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esent State of National Science Contest as a Informal Scientific Education through the Voices of Teachers

지도교사의 목소리를 통한 학교 밖 과학 탐구 활동으로서 전국과학전람회의 현주소

  • Received : 2023.07.22
  • Accepted : 2023.08.28
  • Published : 2023.08.30

Abstract

This study recruited 11 teachers with experience in guiding science exhibitions nationwide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necessity of teachers as educational consumers of science exhibitions, one of the out-of-school science education activities, and conducted an in-depth written survey. An average of more than 3,600 characters answered a total of seven questions in writing, and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the growth of students and teachers due to participation in science exhibitions, difficulties in participating in competitions, and teachers' voices for revitalization were recognized. Teachers offered positive opinions in that participation in science exhibitions improves students' knowledge and attitudes related to science and experiences an open inquiry process linked to career advancement in science and engineering. However,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competition failed to record the contents of the inquiry in their school records, and instructors pointed out the obsession with discovering novel topics, the burden of guiding the inquiry process, and the limitations of their expertise in major knowledge. In order to revitalize science exhibitions, 17 city and provincial education offices called for measures to strengthen the capabilities of instructors and students, improve the promotion and screening methods of the National Science Museum, and improve the Ministry of Education's school records.

본 연구는 학교 밖 과학교육 활동 중 하나인 과학전람회의 교육수요자로서 교사의 인식과 요구를 파악하기 위하여 전국과학전람회를 지도한 경험이 있는 교사 11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질문지를 활용하여 그들의 의견을 심층 조사하였다. 총 7문항에 대해 평균 3,600자 이상을 서면 답변하였으며, 이에 대한 질적 분석을 통해 과학전람회 참여로 인한 학생과 교사의 성장, 대회 참여의 어려운 점, 활성화를 위한 교사의 목소리를 알아볼 수 있었다. 교사들은 과학전람회 참여가 개방형 탐구과정을 경험하고 이로 인해 학생의 과학 관련 지식 및 태도의 향상, 이공계 분야 진로 진학으로의 연계가 활발해진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의견을 제시하였다. 다만 대회 참가 학생들은 학교생활기록부에 탐구내용을 기록할 수 없고, 지도교사들은 참신한 주제 발굴에 대한 강박과 탐구과정 지도에서 오는 부담, 전공지식에 대한 전문성 한계를 지적해 과학전람회 참여에 어려움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과학전람회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도교사와 학생의 역량 강화를 위한 17개 시·도 교육청 수준의 지원 방안, 국립중앙과학관의 홍보 방법 및 심사 방식 개선, 교육부의 학교생활기록부 기재 요령의 개선을 요구하였고, 이를 통해 학교 현장에서 공감할 수 있는 과학전람회 제도 개선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2015). 과학과 교육과정, 제 2015-74호 별책9.
  2. 교육부(2022). 과학과 교육과정, 제 2022-33호 별책9.
  3. 교육부(2023). 2023학년도 학교생활기록부 기재요령.
  4. 국립중앙과학관(2022). 2021년 국립중앙과학관 연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발간등록번호 11-1721115-000035-10 통권 제35호.
  5. 김현정, 김성기(2023). 과학 체험 프로그램 운영이 예비 교사의 과학문화소양 및 핵심역량 성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3(1), 29-36.
  6. 김효준, 송진웅(2012). 개방형 과학 탐구를 위한 효과적인 지도 전략의 탐색-과학고등학교의 KYPT문제 해결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10), 1489-1501.
  7. 박승재, 강호감, 김희준, 송진웅, 유준희, 윤혜경, 장경애, 정병훈, 한인옥(2000). 청소년 학교 밖 과학 활동 진흥방안 연구. 과학기술부 정책연구 보고서(2000-75).
  8. 송영명, 정미선(2012). 수학 과학 영재의 인식론적 신념과 창의적 사고와의 관계. 영재교육연구, 22(4), 805-821.
  9. 송진웅(2006). 슈왑의 생애와 과학교육 사상.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7), 856-869.
  10. 송진웅, 강석진, 곽영순, 김동건, 김수환, 나지연, 도종훈, 민병곤, 박성춘, 배성문, 손연아, 손정우, 오필석, 이준기, 이현정, 정대홍, 정종훈, 김진희, 정용재 (2019). 미래세대를 위한 '과학교육표준'의 주요 내용과 특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9(3), 465-478.
  11. 신영준, 강훈식, 곽영순, 김희경, 이수영, 이성희(2017). 과학관련 정의적 영역 검사도구에 대한 조사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45(1), 41-54.
  12. 안광호, 박일우(2009). 과학 대회 참여가 초등학생들의 인식, 과학 관련 태도 및 과학 탐구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28(3), 304-312.
  13. 윤혜경(2004). 학교 과학교육을 위한 '학교 밖' 과학교육의 한 가지 개선 방안: 과학 탐구 경연과 과학탐구 인증제. 춘천교육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과학교육연구, (27), 55-79.
  14. 이남희, 임희준(2016). 과학경연대회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인식.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35(1), 89-97.
  15. 이동승, 박종석(2017). 과학탐구 수업실행 전문성 요소에 의한 '과학탐구' 관련 연구동향 분석. 대한화학회지, 61(4), 197-203.
  16. 이봉우(2016). 좋은 과학수업에 대한 중등 과학교사의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6(1), 103-112.
  17. 이세연, 이봉우(2018). 고등학교 물리 교사들이 교과서 탐구 지도에서 겪는 어려움.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8(4), 519-526.
  18. 이양락(2008). PISA 2006 과학 성취도 평가 결과. 한국과학교육학회 학술발표 및 세미나집.
  19. 이원철, 심규철(2018). 고등학교 학생 중심 탐구활동의 특성 분석-전국과학전람회 생명과학 분야 입상작을 중심으로. 생물교육(구 생물교육학회지), 46(3), 380-389.
  20. 임효진, 장진아, 송진웅(2018). 고등학생들의 과학적 역량에 있어서 과학수업 활동과 학습동기의 역할.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8(3), 407-417.
  21. 장원형, 이경건, 민소원, 홍훈기(2019). 전국과학전람회 출품작 분석을 통한 과학과 교육과정과 학생 과학탐구활동 간의 연계성 고찰. 현장과학교육, 13(2), 103-112.
  22. 정득실, 김찬종, 이선경, 오필석, 맹승호, 정애란(2007). 구성주의적 수업을 위한 워크숍에 참여한 중등 과학 교사의 교수 지향과 수업 실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5), 432-446.
  23. 정수임, 신동희(2019). 과학 관련 정의적 영역 검사 도구 활용 및 개선 내용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9(2), 263-277.
  24. 정형수, 양정호(2020). 과학경진대회 참가 학생 학부모의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지, 20(2), 713-737.
  25. 조규성, 정덕호, 정동권, 강천지(2023). 언어네트워크를 이용한 과학전람회 지구과학 부문 탐구주제 분석: 최근 21년(2000-2020년)을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44(1), 62-78.
  26. 조진숙, 탁진국(2018). 긍정심리기반 의사소통향상 코칭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의사소통능력과 자기존중, 배려 소통, 자기조절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코칭, 2(2), 45-62.
  27. 채동현, 양일호, 정성안(2011). 초등학교 5, 6학년 과학교과서 집필자가 겪은 어려움과 대처 방법: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8), 1121-1144.
  28. 최재혁, 서정희(2007). 과학 영재의 국제경진대회 활동에서 창의성의 사회적 측면 분석-국제 청소년 물리 토너먼트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25(5), 582-590.
  29. 한국교육개발원(2016). 미래지향적 교육생태계 조성을 위한 교육체제 재구조화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RR 2016-01.
  30. 허홍욱, 손우옥, 허만규(2003). 과학전람회 작품 중 중학교 과학분야의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2), 117-130.
  31. Grinnell, F., Dalley, S., & Reisch, J. (2020). High school science fair: Positive and negative outcomes. PLOS ONE, 15(2), e0229237.
  32. Henriksson, A. C. (2018). Prim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out of school learning within science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n Math,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6(2), 9-26. https://doi.org/10.31129/LUMAT.6.2.313
  33. Juliet M. Corbin R.N., D.N.Sc., & Strauss, A. (1990). Grounded theory research: Procedures, canons, and evaluative criteria. Qualitative Sociology, 13, 3-21.
  34. NGSS Lead States. (2013).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For states, by states.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Washington D.C.
  35. Schwab, J. J. (1958). The teaching of science as inquiry. Bulletin of the Atomic Scientists, 14(9), 374-379. https://doi.org/10.1080/00963402.1958.11453895
  36. Strauss, A., & Corbin, J. M. (1990).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Sage Publications, I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