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하이브리드 제어 시스템

Search Result 397,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Development of the Digital Fuzzy Controller for a Hybrid Power System Using Wind and Solar Energy (풍력과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 구현을 위한 디지털 피지 제어기 재발)

  • Seong Hwa-Chang;Ju Yeong-Hun;Park Jin-Bae;Kim Do-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6.05a
    • /
    • pp.99-102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두 개의 서브 발전 시스템 (풍력과 태양광 발전 시스템)으로 구성된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의 구현을 위한 디지털 퍼지 제어기를 개발한다. 풍력과 광전자 발전기에서 V-I 특성은 비선형 관계를 보여주기 때문에, 비선형 시스템 제어에 많은 장점을 가진 퍼지 모델 기반 제어기를 사용한다. 그리고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 제어 시스템 구현하기 위해서 본 과제에서는 디지털 재설계 기법을 통해 디지털 퍼지 제어기를 설계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에서 최대 전력 추종과 배터리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세 가지 모드 상태에서 제어 목적이 변화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하게 된다.

  • PDF

Switching Digital Fuzzy Controller for Hybrid Generation System Using Wind and Photovoltaic Energy (풍력과 태양 에너지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 구현을 위한 스위칭 디지털 퍼지 제어기 개발)

  • Sung, Hwa-Chang;Joo, Young-Hoon;Park, Jin-Bae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6 no.6
    • /
    • pp.753-758
    • /
    • 2006
  • We present the development of the digital fuzzy controller for maximum power regulation. A hybrid system that comprises wind and photovoltaic generation subsystems, and battery bank is developed in this paper. We use Takaki-Sugeno (T-S) fuzzy model to deal with the power regulation problem, since each power generator has complex nonlinear terms. The problem for regulation control can be simplified into a stabilization one. Also, in order to utilize the advanced digital device, we perform the intelligent digital redesign method. Finally,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controller is extensively assessed through computer simulation.

A Study on Power contorl for Hybrid electric propulsion system (하이브리드 전기 추진 시스템의 전력 제어에 관한 연구)

  • Oh, Jin-Seok;Jo, Kwan-Jun;Ham, Youn-Jae;Bae, Soo-Young;Lee, Ji-Young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2 no.10
    • /
    • pp.765-770
    • /
    • 2008
  • This paper presents the power control for the hybrid electric propulsion system. In this paper, the hybrid propulsion system consists cf the generator and battery as power supply system in ship. The hybrid control system is designed with energy saving algorithm for decreasing the power consumption of power supply system. This paper suggests the method to increase efficiency of hybrid electric propulsion system by developing battery charging system. The performance of power control system is analyzed with the experiment equipment for hybrid propulsion system, and the results showed a good property.

The Hybrid Road Lighting Control System Design using Solar-Light Generation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도로조명 점등제어 시스템 설계)

  • Hong, Sung-Il;Lin, Chi-H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2 no.1
    • /
    • pp.109-120
    • /
    • 2013
  • In this paper we proposed the design of the hybrid road lighting control system using solar-light generation. The proposed hybrid road lighting control system be power offer through hybrid controller using Solar-Light Generation, and it is designed so that it can control lighting up. To control supply of continuous power when during power shortages. And the gateway be transmit control command using zigbee to road lighting to ensure that automatic lighting control on human sensing. In this case, the gateway is apply the lighting control algorithm that decisions to the status of the system by a pre-set time schedule and be able to operate. In this paper, the proposed efficiency analysis results of a hybrid road lighting control system was consumed power of 129.6W per day, 3.8KW per month, 47.3KW per annual. As a result, it were able to increase the energy efficiency than existing lighting control system by reduce power consumption of 76.2% and the electricity prices of 76.8%.

Development of the Digital Fuzzy Controller for Maximum Power Tracking (최대 전력 추종을 위한 디지털 퍼지 제어기 설계)

  • Seong, Hwa-Chang;Ju, Yeong-Hun;Park, Jin-Bae;Yu, Tae-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6.11a
    • /
    • pp.344-347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에서의 최대 전력 추종을 위한 디지털 퍼지 제어기 설계를 목표로 한다. 하이브리드 발전 시스템은 풍력과 태양광, 두 개의 발전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각 발전기에서 전압과 전류는 일반적으로 비선형 관계에 있기 때문에, 퍼지 모델 기반 제어기를 사용하여 비선형성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마이크로프로세서 기반 제어 시스템의 구축을 위하여 최신 디지털 재설계 기법을 사용, 디지털 퍼지 제어기를 설계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제안된 플랜트를 통한 실험으로써 본 논문의 우수성을 입증하고자 한다.

  • PDF

System Design and Fundamental Experiment for Thrust Control of $GO_2$/PE Hybrid Rocket ($GO_2$/PE 하이브리드 로켓의 추력제어를 위한 시스템 설계 및 기초실험)

  • Lee, Yong-Wu;Kang, Wan-Kyu;Huh, Hwan-I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 /
    • v.14 no.1
    • /
    • pp.40-47
    • /
    • 2010
  • In this study, basic research on the thrust control by controling oxidizer mass flow rate of a $GO_2$/PE hybrid rocket is presented. For this purpose, hybrid rocket system including oxidizer flow control system and data acquisition system was developed. To control oxidizer mass flow rate, we used needle valve with stepping motor which was controled by LabVIEW program. During the fundamental experiments, this system managed to follow the pre-programmed (20 N - 10 N - 20 N - 0 N) thrust level.

Control of Hybrid System using Open Winding Machine (오픈 와인딩 머신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제어)

  • Kwak Mu-Shin;Sul Seung-Ki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6.06a
    • /
    • pp.336-338
    • /
    • 2006
  • 오픈 와인딩 머신을 이용한 새로운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시스템은 기존 하이브리드 시스템의 DC/DC 전력 변환기와 이에 필요한 인덕터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주어진 DC 링크 전압과 배터리 전압으로 보다 높은 속도 운전영역까지 최대 토크 운전이 가능하다. 또한 전동기의 기계 출력, 배터리의 입출력 전력, DC링크단의 입출력 전력을 모두 양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 PDF

A Study on the Hybrid Position Control of the Liquid-Slop System (Liquid-Slop 시스템의 하이브리드제어에 관한 연구)

  • Ju, Hae-Ho;Lee, Jae-W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9 no.4
    • /
    • pp.58-64
    • /
    • 1992
  • 이 논문에서는 Hoop속에 Ball이 구르는 간단한 전기 기계 구동 장치를 고려 하였다. 이 장치의 구조는 간단하지만 원유수송선과 같은 대형 액체를 고속 수송할 때 발생되는 "liquid slop"문제를 해석하고 제어하는데 좋은 모델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liquid slop dynamics를 언급 하였고, 이러한 시스템을 제어 하기 위하여 재래식 PID, state-feedback 알고리즘의 유용성을 검토하였고 하이브리드 제어방식을 제안하였다. 하이브리드 제어방식이 다른방식보다 성능면에서 다소 우세함을 알 수 있었다.을 알 수 있었다.

  • PDF

A Stand-alone hybrid distributed power system example based on the Photovoltaic Power System for DC power supply (직류전원 공급용 태양광 발전 시스템 기반 독립형 하이브리드 분산전원 시스템 일례)

  • Yoon, Yeo-Young;Kim, Hong-Sung;Choi, Jaeho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5.11a
    • /
    • pp.117-11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독립형 직류 배전망 구성에 이용될 수 있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 및 ESS(Energy Storage System)를 이용한 하이브리드형 분산 전원 시스템의 구성 일례를 제시한다. 제안된 시스템의 전력회로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용 PCS에는 직렬 공진 탱크를 가지는 절연형 풀브리지 방식, ESS용 PCS에는 비절연형 양방향 컨버터로 구성되었다. 태양광 PCS의 제어방식으로는 전류 제어기가 사용되었으며, ESS 용 PCS에는 비집중식 제어방식이 적용 되었다. 제안된 방식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100[kW]급 태양광 시스템, 100[kW]급 ESS를 기반으로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구현하고 직류 계통 전압 제어 특성, 부하급변에 대한 전력분담 제어 실험결과를 제시하였다.

  • PDF

Position Control of Servo Motor using Hybrid Controller (하이브리드 제어기를 이용한 서보 전동기의 위치제어)

  • Kwon, Se-Hyu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v.10 no.3
    • /
    • pp.186-192
    • /
    • 2009
  • PID controllers are simple in structure and easy for implementation. However, they may produce large overshoots and over-oscillatory responses. Combining PID control with other control techniques often results in advanced hybrid schemes that are able to improve pure PID controllers. This paper proposes hybrid controller for position control system of servo motor. The proposed controller is composed of a subcontroller and a parallel PID controller. The subcontroller improves the transient system performance while the PID controller is mainly responsible for the steady-state system performance. A very promising advantage of this hybrid scheme, in terms of controller synthesis, is that the subcontrollers and controller components can be designed separately. Systematic design methods for various controller components are developed. The proposed hybrid scheme is applied to a DC motor position servo system.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controller is verified through the computer simulation resul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