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ological Structure around Andong Fault System, Pungcheon-myeon, Andong, Korea

안동시 풍천면 안동단층계 주변의 지질구조

  • Kang, Ji-Hoon (Department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Andong National University) ;
  • Lee, Duck-Seon (Department of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s, Andong National University)
  • 강지훈 (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 이덕선 (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Published : 2008.06.30

Abstract

The Pungcheon-myeon, Andong, consists mainly of Precambrian metamorphic rocks, Jurassic igneous rocks, Cretaceous sedimentary rocks (Hasandong, Jinju and Iljik Formations) and Cretaceous igneous rocks (gabbroic rocks, dykes), in which several major faults are developed; Andong fault of ENE trend, which is the boundary fault of the Cretaceous Gyeongsang Basin and the Precambrian-Jurassic basement (Yeongnam Massif), Namhu fault parallel to it, Maebong fault of NNW direction, bow-shaped Gwangdeok fault of ENE direction which is convex toward SSE direction, and Hahoe fault of NNE direction. This paper is researched the geological structures around these major faults by means of the detailed geometric analysis on beddings, joints, faults and drag folds. As a result, a reverse slip faulting of top-to-the SSE movement accompanied with a regional drag folding is recognized from the arrangement of bedding poles measured around the Gwangdeok and Hahoe faults at its northeastern extension, and a zone of Gwangdeok drag fold of 150-300 m width, which is wider at the central and eastern parts of Gwangdeok fault and narrower at its western part and Hahoe fault, is also defined. It indicates that the Hahoe and Gwangdeok faults are a single fault and their movements are coeval unlike the results of earlier reasearchers. And, In this area are recognized two types of faults [(E)NE${\sim}$EW(fault I), WNW${\sim}$NNW (fault II), trending faults] and four types of joints [EW (I), (N)NW (II), NNE (III), NE (IV) trending joints]. These fractures were formed at least through four different events, named as Dn to Dn+3 phases. (1) Dn phase; the formation of joint (I) (Gwangdeok joint) and the intrusion of acidic dykes of EW trend under the compression of EW direction. (2) Dn+1 phase; the formations of joint (II) (Maebong joint), lens-shaped boudinage of acidic dykes, oblique-slip reverse fault (Fault I-Gwangdeok fault) under the compression of (N)NW direction, and the formation of regional zone of Gwangdeok drag fold accompanying the Gwangdeok faulting. (3) Dn+2 phase; those of joint (III), Fault II (Maebong fault) by dextral strike-slip movement of Maebong joint under the compression of NNE direction, and the extension cutting of Dn+1 structures due to the Maebong faulting. (4) Dn+3 phase; the jointing (IV) and the reactivation of Fault II as oblique-slip type with predominant dextral motion which took place under the compression of NE direction. It also suggests that the Maebong fault is not a tear fault deveolped during thrust tectonics of the Andong and Gwangdeok faults but is a post-fault during different tectonic event.

안동시 풍천면 지역은 선캠브리아기 변성암류, 쥬라기 화성암류, 백악기 퇴적암류 (하산동층, 진주층, 일직층), 그리고 백악기 화성암류 (반려암체, 암맥류)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몇몇 주요 단층들이 발달한다. 이들은 백악기 경상분지와 선캠브리아기-쥬라기 기반암류(영남육괴)의 경계단층에 해당하는 동북동 방향의 안동단층, 이에 평행한 남후단층, 북북서 방향의 매봉단층, 남남동 방향으로 볼록한 활형의 광덕단층, 북북동 방향의 하회단층 등이다. 이 논문에서는 층리, 절리, 단층, 끌림 습곡에 대한 상세한 기하적인 분석을 통하여 이들 주요 단층 주변지역의 지질구조를 연구하였다. 그 결과, 활형의 광덕단층과 그의 동부 연장선상에 발달하는 하회단층 주변에서 측정된 층리의 극점 배열로부터 상부가 남남동 방향으로 충상하는 단층운동에 수반된 광역적인 끌림습곡작용이 인지되며, 광덕단층의 서부와 하회단층에서는 비교적 폭이 좁고 광덕단층의 중부와 동부에서는 비교적 폭이 넓은 약 150 m-300 m 폭의 광덕 끌림습곡대가 설정된다. 이는 이전 연구결과와 달리 하회단층과 광덕단층은 하나의 단층으로써 그 운동성과 운동시기가 광덕단층과 동일함을 의미한다. 연구지역에는 두 종류의 방향 단층[(동)북동${\sim}$동서 방향(단충 I), 서북서${\sim}$북북서 방향(단층 II)과 네 종류의 방향절리 [동서(I), (북)북서 (II),북북동 (III), 북동 (IV) 방향 절리]가 인지되며, 이들은 적어도 다음과 같은 네 번의 변형단계를 걸쳐 형성되었다 (1) Dn 단계; 동서 방향의 압축 응력에 의한 절리 (I) (광덕절리)의 형성과 동서 방향의 산성질 암맥의 관입작용, (2) Dn+1 단계, (북)북서 방향의 압축 응력에 의한 절리 (II) (매봉절리) 형성, 산성질 암맥의 렌즈상 부딘작용, 광덕절리의 사교이동성 역단층운동 (단층 I-광덕단층 형성)과 이에 수반된 광역적인 광덕 끌림습곡대 형성, (3) Dn+2 단계; 북북동 방향의 압축 응력에 의한 절리 (III) 형성, 매봉절리의 우수 주향이동 단층운동 (단층 II-매봉단층 형성)과 이에 수반된 Dn+1 구조물의 연장성 단절작용, (4) Dn+3 단계; 북동 방향의 압축 응력에 의한 절리 (IV) 형성과 단층 II의 우수향 성분이 우세한 사교이동성 단층으로의 재활동 등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매봉단층은 안동단층과 광덕단층의 충상 지구조운동과 관련된 인열단층이라기 보다는 이들 단층보다 후기에 생성되었음을 지시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지훈, 류충렬, 2006, 경상분지 의성지괴 길안면지역에서 청송화강암의 단열 발달사 및 운동성에 대한 기하학적 해석. 암석학회지, 15, 180-193
  2. 김봉균, 이하영, 김수진, 정지곤, 1988, 한국지질도(1:50,000) 안동도폭 및 설명서. 한국동력자원연구소, 20p. 김옥준, 1975, 남한의 화강암류와 지각변동. 광산지질, 8, 223-230
  3. 김옥준, 1975, 남한의 화강암류와 지각변동. 광산지질, 8, 223-230
  4. 윤석규, 차문성, 김정진, 이종덕, 1988, 한국지질도(1:50,000) 예천도폭 및 설명서. 한국동력자원연구소, 12p
  5. 장기홍, 1975, 한반도 동남부의 백악계 층서. 지질학회지, 11, 1-23
  6. 최범영, 최현일, 이승렬, 황재하, 고인세, 1999, 안동단층계 의 운동특성과 운동시점. 대한지질학회, 한국석유지질학 회, 한국암석학회 제54차 추계공동학술발표회 초록집, 58
  7. 최위찬, 김규봉, 홍승호, 이병주, 황재하, 박기화, 황상기, 최 범영, 송교영, 진명식, 1995, 한국지질도 1: 1,000,000. 한국자원연구소, 성지문화사
  8. Choi, P.Y., Lee, S.R., Choi, H.I., Hwang, J.H., Kwon, S.K., Ko, I.S, An, G.O., 2002, Movement history of the Andong Fault System: Geometric and tectonic approaches. Geosciences Journal, 6, 91-102 https://doi.org/10.1007/BF03028280
  9. Engelder, T. and Gross, M.R., 1993, Curving cross joints and the lithospheric stress field in eastern North America.Geology, 21, 817-820 https://doi.org/10.1130/0091-7613(1993)021<0817:CCJATL>2.3.CO;2
  10. Peacock, D.C.P., 2001, The temporal relationship between joint and faults. Journal of Structural Geology, 23, 329- 341 https://doi.org/10.1016/S0191-8141(00)00099-7
  11. Reedman, A. and Um, S.H., 1975, Geology of Korea, Geol. Min. Inst. Korea, Seoul, 293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