적응과정에 대해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였다.

지속적 한부모가족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 변화궤적과 관련 요인 (School adjustment trajectory of adolescents from continued single parent family and its associated factors)

  • 김상하;진미정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75-95
    • /
    • 2018
  •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a school adjustment trajectory of adolescents from continued single parent families and its associated factors by comparing it to that of adolescents of two-parent families. Methods: We selected 4th grade students from Korean Youth & Youth Panel Survey (KCYPS). Using a multi-level growth modeling, we followed the trajectory of school adjustment until 9th grade and the effects of family income, parenting styles, and academic motivations of adolescents on the intercepts and the slopes. Results: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were decreased from 4th grade to 7th grade and then increased from 7th to 9th grade. The adolescents of continued single parent families showed a lower school adjustment than those of two parent families and this trend remained constant during the period. The effects of family income, parenting style, and academic motivation were confirmed to explain the gap between the adolescents of single parent and two parent families. Conclusions: The results imply that an earlier intervention is necessary to reduce the gap. We need to offer income support and decent quality of work for single parent family to reduce the economic hardship and also provide parental education that is designed to enhance academic expectations and motivations.

천안 지역 초등학생의 인터넷 중독 실태 분석 (Internet Addiction Status and Anysis of Elementary Students in CheonAn City)

  • 황미애;권오성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11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179-185
    • /
    • 2011
  • 최근 인터넷 사용이 늘면서 중독 등의 심각한 부작용이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초등학생도 예외가 아니어서 학업에 지장을 주는 경우가 급증하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인터넷 중독 실태를 분석하고 학생의 학교 생활 적응 정도와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충청남도 천안지역의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진행되었으며 45.4 % 이상의 학생이 인터넷 사용으로 학습에 지장을 받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48.3 % 학생은 인터넷 사용시간을 줄여야 한다고 생각하는 등 중독 증세를 보이는 경우도 적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