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학교도서관업무지원시스템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3초

부산광역시교육청 디지털자료실지원센터의 구축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Implementation of a Digital Library Supporting Center in Busan Metropolitan Department of Education)

  • 함명식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31-48
    • /
    • 2002
  • 학교도서관의 협력망은 시·도교육청을 중심으로 구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지털자료실지원센터는 학교도서관의 업무를 지원하기 위해 시·도교육청에 설치되는 종합정보시스템이다. 부산광역시교육청은 교육인적자원부와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디지털자료실 설치 및 디지털자료실지원센터 구축 사업의 지원을 받아, 학교도서관을 지원하기 위한 디지털자료실지원센터를 16개 시·도교육청 중에서 최초로 설치하였다. 본고는 먼저 디지털자료실지원센터를 구축하는데 적용된 정보시스템의 기반 기술과 외국의 정보시스템 사례를 살펴보고, 부산광역시교육청의 정보시스템을 소개하고 있다.

학교도서관 DLS의 목록입력 규칙 개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mendment of DLS Cataloging Rule)

  • 노진영;변우열;이미화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5-23
    • /
    • 2014
  • 학교도서관에서 학교도서관업무지원시스템인 Digital Library System(DLS)의 목록입력 규칙을 이용해 서지레코드를 구축해왔다. 그러나, DLS 목록입력 규칙은 규칙 자체가 상세하지 않고, 규칙 상호 간에 모순이 있고, KCR4에 일치되지 않기 때문에, 서지레코드 구축시 표준화된 지침으로 사용될 수 없다. 이에 본고에서는 학교도서관에서 생산하는 서지레코드의 품질을 향상시키고, 표준화된 서지레코드 구축을 위해, DLS 목록입력 규칙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DLS 목록입력 지침의 문제점을 조사하기 위해 DLS 목록입력 규칙을 KCR4와 비교 분석하고, 3년 이상 경력의 학교도서관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서면 및 전화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DLS 목록입력 규칙에서 사용한 용어가 KCR4와 일치하도록 수정이 필요하고, 기술영역별로 목록규칙의 개정이 요구되었다.

학교도서관업무지원시스템(DLS)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Digital Library System for School Library)

  • 변우열;이미화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31-5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2001년 개발을 시작으로 학교도서관의 자료 관리를 해결하고, 자료의 공동 활용을 위한 데이터 구축을 지원해 온 DLS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조사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 DLS 전문위원 9명을 대상으로 자료선정, 자료등록, 대출반납, 장서점검, 통계, 이용자검색의 6가지 영역에서 DLS의 사용현황과 문제점을 조사하고 이를 해결할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자료선정 측면에서는 수서시스템 도입 및 온라인 희망도서 구입신청 기능 추가가 필요하다. 자료등록 측면에서는 데이터 품질 관리 향상과 검색기능 향상을 위한 색인어의 체계적 입력 및 어휘통제가 필요하다. 대출반납 측면에서는 대출속도 향상이, 장서점검 측면에서는 폐기자료의 복원 기능이, 통계 측면에서는 정확한 통계자료 생성이 필요하다. 이용자검색에서는 검색속도 향상 및 이용자 인터페이스 기능 향상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앞으로 DLS 시스템 개선에 많은 기여를 할 것이며 이에 따라 DLS 이용도 향상될 것이다.

학교도서관 DLS 목록의 자료 접근성에 대한 논의 - 문학 분야 장서를 중심으로 - (Discussions on the Accessibility of School Library DLS Catalogue Records - Focused on Literary Collections -)

  • 강봉숙;정영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539-559
    • /
    • 2019
  • 도서관의 기본적인 서비스 중 하나는 이용자에게 자료에 대한 효율적이고 쉬운 검색을 제공하는 것이다. 국내·외적으로 관종별, 이용자별, 장서별 자료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다양한 논의들이 있었고, 그 중심에 분류와 목록 시스템의 개선에 관한 이슈가 존재한다. 하지만 국내 학교도서관 자료 접근의 중심도구가 되는 DLS 목록의 자료 접근성을 다루는 이 분야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 현장에서 제기되어온 이용자들의 도서 검색, 특히 문학 분야 도서 검색과 접근에 대한 어려움에서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어려움의 원인을 다양한 측면에서 고찰해 보고자한 탐색적 연구이다. 이를 위해 학교도서관 장서 현황, 학교도서관 지원시스템 DLS의 자료 등록과 이를 통해 생산된 목록레코드의 주제 접근가능성, 학교도서관 사서교사 및 사서의 의견을 조사·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도서관 장서는 문학 분야에 상당히 집중되어 있었고, 이들 장서 검색에 효율적인 접근을 제공할 수 있는 목록레코드 작성은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를 보완할 수 있는 DLS 검색 기능 역시 다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도서관 사서교사 및 사서들의 설문조사에서도 이런 문제점은 인식되었고 학교도서관 목록의 자료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풍부한 주제 색인과 검색키워드 부여가 다수의 의견으로 도출되었다. 이 주제에 대한 계속적인 논의로서 학교도서관 자료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방안은 향후 이용자 연구나, 서가 분류에 대한 새로운 도전 등을 통해 더욱 구체화 될 수 있을 것이다.

DLS의 서지적 기술항목 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Bibliographic Items of DLS)

  • 김예지;이승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225-246
    • /
    • 2020
  • 본 연구는 현행 DLS의 서지적 기술요소가 지니고 있는 한계 및 학교도서관 장서 이용에 있어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교도서관 장서가 지니고 있는 서지적, 교육적 특성을 반영한 서지적 기술항목을 제안하였다. 현재 DLS에서 자료 유형별로 구분하여 입력하는 구조를 일원화하고, 일반모드와 전문가모드로 분리되어 있는 서지 입력 방식을 통합하여 ISBD 서지영역을 기준으로 학교도서관 장서의 기술항목을 재구성하였다. 또한 학교도서관 장서의 서지적 측면과 교육적 측면의 기술을 위해 총 10개 상위 기술항목 및 34개 하위 기술항목을 계층적 구조를 통해 구성하였다. 이는 현재 DLS가 지니고 있는 서지적 기술의 한계를 보완하고 학교도서관이 지니고 있는 고유한 서지적, 교육적 특성을 반영하여, 학교도서관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서지적 환경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024 DLS 목록입력규칙을 위한 지침 개발 시 고려사항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iderations for Developing the Guidelines for 2024 DLS Cataloging Rules)

  • 김예지;김지은;이미화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5-26
    • /
    • 2024
  • 학교도서관업무지원시스템이 2024년 독서로 DLS로 새로 개발되었으나 DLS를 위한 목록규칙은 초창기 개발된 이후 크게 변경되지 않았으며, 현재 개발된 지침도 2020년에 작성된 것으로 새로운 개정이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DLS의 목록입력규칙 적용을 위한 지침 개발 시 고려사항을 KCR4에 준하여 제안하고자 기존 DLS(Ver. 2.0) 목록입력규칙 및 2024 DLS 목록입력규칙, 2020년 서지등록가이드(Ver. 2.2)를 상호비교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데이터요소 변경 및 확대, 내용규칙의 수정, 접근점 기록 방안, 통제어휘집 개발의 측면에서 고려사항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앞으로 DLS 목록입력규칙의 개정, 지침의 개발, 시스템 개선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초등학교 교사의 그림책 접근점 요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Needs for Access Points for Picture Books)

  • 김혜미;김수정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33-258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수매체로써 그림책을 탐색하고자 하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접근점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고 학교도서관 DLS(Digital Library System)의 접근점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국내외 7개 도서관 온라인목록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접근점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220개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그림책의 접근점은 주제, 학년/연령, 내용, 교과/단원, 범교과학습주제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필요성이 높게 나타난 접근점을 DLS의 목록레코드에서 제공하고, 통제어휘집을 개발하고, 시스템의 기능이나 인터페이스를 개선하여 그림책에 대한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고등학생의 DLS 검색행태 분석을 통한 학교도서관 자료 접근성 향상 방안 고찰 (A Study on Improving of Access to School Library Collection through High School Students' DLS Search Behavior Analysis)

  • 정영미;강봉숙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355-379
    • /
    • 2020
  • 학교도서관업무지원시스템(DLS)은 학교도서관 자료에 대한 핵심적 접근 도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DLS에서의 학생들의 정보검색행태 분석을 통해 학교도서관 자료 접근성 향상 방안을 탐색적으로 고찰하는 데 있다. 이에 학교도서관에서 DLS 검색을 시도하는 학생 42명을 대상으로 DLS 검색과정을 녹화하고 정보요구 전반에 대한 검색-전 질문지와 검색과정과 결과에 대한 검색-후 질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평소 DLS 이용의 주목적이 단순 여가 독서인 경우, 정보요구가 상대적으로 모호한 경우, 그리고 검색과정에서 복잡한 상황을 겪는 경우 등에서 검색 성공률과 검색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검색 만족도는 검색시간 충분성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게, 검색 결과 만족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기타 의견으로 정보 통합 검색, 관련 자료추천, 소장 위치 출력, 모바일 앱을 통한 음성 인식, 검색 실수 자동 교정 기능 등 요구가 있었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이 제언할 수 있다. 첫째, 진학 및 진로정보 제공에 대한 교육 수요자의 요구를 반영하여 DLS 역시 진학 및 진로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보완해야 한다. 둘째, 일반적 정보 검색 시스템 수준으로의 DLS 기능 개선이 필수적이다. 셋째, 학교도서관 현장 인력과 DLS 관리 당국 간 긴밀한 협력을 위한 인프라가 구축되어야 한다.

사서교사의 맞춤형 심화연수 프로그램용 연수과목에 대한 선호도 분석 (An Analysis of Teacher Librarians' Preference on Subjects for their Customized Intensive In-Service Training Program)

  • 송기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63-184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사서교사의 교원능력개발 평가지표별 맞춤형 심화연수 프로그램용 연수과목에 대한 선호도를 분석하여 성공적인 현직연수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설문 분석 결과 사서교사들은 독서교육, 정보활용교육과 같이 교육정보봉사 영역과 관련된 연수과목을 핵심 업무로 인식하고 있으며, 교육용 콘텐츠 개발과 수업용 자료 개발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급별로는 초등학교 사서교사가 도서관 활성화 프로그램, 자원봉사자 관리, 이용자 요구 및 교육과정 분석, 이용자 교육 평가 그리고 정보활용교육 평가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령이 높을수록 메타 데이터에 대한 이해, 정보시스템 구축 그리고 정보시스템과 교육지원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따라서 사서교사 연수과목은 학교도서관 교육과 교육과정 연계 방법을 중심으로 구성하고, 연수 방법은 이론 중심의 강의보다는 사례 연구와 개발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식창출형 e-PBL 지원시스템의 개념적 모형 구안 - 해군 e-PBL지원시스템을 중심으로 - (Designing a Conceptual Model of Knowledge Creation Type e-PBL Support System - Focused on Naval e-PBL Support System -)

  • 박수홍;홍진용;우차섭;김두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437-448
    • /
    • 2008
  • 지식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전장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군대에서도 창의력, 협동력, 의사소통 능력을 갖춘 인재상이 요구되고 있어 해군 교육에서도 PBL의 적용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지식창출을 위한 해군 e-PBL 지원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토타입을 개발하기 위해 크게 3단계를 거친다. 첫째, PBL, e-PBL, 지식창출, 지식생태계 등을 키워드로 하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국회도서관, 등에서 검색하였다. 내용 전문가들로부터 본 연구와 직접적으로 관련 있는 국내 외 논문 및 단행본, 연구보고서 등을 추천받아 본 연구와 관련해서 인용도가 높은 문헌과 최근 연구를 수행한 문헌들을 중심으로 선정 분석하여 지식창출형 e-PBL지원시스템의 핵심가치와 설계전략을 도출하였다. 둘째, 분석 내용을 토대로 1차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여 교수설계 전문가들의 검토를 받아 수정함으로써 지식창출형 해군 e-PBL 지원시스템의 최종 프로토타입을 제안하였으며, 이는 다음과 같은 가치를 가진다. 첫째, 지식창출형 해군 e-PBL지원시스템은 학습자들에게 e-PBL을 적용할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창의력, 협동력, 의사소통 능력 향상과 업무 노하우를 축적 할 수 있다. 둘째, 개인간 또는 집단간 지식 공유를 통해 지식이 선순환됨으로써 업무능률을 향상시키고, 학습하는 조직문화를 조성하는 시너지 효과를 볼 것으로 기대한다. 셋째, 지식창출형 해군 e-PBL지원시스템은 해군 뿐만 아니라 학교교육에 PBL을 적용하고 있는 교수자들에게 지식 Base를 구축하는 PBL적용의 새로운 가치를 가지게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