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교생활기록부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6초

고등학교 성적통지표와 학교생활기록부 양식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the Report Format of Students' Achievement for Activating Performance Assessment into the Highschool)

  • 정홍명;고상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387-409
    • /
    • 2015
  • 수행평가는 학생의 잠재력을 키우고 과정중심의 평가가 가능하므로 학생성장을 도울 수 있다는 장점으로 확대 실시되고 있지만 이 평가의 내용을 기록하여 상급학교 진학 관련 자료로 쓰일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은 아직 연구된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작성법의 한계를 진단하고 해외 학교들의 성적통지표 양식 분석을 통해 새로운 성적통지표와 학교생활기록부 작성방안을 마련하였다. 새로운 양식의 개발을 위해 교사, 학생, 입학사정관의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특히 입학사정관의 설문은 2차에 걸쳐 진행하였고 국외자료 분석결과를 포함하는 등 여러 번 수정과정을 거쳤다. 설문조사에는 14개교 학생 658명, 교사 230명, 8개 대학 입학사정관 24명, 총 912명이 설문에 참여하였다. 설문 결과 수행평가의 장점에 대한 공유를 확인했으며 수행평가의 확대와 대학입시 반영에 긍정적인 반응을 얻을 수 있었다. 새로운 성적통지표와 학교생활기록부 양식의 제안은 단순한 양식 변경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지필평가에서 수행평가로의 평가의 전환, 대학입시에서 수행평가를 반영하도록 명시함으로써 사교육 감소와 공교육 활성화, 소그룹 활동 활성화로 정의적 영역의 신장 등 새로운 학교문화를 만드는 초석이 될 것이다.

고등학생의 학교생활기록부 독서활동 기록에 대한 인식 및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f Perception and Improvement in Records for Reading Activities in High School Student)

  • 최영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5-21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학교생활기록부 독서활동 기록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분석된 자료를 토대로 학교생활기록부 독서활동 기록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고등학생 12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독서활동상황' 기록에 대한 만족도, 독서활동 기록의 필요성, 독서활동 기록 방법 등에서 부정적인 반응이 나타났다. 고등학생들의 독서활동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현재 기록 방법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학생들이 독서를 통해 성장한 내용을 도서명으로는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성장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독후활동 기록, 교과교사와의 상호작용 활동 등을 기록하는 방법으로 개선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가 대학의 학생부종합전형에서 독서평가 방법의 변화와 학교 현장의 바람직한 독서문화에 큰 역할을 할 것을 기대한다.

교육행정정보시스템 학교생활기록부 데이터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블록체인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Blockchain for Securing Data of National Education Information System School Life Records)

  • 김희경;박남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27-35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시·도교육청 교육행정정보시스템 학생생활기록부가 중요한 교육활동의 기록이나, 지속적으로 불법유출·조작하는 등의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적 구현방법을 연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정해진 조직 또는 개인만이 참여할 수 있는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적용함으로서 외부자에 의한 블록네트워크 참여를 방지하고, 생활기록부 학생정보 블록과 접근기록 블록 두 종류의 블록 데이터를 생성하여 정당한 권한을 부여받은 실무자에 의해 서만 등록, 수정, 접근할 수 있는 블록 메커니즘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제3자에 의한 생활기록부의 위·변조방지와 생활 기록부의 무결성 확보를 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을 마련하였으며, 실제 교육행정정보시스템에 적용하게 된다면 생활기록부 운영과 관리가 신뢰할 수 있다는 사회적 공감대를 확보하게 될 것이다.

데이터 마이닝 기반 대학입시를 위한 학교생활기록부 분석시스템 (Analysis System of School Life Records Based on Data Mining for College Entrance)

  • 양진우;김동현;임종태;유재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49-58
    • /
    • 2021
  • 대한민국 교육과정과 입시제도는 수많은 변화들을 통해 진화해 왔다. 현재 우리나라 대학진학률이 약 70%에 육박하고 있고, OECD회원국 중 가장 높다. 이러한 환경 속에 대학진학에 관심이 높고 또한 우리나라 교육제도에서 가장 비율이 높은 수시전형 중 학생부종합전형에 필요한 학교생활기록부의 중요성을 높아져가고 있다.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지만 적극적인 학교생활을 통해 나의 미래와 행복을 동시에 찾을 수 있다. 학교생활기록부 분석시스템을 통해 자신에게 맞는 흥미와 진로를 찾을 수 있고, 가고자하는 대학, 학과에 맞는 요소들을 분석하고 보완하여 성공적인 진학에 한발 더 나아갈 수 있다. 학교생활기록부의 각 항목을 3가지로 분리시켜 필요 단어와 불필요한 단어들을 구분해 분석한다. 분석한 데이터를 시각화&수치화 하여 학교생활에서 보완할 수 있는 분석시스템을 구축한다. 기존 선행연구로 단어빈도와 유사도 분석을 이용한 다중주제 회의록 요약시스템을 응용하여 다른 요소의 문장을 간결하게 요약하고 단어를 추출함으로써 데이터 마이닝을 통한 분석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다.

교무업무시스템의 기록관리 기능 분석 - 학교생활기록부를 중심으로 - (A Functional Analysis of NEIS School Affairs Business System : From the Records Management Perspective)

  • 임미숙
    • 기록학연구
    • /
    • 제18호
    • /
    • pp.91-138
    • /
    • 2008
  • 정보통신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행정에 대한 국민의 참여 욕구와 다양하고 신속한 행정서비스 욕구의 증대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여 교육과학기술부에서는 '전국단위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 : National Education Information System-이하 NEIS)'을 구축하여 국민에 대한 서비스 제공과 교육행정의 생산성과 투명성을 높이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2003년부터 본격적으로 운영하게 된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은 16개 시 도교육청 및 교육과학기술부에 시스템을 구축하고 모든 교육행정기관 및 초 중등학교를 인터넷으로 연결하였다. 그러나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은 개인 정보 유출에 대한 우려와 관련 법규의 미정비에 대한 불법성, 보안 문제 등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NEIS 교무업무시스템은 학교생활기록부를 비롯하여 학생들의 개인 신상정보와 성적 등 준영구 이상의 중요 기록물을 전자적 방식으로 다량 생산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생산된 기록물은 각 시 도교육청 DB에 축적되어져 있는 상태이며 전자기록물로 생산되고는 있으나 이를 장기적으로 활용 보존할 수 있는 정책이 마련되어있지 못한 상태이다. 따라서 NEIS 교무업무시스템을 통하여 전자적으로 생산되는 기록물 중 학교생활기록부의 기록 관리과정을 ISO15489에 따라 비교 분석해 봄으로서 기록물의 4대 속성이 보장될 수 있는 기록물 관리 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입학사정 전형요소 상대적 중요도 결정에 대한 퍼지 계층분석적 접근방법 - ㅈ대학교 사례연구 (The fuzzy AHP approach to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deciding factors for admission screening - J university case study)

  • 최경호;한동욱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1권4호
    • /
    • pp.699-708
    • /
    • 2010
  • 우리나라 대학들은 2009년도부터 입학사정관제도를 통한 학생선발을 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시행초기인 관계로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노출되고 있다. 이에 대한 해결방안의 일환으로, 본 연구에서 는 지방소재 ㅈ대학교의 사례를 통하여 대학입학 관련 주체별로 입학전형요소에 대하여 갖는 가중치 정도가 어떻게 다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각 전형요소의 중요도에 대하여 관련 주체별로 많은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학부모와 고교교사들에게 있어서는 비교적 계량화가 가능한 학교 생활기록부에 대한 중요도가 가장 높았으며, 계량화가 어려운 자기추천서 평가에 대한 중요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하여 전문입학사정관들은 자기추천서에 대해서 가장 높은 중요도를 보인 반면 학교생활기록부에 대해서는 가장 낮은 중요도를 보였다.

학교정보화 촉진을 위한 초ㆍ중등학교종합정보시스템 서버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use of the Schoo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Server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for Promoting Information Infrastructure in School)

  • 이동식;김기문;정예정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2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74-80
    • /
    • 2002
  • As "Nationwide Educational Information System", as one of 11 essential tasks of the electronic government, is to be introduced step by step from March in 2003, the current Schoo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servers in each school cannot be functioned appropriately any more. Management of school cumulative records will be done by the integrated server of the regional Office of Education. Accordingly, more than 20,000 servers of various kinds available in each school should be put into use in one way or another. So this thesis aims to suggest how to reuse these servers in schools, and how to approach modeling of the 21st-century school in the Schoo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 PDF

CORBA를 이용한 학교간 분산데이타베이스 시스템 프로토타입 개발 (Using CORBA, Development of Distributed Database System Prototype for Schools)

  • 최현종;김태영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2 (1)
    • /
    • pp.39-41
    • /
    • 2000
  • 정부의 "교육정보화" 정책으로 인하여 초.중등학교의 컴퓨팅 환경에 많은 변화가 일어나게 되었다. 특히 학생 생활기록부의 전산화는 지금까지 종이에 기록되어 관리되어 왔던 학생들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한다는 측면에서 많은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오고 있다. 하지만, 이 시스템은 독립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이기 때문에 데이터베이스한 학생들의 자료를 학교내에서만 이용할 수 있을뿐, 이웃 학교나 시.도 교육청과는 전혀 공유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환경을 그대로 이용하면서 각 학교에 구축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서로 공유할 수 있는 방법의 하나로 분산객체 시스템을 이용한 분산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하지만 선행 연구를 볼 때 분산 객체 시스템과 분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단일시스템의 개발보다 문제점이 많고 복잡하기 때문에 이 프로토타입에서는 학생에 대한 정보만을 대상으로 개발하고자 한다. 개발하고자 한다.

  • PDF

지도교사의 목소리를 통한 학교 밖 과학 탐구 활동으로서 전국과학전람회의 현주소 (Present State of National Science Contest as a Informal Scientific Education through the Voices of Teachers)

  • 김진욱;이종진;백영경;안유민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96-209
    • /
    • 2023
  • 본 연구는 학교 밖 과학교육 활동 중 하나인 과학전람회의 교육수요자로서 교사의 인식과 요구를 파악하기 위하여 전국과학전람회를 지도한 경험이 있는 교사 11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질문지를 활용하여 그들의 의견을 심층 조사하였다. 총 7문항에 대해 평균 3,600자 이상을 서면 답변하였으며, 이에 대한 질적 분석을 통해 과학전람회 참여로 인한 학생과 교사의 성장, 대회 참여의 어려운 점, 활성화를 위한 교사의 목소리를 알아볼 수 있었다. 교사들은 과학전람회 참여가 개방형 탐구과정을 경험하고 이로 인해 학생의 과학 관련 지식 및 태도의 향상, 이공계 분야 진로 진학으로의 연계가 활발해진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의견을 제시하였다. 다만 대회 참가 학생들은 학교생활기록부에 탐구내용을 기록할 수 없고, 지도교사들은 참신한 주제 발굴에 대한 강박과 탐구과정 지도에서 오는 부담, 전공지식에 대한 전문성 한계를 지적해 과학전람회 참여에 어려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과학전람회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도교사와 학생의 역량 강화를 위한 17개 시·도 교육청 수준의 지원 방안, 국립중앙과학관의 홍보 방법 및 심사 방식 개선, 교육부의 학교생활기록부 기재 요령의 개선을 요구하였고, 이를 통해 학교 현장에서 공감할 수 있는 과학전람회 제도 개선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2008학년도 이후 대학입학제도 개선안에 따른 학교생활기록부 교과성적 기록방식의 비판적 검토 (A Critic Analysis on the Plan to Recor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School Life Document)

  • 김재춘;박소영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8권2호
    • /
    • pp.194-207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ent student assessment plan of subject domain and to propose ways to improve it. This study analyzed the history of our student assessment plan of subject domain and overviewed the student assessment cases of several countries. And then researchers discussed the improvement plans of student assessment of subject domai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need to enlarge the use of detailed subject-ability record space or to assess student's subject-related ability according to subordinate perspectives of subject. Second, we need to establish the desirable evaluation-perspective and to develop absolute evaluation criteria of each subject and unit. Third, we need to diffentiate the scores of differentiated test items or equate the scores of differentiated grou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