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하회지구

Search Result 8,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Flow on Hahoi Region in the Nakdong River by Using the KU-RLMS Model (KU-RLMS 모형을 이용한 낙동강 하회지구 흐름 예측에 관한 연구)

  • Lee, Nam-Joo;Hwang, Seung-Yong;Lee, Sam-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397-1401
    • /
    • 2007
  • 낙동강에 위치한 하회마을의 점사주는 상류에 안동 및 임하 다목적댐이 건설되면서, 수량이 조절됨에 따라 토사수리학적 특성이 상당히 변화되었으며, 식생이 발생하는 등 옛 모습을 상실해 가고 있는 지역이다. 이 연구는 낙동강의 중상류에 위치한 하회지구에 평면 이차원 하상변동 및 수질예측 수치모형인 KU-RLMS 모형을 적용하여 하회마을 앞의 점사주에 영향을 미치는 수리학적 특성 변화를 규명할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KU-RLMS 모형은 하천 및 저수지의 국부적인 수리, 수질, 유사이동 해석을 위해 개발된 평면 이차원 비정상 수치모형이다. 직사각형 격자를 사용하는 유한차분법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흐름 계산을 위한 지배 방정식은 3차원 Reynolds 방정식으로부터 수심적분된 2차원 연속방정식과 운동량방정식을 불규칙한 경계를 현실적으로 모사할 수 있는 직교곡선 좌표계로 변환한 방정식을 사용한다. 안동다목적댐과 임하다목적댐의 방류량, 수공구조물 설치 여부 등을 고려하여 수치모의조건을 결정하였으며, 각 조건에 대한 흐름 변화특성을 분석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Bed Changes on Hahoi Region in the Nakdong River by Using the KU-RLMS Model (KU-RLMS 모형을 이용한 낙동강 하회지구 지형변화 예측에 관한 연구)

  • Lee, Nam-Joo;Hwang, Seung-Yong;Lee, Sam-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402-1406
    • /
    • 2007
  • 낙동강에 위치한 안동의 하회마을, 내성천에 위치한 예천의 회룡포와 영주의 무섬마을 등은 마을 앞에 위치한 깨끗한 백사장으로 널리 알려진 관광명소이다. 하회마을의 점사주의 경우 낙동강 상류에 안동 및 임하 다목적댐이 건설되면서, 수량이 조절됨에 따라 토사수리학적 특성이 상당히 변화되었으며, 식생이 발생하는 등 옛 모습을 상실해 가고 있는 지역이다. 이 연구는 낙동강의 중상류에 위치한 하회지구에 평면 이차원 하상변동 및 수질예측 수치모형인 KU-RLMS 모형을 적용하여 하회마을 앞의 점사주에 영향을 미치는 토사수리학적 특성 변화를 규명할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수치모형 적용을 위한 현황분석으로 하상토 특성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지형자료에 대한 분석 결과, 다목적댐 건설 이후 하회구간의 하천 지형 변화의 특징으로 저수로 쪽의 하상저하가 두드러지게 나타남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동상 수리모형 실험결과를 사용하여 유사이동모형에서 사용할 유사량 공식을 선정하였다. 안동다목적댐과 임하다목적댐의 방류량, 수공구조물 설치 여부 등을 고려하여 수치모의조건을 결정하였으며, 각 조건에 대한 지형변화 변화 특성을 분석하였다.

  • PDF

A Study on Vegetation Expansion Process by Soil Survey in the Sand Bar of Movable Channel (이동상 하도의 모래사주에서 토양조사를 통한 식생역 발달과정의 평가)

  • Lee, Sam-Hee;Ock, Gi-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058-1062
    • /
    • 2007
  • 본 연구에서 이동상 모래하천에서 식생의 변화과정을 연구하였다. 연구 대상 하천은 낙동강 상류 하회지구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 지역은 우리나라에서 대표적인 모래하천으로서 지형적인 요인으로 형성된 사행하천의 만곡부에 해당하고 있다. 특히 상류에 댐과 취수보 등 수자원개발시설이 건설되면서 수십 년 동안 물과 유사의 공급이 조절되어 안동시권역에서부터 하류방향으로 향하면서 점차 바뀌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 가운데, 이동성을 지니고 있던 사주부에 식생이 유입되고, 식생역이 확장되면서 사주가 고정화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이동상 하도에서 이동사주내 식생역의 발달과정을 파악하기 위하여 사주내 토양의 물리화학적 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안동 하회지구내 모래사주에서 식생이 정착 발달 확장 되어가는 과정을 파악할 수 있었다. 하회지구의 식생역의 발달은 시기적으로 홍수기와 비홍수기의 반복적인 출현에 영향을 받고 있었다. 그리고 공간적으로는 홍수기 동안의 유사의 퇴적과 세굴과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식생역의 확장과정은 이러한 시공간적 상황으로 인해 유발되는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높은 상관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Flow Simulation in a Meandering Channel using a 2-dimensional Numerical Model (이차원 수치모형을 이용한 사행하도 흐름모의)

  • Lee, Haegyun;Lee, Namj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3 no.5
    • /
    • pp.485-492
    • /
    • 2013
  • The point sand bars of Hahoi Village on Nakdong River have undergone considerable changes including fluvial and vegetation characteristics due to flood regulation by the dams constructed upstream. In this study, the numerical fluvial/sediment and water quality model, KU-RLMS, is applied to the aquatic area near Hahoi Village (middle/upper region of the Nakdong River) for clarifying the mechanisms of changes in hydraulic and aquatic characteristics. The fixed-bed hydraulic experiment was carried out for horizontal two-dimensional numerical model. The numerical simulation reveals that flow is accelerated near the left bank of Booyongdae downstream of the Hahoi Village area. Circulatory flow pattern was observed at the right bank downstream of Hahoi Village. The simulation was in good agreement with the hydraulic/physical experiment. For the discharge of design flood, at the area of circulatory flow pattern, the superelevation of about 1.0 m at the right bank was predicted compared to the left bank of high flow velocity, which is also in good agreement with hydraulic experiment.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Bed Changes on Hahoi Region in the Nakdong River by Using the HEC-6 Model (HEC-6모형을 이용한 낙동강 하회지구 하상변동 예측에 관한 연구)

  • Lee, Nam-Joo;Hwang, Seung-Yong;Lee, Sam-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665-1669
    • /
    • 2007
  • 경상북도 지역에서 낙동강에 위치한 안동의 하회마을, 내성천에 위치한 예천의 회룡포와 영주의 무섬마을 등은 마을 앞에 위치한 깨끗한 백사장으로 널리 알려진 관광명소이다. 하회마을의 점사주의 경우 낙동강 상류에 안동 및 임하 다목적댐이 건설되면서, 수량이 조절됨에 따라 토사수리학적 특성이 상당히 변화되었으며, 식생이 발생하는 등 옛 모습을 상실해 가고 있는 지역이다. 이 연구는 낙동강의 중상류 구간인 안동조정지댐 직하류부터 하회마을 직하류에 위치한 광덕교 지점까지의 하도구간에 일차원 하상변동 수치모형인 HEC6 모형을 적용하여 하회마을 앞의 점사주에 영향을 미치는 토사수리학적 특성 변화를 규명할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수치모형 적용구간의 하상변동을 예측하기 위해 적절한 일차원 준정상 상태 하상변동모형으로 HEC-6 모형을 선정하였으며, 모형적용을 위한 현황분석으로 하상토 특성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지형자료에 대한 분석 결과, 다목적댐 건설 이후 하회구간의 하천 지형 변화의 특징으로 저수로 쪽의 하상저하가 두드러지게 나타남을 발견할 수 있었다. 모형의 적용영역 내에 위치한 각 수위표 지점의 수리 수문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HEC-6 모형의 보정은 고정상 및 이동상 수리모형 실험결과를 사용하여, 고정상 보정과 이동상 보정으로 구분하여 수행하였다. 이동상 보정 결과 Ackers and White 공식이 다른 공식에 비하여 전반적으로 우수한 결과를 제공함을 알 수 있었다. 하천망 유사이동 수치모형인 HEC-6 모형을 사용하여 장기 하상변동을 예측하였으며, 댐 건설이 하류 하천의 지형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ppm)인 시료에 적합한 여과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유사 입경분포 분석방법으로는 BW관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현재까지 국내 외적으로 하천 유사량 산정과 관련된 많은 경험식들이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외국의 충적하천에 기초하여 개발되어진 유사량 공식들을 우리나라 하천에 무분별하게 적용하는 것은 위험스러우며, 유사량 산정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우리나라 하천의 지형, 수리, 수문학적 요소들이 유사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야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실측을 통한 유사량 값을 하천의 지형, 수리, 수문학적 요소들과 비교 분석하여우리나라 하천에 맞는 유사특성을 알아보고, 기타 총유사량산정 공식을 이용하여 실측한 유사량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호강유역의 급격한 수질개선을 알 수 있다.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 동년대에 동일한 목적으로 찬술되었음을 알 수 있다. $\ulcorner$경상도실록지리지$\lrcorner$(慶尙道實錄地理志)에는 $\ulcorner$세종실록$\lrcorner$(世宗實錄) $\ulcorner$지리지$\lrcorner$(地理志)와의 비교를 해보면 상 중 하품의 통합 9개소가 삭제되어 있고, $\ulcorner$동국여지승람$\lrcorner$(東國與地勝覽) 에서는 자기소와 도기소의 위치가 완전히 삭제되어 있다. 이러한 현상은 첫째, 15세기 중

  • PDF

Understanding on Characteristics of the Sand Bars' Movement in the Meandering Reaches by a Movable-Bed Experiment (이동상 수리모형실험을 통한 만곡부 모래사주의 거동특성 분석)

  • Lee, Sam-Hee;Hwang, Seung-Yong;Park, Jae-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679-1683
    • /
    • 2007
  • 최근 우리나라에서 하천 및 유역 환경의 급격한 변화로 인하여 하천 형태가 많이 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사행하는 모래 하천에서 만곡부 사주의 형태 변화가 커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모래 하천의 만곡부에서 사주의 변화 특성을 평가하고 그 원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이동상 수리모형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에서 하천 및 유역의 여러 상황 변화를 감안하여 유량, 유사 공급량, 공급 시간, 하천 변형 등 다양한 조건을 상정하였다. 연구 대상하천은 낙동강 본류이며, 중점 수리모형 실험대상 구간은 우리나라의 전통민속마을인 안동 하회마을을 태극형으로 감싸면서 사행하는 만곡부이다. 이동상 실험규모는 수평축적 1/110, 수직축적 1/50로 왜곡도가 2.2로써 비교적 대규모이다. 모형 하상재료는 입경 0.29 mm의 석탄분(anthracite)을 채택하였으며, 현장에서 하상재료조사와 상사해석을 통해 결정하였다. 실험 결과, 유량과 유사 공급량 변화에 따른 사주 변화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사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 국지적 퇴적양상을 보였다. 이는 사주 내 식생활착으로 이어지는 계기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설계홍수량 규모에서 구하도와 과거 사주가 재현되었는데, 이는 지역주민을 통해 입증되었다. 또한 천연기념물인 만송정 주변의 모래둔덕의 형성과정이 입증되었다.

  • PDF

Geological Structure around Andong Fault System, Pungcheon-myeon, Andong, Korea (안동시 풍천면 안동단층계 주변의 지질구조)

  • Kang, Ji-Hoon;Lee, Duck-Seon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17 no.2
    • /
    • pp.83-94
    • /
    • 2008
  • The Pungcheon-myeon, Andong, consists mainly of Precambrian metamorphic rocks, Jurassic igneous rocks, Cretaceous sedimentary rocks (Hasandong, Jinju and Iljik Formations) and Cretaceous igneous rocks (gabbroic rocks, dykes), in which several major faults are developed; Andong fault of ENE trend, which is the boundary fault of the Cretaceous Gyeongsang Basin and the Precambrian-Jurassic basement (Yeongnam Massif), Namhu fault parallel to it, Maebong fault of NNW direction, bow-shaped Gwangdeok fault of ENE direction which is convex toward SSE direction, and Hahoe fault of NNE direction. This paper is researched the geological structures around these major faults by means of the detailed geometric analysis on beddings, joints, faults and drag folds. As a result, a reverse slip faulting of top-to-the SSE movement accompanied with a regional drag folding is recognized from the arrangement of bedding poles measured around the Gwangdeok and Hahoe faults at its northeastern extension, and a zone of Gwangdeok drag fold of 150-300 m width, which is wider at the central and eastern parts of Gwangdeok fault and narrower at its western part and Hahoe fault, is also defined. It indicates that the Hahoe and Gwangdeok faults are a single fault and their movements are coeval unlike the results of earlier reasearchers. And, In this area are recognized two types of faults [(E)NE${\sim}$EW(fault I), WNW${\sim}$NNW (fault II), trending faults] and four types of joints [EW (I), (N)NW (II), NNE (III), NE (IV) trending joints]. These fractures were formed at least through four different events, named as Dn to Dn+3 phases. (1) Dn phase; the formation of joint (I) (Gwangdeok joint) and the intrusion of acidic dykes of EW trend under the compression of EW direction. (2) Dn+1 phase; the formations of joint (II) (Maebong joint), lens-shaped boudinage of acidic dykes, oblique-slip reverse fault (Fault I-Gwangdeok fault) under the compression of (N)NW direction, and the formation of regional zone of Gwangdeok drag fold accompanying the Gwangdeok faulting. (3) Dn+2 phase; those of joint (III), Fault II (Maebong fault) by dextral strike-slip movement of Maebong joint under the compression of NNE direction, and the extension cutting of Dn+1 structures due to the Maebong faulting. (4) Dn+3 phase; the jointing (IV) and the reactivation of Fault II as oblique-slip type with predominant dextral motion which took place under the compression of NE direction. It also suggests that the Maebong fault is not a tear fault deveolped during thrust tectonics of the Andong and Gwangdeok faults but is a post-fault during different tectonic event.

A Study on the Expansion Process of Vegetation on Sand-bars in Fluvial Meandering Stream (충적하천 사행하도에 발달한 사주에서의 식생형성 과정에 관한 연구)

  • Lee, Sam-Hee;Ock, Gi-Young;Choi, Jung-Kwo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2 no.6
    • /
    • pp.658-665
    • /
    • 2008
  •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fluvial river channel with sand bed-material is the existence of movable sand bars not occupied with vegetation. However, sand bars at the Hahoe's reach of the Nakdong River showing a double-meandering channel has been changed into expanding vegetation area. Moreover, sand material, in recent years, has stopped moving to downstream in channel and the number and area of bare bars which did not occupied by vegetation have been decreased. In order to find out the mechanism, we carried out the channel characteristics surveys such as hydro-geomorphologic, soil physio-chemical and vegetation surveys were conducted twice on autumn season in 2005,2006. The results so far achieved showed that the reduced discharge of transported sediment and duration of dry season might be critical factors for the spread of luxuriant vegetation. The vegetation area was significantly expanded by floods exceeding the subsequent dominant flow discharge. Furthermore, the expansion of vegetation area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supply of organic matter, nutrients and alteration of soil texture by sediment deposition during the flooding ev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