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교도서관 통합교육과정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19초

교과 연계를 위한 독서 전략의 내용 체계와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ystem of Reading Strategy Contents for a Subject Linkage and it's Application to the Content Subject)

  • 소병문;송기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281-303
    • /
    • 2020
  •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 중심의 독서 전략 범주를 밝혀 독서 전략의 내용 체계를 구안하고, 교과 연계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분석 및 독서 전략 관련 선행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독서 전략의 내용 체계 범주를 텍스트 영역과 인지 전략으로 설정하였다. 여기에 관련 선행 연구의 활동지를 참고해 재구조화한 4개 유형의 독해 기법을 더하여 최종적으로 독서 전략의 내용 체계를 구안하였다. 본 연구의 교과 연계는 교과 교과서를 대상으로 이뤄지며, 학습활동은 탐구 과제 분석의 방법을 통하여 독서전략 적용 방안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고등학교 『통합사회』와 『통합과학』의 학습활동을 대상으로 그래픽 조직자를 활용한 독해 전략을 적용해 그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독서 전략의 내용 체계를 활용한 교과 연계 방안은 교과 학습활동에 다양한 읽을 자료 제공을 통해 교과 수업을 심화하고, 독립된 독서 프로그램으로 확장해 학습내용을 익힐 수 있는 활동을 제안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독서교육의 발전 방향 모색 - 교과서 수록 읽기자료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Reading Education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 최영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429-448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으로 개발된 고등학교 교과서의 읽기자료 특성을 조사하여 향후 독서교육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어, 수학, 영어, 통합과학, 통합사회 주요 교과를 대상으로 고등학교 교과서의 읽기자료를 분석하였고, 읽기자료의 분석 기준은 주제 유형, 목적, 학생 활동이었다. 연구 결과, 고등학교 통합사회와 통합과학 교과서에는 인간, 자유, 문화, 환경, 지구 등 다양한 주제의 읽기자료가 각 단원의 개념과 연관되어 제시되고 있었다. 특히 국어교과는 한단원에만 '한 학기에 한권의 책 읽기'라는 단원이 신설되어 있었다. 그러나 대부분 읽기자료가 효과적인 독서 전략이나 독서 방향에 대한 안내가 없으며, 읽기자료의 양이 부족하고 확장적 독서를 위한 자료나 정보가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교과서의 읽기자료가 각 단원의 학습 내용을 단순하게 보충하거나 개념 이해를 위한 단편적인 단서로만 제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교과의 읽기자료 제시가 나열식으로 단순하게 전개되어 있으며, 읽기자료가 학생들의 독서 흥미, 독서의 내면화 그리고 독서 확장을 위한 도구로는 미흡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은 고등학교 교과서의 확장을 위한 읽기자료의 보조 자료를 제안하고, 교과서 구성 측면과 수업 방법 측면에 대한 제안을 통해 교과서와 독서교육의 발전적 관계를 모색해보았다.

도서관 활용수업에서 사서교사와 교과교사의 협동수업 향상을 위한 교수설계 전략에 대한 연구 (A Study of an Instructional Design Strategy for Improving the Collaborative Teaching Between School Librarians and Subject Teachers in Library-Assisted Instruction)

  • 송기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11-127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 활용수업에서 사서교사와 교과교사의 협동수업을 향상하기 위한 교수설계전략을 개발하는 것이다. 협동수업은 학교 공동체에서 사서교사의 교수자로서의 역할을 강화할 수 있는 중요한 경영 활동이다. 그러나 협동수업의 실천 전략인 도서관 활용수업은 협력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자료 선정을 제외하고는 교과교사가 교수-학습활동을 주도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서관 활용수업은 자원기반학습이기 때문에 정보활용교육의 방법적 지식과 교과의 학습주제가 통합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그리고 수업 준비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시행착오를 줄이고 성공을 확산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도서관 활용수업용 협동수업 설계 전략을 '협동수업 상황기술-공동설계-공동수업-공동평가'와 같이 설정하였다

범교과 학습주제를 적용한 진로독서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areer Reading Program Applying Cross-curricular Learning Themes)

  • 송지애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67-293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교과 교육과정과 연계할 수 있는 범교과 학습주제의 성취기준을 분석하고, 학교도서관에 활용할 수 있는 진로독서와 관련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해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범교과 학습주제를 10개 주제로 범주화하고, 진로교육의 세부 내용요소를 통합적으로 다룰 수 있는 범교과 학습 활동을 통해 독서교육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수업모형을 설계하였다. 둘째, 중학생 5개 반 137명을 대상으로 한 학기 동안 범교과 기반의 진로독서 수업모형을 통해 자기이해, 진로탐색, 진로설계 영역의 진로독서 수업을 실행하였다. 셋째, 연구의 분석을 위해 진로독서 평가 자료를 구축하여 분석하였으며 일화기록과 체크리스트의 다각적인 관찰과 실행연구를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진로독서 스토리텔링과 흥미유형의 진로 멘토 중심 도서목록 자료를 제시하고, 학교 현장에서의 진로독서 교육 활동을 제안하였다.

KORMARC 통합서지용 개정을 위한 기초연구 (A Preliminary Study for Revision of KORMARC Bibliographic Format)

  • 노지현;이미화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149-170
    • /
    • 2022
  • 이 연구는 「KORMARC 통합서지용」 (2014)에 대한 개정(안)의 도출을 위한 기초연구이다. 연구의 주요 내용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15-2021년에 국립중앙도서관에 접수된 「KORMARC 통합서지용」의 문제점과 개정에 대한 실무진의 의견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둘째, KORMARC 적용과 관련된 기관별 업무지침을 분석하여 KORMARC 개정에 반영할 사항을 도출하였다. 셋째, MARC21의 Update No. 32(June 2021)와 「KORMARC 통합서지용」을 비교하여 KORMARC 개정에 반영할 사항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그동안 선행연구에서 제기해 왔거나 별도 논의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쟁점을 조사하였다. 분석결과에근거하여, 이 연구에서는 KORMARC 필드·식별기호·지시기호의 추가와 삭제, 적용지침과 예시의 보완, 부록 및 부속서(부호표)의 개정을 포함하는 개정 초안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전문가 의견 수렴과 국립중앙도서관 국가서지과 실무진의 검토, 공청회를 통한 도서관계의 폭넓은 의견 수렴 과정을 거쳐 최종 개정(안)을 마련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