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하위 개념

검색결과 666건 처리시간 0.027초

정보시스템에서 재미의 하위유형 개발 (Domain of Fun in Information Systems)

  • 권순재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6권1호
    • /
    • pp.189-212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정보시스템 및 심리학에서 사용한 재미의 개념을 분석하여, 정보시스템 사용자들이 느끼는 재미모형의 유형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기존문헌연구를 통하여 재미를 구성하는 29개의 항목을 개발하고 이를 검증하여 이 중 15개 항목을 선정하였다. 이후 다시 실증분석 후 재미를 구성하는 하위요인을 사회성, 만족감, 성취감, 열광적 4개의 1차 하위차원으로 정의하였다.

담화 내 계층적 구조의 개념 구조적 기술 (Conceptual Description of Hierarchical Structure in Discourse)

  • 구유선
    • 한국인지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인지과학회 2000년도 춘계 학술대회
    • /
    • pp.164-170
    • /
    • 2000
  • 본 논문은 과거 많은 학자들에 의해 제기된 주구조와 부구조, 하위구조 등의 담화 내 계층적 구조에 대한 증거로 일탈을 중심으로 부구조를 분석하였다. 먼저 주제 일탈의 구조와 정의에 관해 분석하고 중단과 화제 전환 등과의 차이를 설명하였다. 지식 표현 언어인 Sowa의 개념구조론의 체계 내에서 담화의 계층적 구조와 그 구조를 나타내는 언어적 표시인 담화 표지의 예를 기술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개념 관계로 일탈, 화제 전환, 틀의 관계를 설정하여 담화 내 계층구조와 담화 부분과의 화용적인 관계를 규명하였다. 기존의 개념구조론은 선택적 제약, 조응 등의 의미론적인 개념들을 간결하고 정확하게 기술할 수 있었는데 화용론적인 측면의 기술도 가능함을 보여준다.

  • PDF

FCA 기반의 온톨로지 확장 (FCA-Based Ontology Augmentation)

  • 김현식;김인철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2 (1)
    • /
    • pp.145-147
    • /
    • 2004
  • 기존 온톨로지를 확장하는 한 가지 방법은 기존의 기초 개념들로부터 새로운 하위 개념들을 유도해 내거나 개념들간의 새로운 관계들을 발견해내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의학분야의 기존 온톨로지를 확장하는데 정형적 개념 분석(FCA) 방법이 갖는 잠재적 역할을 분석해보자 한다. 이를 위해 우리는 영역 특정 문서들로부터 기존 개념들의 실례(instance)들을 추출할 수 있다고 가정한다. 본 논문에서는 3 단계로 이루어진 FCA기반의 은톨로지 확장 방법론을 설명하고, MeSH 온톨로지 확장에 관한 경험을 소개한다.

  • PDF

전자상거래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오창규
    • 한국산업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업정보학회 1998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발표논문집 IMF시대의정보화 추진전략
    • /
    • pp.265-279
    • /
    • 1998
  • 전자상거래는 통합적 정보체계 환경아래서 정부, 기업, 개인가넹 이루어지는 생사느 구매, 수소, 재무, 행정, 서비스 등의 상업적인 거래를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간의 거래인 'Business-to-Business', 기업과 개인간의 거래인 'Business-to-Customer', 그리고 개인과 개인간의 거래인 'Customer-to-Customer'의 거래중에서 인터넷을 통해 기업과 소비자가 상품과 서비스의 매매가 이루어지는 기업과 개인간의 거래인 'Business-to-Customer'거래라는 협의의 전자상거래 개념을 사용하였다. 전자상거래를 활성화하는데 있어서 작용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를 과거의 문헌연구들을 통해 관련요인을 찾아 체계적으로 분류, 정리하엿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위한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독립변수로서 공급자 측면에서 네가지의 하위 요인(기술, 정보, 제품, 거래)을 가진 '서비스 품질(Service Quality)'과 고객 측면에서 네 가지의 하위 요인(구매습관, 생활양식, 전자상거래에 대한 지각, 인구통계적 요인)을 가진 '사용자 태도(Customer Atttitute)'를 선정함으로써 공급자와 소비자를 연결한 개념적인 모형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개념적인 서비스 품질가설과 사용자 측면에서 사용자 태도가설을 제시하였다.

RDF 접근 제어에서 소수 그래프 레이블링을 사용한 효율적 권한 충돌 발견 (Efficient Authorization Conflict Detection Using Prime Number Graph Labeling in RDF Access Control)

  • 김재훈;박석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5권2호
    • /
    • pp.112-124
    • /
    • 2008
  • RDF와 OWL은 시맨틱 웹을 위한 두 가지 핵심 기반 기술이다. 이러한 RDF와 OWL을 이용하는, 또한 이에 관련된 많은 연구들이 최근 소개되었다. 하지만, RDF와 OWL에 대한 정보 보안 관련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RDF 보안 기술과 관련하여, RDF 트리플에 기반을 둔 안전한 접근제어 명세 모델을 간단히 소개한다. 다음으로 RDF 접근 제어 명세 시의 추론에 의한 권한 충돌을 효율적으로 발견하기 위하여 소수 그래프 레이블링을 기법을 활용하는 방법을 자세히 소개한다. 추론에 의한 접근 권한 충돌 문제는 비록 하위 개념에 대한 접근 권한이 허용이지만, 하위 개념은 상위 개념으로 추론될 수 있으므로, 만약 상위 개념에 대한 접근 권한이 불허로 되어 있는 경우 하위 개념 또한 허용되어서는 안 되는 문제이다. 몇 가지 실험에서는 제안하는 소수 그래프 레이블링을 사용하는 방법이 기존의 단순한 권한 충돌 발견 방법보다 현저히 나은 성능을 가짐을 보여 준다.

지식상태분석법을 이용한 고등학생의 유전관련 개념의 위계 분석 (Analysis of Hierarchy for High School Students' Concepts about Genetics Through the Knowledge State Analysis Method)

  • 송하영;김영신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4권2호
    • /
    • pp.237-245
    • /
    • 2010
  • 이 연구는 지식상태분석법을 이용하여 고등학생들의 유전관련 개념의 위계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유전관련 개념 검사문항으로 10, 11학년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고 검사결과를 바탕으로 지식상태분석법을 이용하여 위계도를 작성하였다. 전체 학생들의 위계와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유전 관련 개념의 위계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별 위계를 비교 분석한 결과에서는 전체적인 개념간의 위계관계가 비슷하고 상위 단계와 하위 단계의 개념은 같으나 중간 단계의 개념들은 연결 관계 변화와 단계의 이동이 발견되었다. 그리고 유전관련 개념 성취도별 위계를 비교 분석한 결과 성취도가 높아질수록 하위단계에 속하는 개념의 수가 많아지고 위계 관계가 세분화, 구조화 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효과적인 유전 개념 형성을 위한 구체적인 수업전략 개발과 지식상태분석법으로 작성한 개념의 위계를 실제 수업현장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해 보는 사례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PDF

개념지식의 유형에 따른 표상차이: 범주와 각본의 위계성과 전형성 비교1) (Knowledge Representation Characteristics of Categories and Scripts: An Investigation on Hierarchy and Typicality Effects)

  • 이재호;이정모
    • 인지과학
    • /
    • 제11권3_4호
    • /
    • pp.73-81
    • /
    • 2000
  • 이 연구는 지식유형에 따른 표상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서 범주지식과 각본지식의 위계성과 전형성에 대한 점화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 1에서는 상위개념을 점화단어로 제시하고 하위개념을 목표단어로 제시한 다움 목표단어의 어휘판단시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범주지식은 전형단어가 비전형단어보다 반응시간이 빨랐지만, 각본지식은 두 조건간의 차이가 없었다. 실험 2에서는 하위개념을 점화단어로 제시하고 상위개념을 목표단어로 제시한 다음 목표단어의 어위판단시간을 측정하였다. 범주지식이 각본지식보다 반응시간이 빨랐으며, 두 지식 모두 전형성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범주지식은 전형성에 따른 위계구조를 구성하지만 각본지식은 범주지식에 비해서 위계성과 전형성이 약회된 구조로 표상될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다.

  • PDF

지리교육의 기본 개념: 지리교사들의 인식과 재정립 방향의 모색 (Basic Concepts in Geographic Education: The Estimation by Secondary Geography Teachers and the Quest for Reformation)

  • 이영민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81-293
    • /
    • 1999
  • 이 연구는 개념 및 개념학습의 의미와 가치를 평가해 보고, 기존의 지리교육 기본 개념에 대한 논의를 정리하여 현장 교사들의 기본 개념 인식과 비교한 후, 향후의 지리교육 내용 구성의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지리교육의 개념은 지리적 현상의 작동 과정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는 개괄적인 관념으로서 관련 지식들을 인지구조 속에 붙들어 매어주는 역할을 한다. 현장교사들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기본개념은 인간-자연관계, 입지, 지역, 지도화, 지역적 차이, 문화 등이며, 이는 전통지역지리학에서 강조되어 온 개념들이다. 반면에 지역적 결합, 공간 및 공간관계, 장소, 지구사회, 이동 등의 개념은 교사들이 잘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개념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분석과 관련하여 주의를 기울여야 할 점은 지리학과 지리교육의 기본개념을 무차별적으로 혼용해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학문적 성과와 교육적 성과는 다른 것이며, 이에 맞춰 지리교육의 교육적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인 하위개념들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 PDF

초등학생의 분수이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Fractions)

  • 권성룡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5권2호
    • /
    • pp.259-273
    • /
    • 2003
  • 본 연구는 Vinner와 Moore의 개념정의, 개념이미지, 개념이용의 이론적 체계를 활용하여 초등학생의 분수이해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주어진 분수와 분수식으로 설명할 수 있는 상황을 설정하게 함으로써 아동의 개념이미지를 조사하였다. 두 번째로 분수가 포함된 문제해결이 분수개념이해를 바탕으로 하는 바, 다양한 분수하위개념과 관련된 문제를 제시하고 이를 해결하게 하였다. 세 번째로 분수와 분수식으로 문장제 문제를 만들어 보게 함으로써 아동의 분수개념 이용을 살펴보았다. 연구한 결과, 분수에 대한 아동의 개념이미지가 부분-전체에 제한되어 있었으며 이로 인해 다른 하위개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분수와 분수식을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문제 상황을 설정하는데 익숙하지 못했다. 아동의 분수이해를 위해서는 다양한 하위개념에 대한 균형된 이해를 돕는 학습활동이 필요하며 교과서에 분수와 분수식을 활용한 문장제 문제만들기 활동이 더 많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 PDF

광학분야에서 학생 개념의 상황 의존성: 시각과 거울상을 중심으로 (Context-dependency of Students' Conceptions in Optics: Focused on Vision & Mirror Image)

  • 권경필;방소윤;이성묵;이경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406-414
    • /
    • 2006
  • 이 연구에서는 7학년 학생들의 빛의 이동경로에 대한 개념의 상황의존성을 물체의 관찰, 물체의 거울상 관찰, 거울에 비친 자신의 얼굴상 관찰이라는 세 가지 서로 다른 상황에서 연구하였다. 면담을 통해 각 상황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을 조사하였으며, 세 가지 상황에 대한 학생들의 설명을 바탕으로 학생들을 네 그룹으로 나누었다. 각 그룹은 다시 개념특성에 따라 2-3개의 하위집단으로 나누었으며, 각 하위집단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1) 그룹 1의 학생들의 개념은 각 상황에 따라 변화하였다; (2) 그룹 2의 학생들은 C1 상황에선 과학적 개념을 나타냈지만 C2 상황에선 시선개념이나 상에 대한 오개념을 나타냈다; (3) 그룹 3의 학생들은 얼굴의 거울상에 대한 강한 오개념 때문에 과학적 개념을 포기하였다. 제언 부분에서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빛 단원에 대한 교수-학습방법의 개선점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