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하역장비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26초

확률적 시뮬레이션 기반 AGV 배차 (AGV Dispatching with Stochastic Simulation)

  • 최이;박태진;류광렬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2권10호
    • /
    • pp.837-844
    • /
    • 2008
  •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안벽크레인, AGV (Automated Guided Vehicle)와 같은 하역장비의 작업은 수많은 요인에 영향을 받으며, 이로 인해 각 장비의 작업시간 예측에 있어 불확실성이 존재한다 이러한 불확실성은 AGV 배차를 어렵게 만들고 작업효율을 떨어뜨리는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불확실성에 대처하기 위하여 확률적 시뮬레이션 기반 AGV 배차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 방안은 AGV에 작업을 할당할 때, 할당된 작업의 수행 및 이후 일정 기간 동안의 AGV의 작업에 대해 확률적 시뮬레이션을 여러 번 반복 수행하여 작업할당에 대한 평가치의 확률적 표본을 수집한다. 수집한 표본으로부터 평가의 기대치를 추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대안을 평가함으로써 불확실성의 영향을 줄인다. 평가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많은 수의 표본을 수집해야 하므로 실시간 제약 하에서 수집 가능한 확률적 표본의 수를 늘리기 위해 이벤트 기반의 고속 시뮬레이션을 디자인하였다. 시뮬레이션 실험을 통해 검증한 결과 불확실성이 있는 환경에서 제안방안의 성능이 정적인 환경을 가정하는 방안보다 뛰어남을 확인하였다.

우리나라 항만의 대중국 환적화물 유치방안에 관한 연구 (Strategies to Attract Transshipment Container Cargos from/to China by Korea Ports)

  • 정태원;곽규석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7-16
    • /
    • 2002
  • 중국의 지속적인 경제성장에 따른 중국 물동량의 급속한 성장률은 부산항, 광양항뿐 아니라 동북아 지역의 경쟁상태에 있는 여러 항만들의 환적물동량 유치경쟁을 가속화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으로의 환적화물을 유치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첫째, 대중국 환적화 물 유치 경쟁하에 있는 항만들의 선호도를 분석하고 둘째, 대중국 환적화물 유치경쟁하에 있는 동아시아 항만들의 경쟁력을 평가하며 마지막으로 대중국 환적화물 유치를 위한 환적결정요인 중요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대중국 환적화물을 유치하기 위한 부산항과 광양항의 가장 우선적인 전략은 시설을 증대하고 서비스의 질을 높이는 것이다. 비용과 지리적 위치는 매우 경쟁력이 있으나 타 경쟁항만에 비해 많은 선호를 받지 못하는 이유는 항만 선호도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평가된 시설과 서비스의 경쟁력 부족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부산항과 광양항은 CY의 보관능력을 확장시켜야 하며 충분한 선석과 하역장비를 갖추어야 한다. 또한. 환적화물이 적시에 인도될 수 있도록 필요한 제반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며 환적화물에 대한 클레임에도 신속히 반응해야 한다. 그리고 환적화물이 손상되거나 멸실되지 않도록 전체적인 서비스의 질을 높여야 할 것이다.

Bulk 부두의 선박 대형화에 따른 선석별 점유율 비교 분석 - P제철 원료부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erth Occupancy Rate and Ship Size at Exclusive Bulk Terminal)

  • 김창곤;장성용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63-73
    • /
    • 2008
  • P제철은 수심, 하역장비 및 야드와의 Belt Conveyer 연결 가능성 등에 따라 3만톤급이 접안 가능한 선석에서부터 25만 톤급 선박이 접안 가능한 선석을 각각 운영하고 있다. 또한 3만톤급에서 25만 톤급의 Bulk선을 운영하고 있는데, 해상운임을 줄이기 위해 15만톤 이상의 대형선 배선비율을 증가하여 왔다. 그리고 선형별 흘수 및 선폭에 따라 접안 가능한 선석이 제한되기 때문에 대형선의 배선비율 증가는 특정 선석의 선석점유율 증가 요인이 되고, 선석점유율이 증가하면 결과적으로 대형선의 대기시간이 증가하여 체선료가 증가한다. 일반적인 대기이론에서 선석점유율이 일정 수준이 이상이 되면 대기시간이 급격이 증가하지만, P제철 원료부두의 경우 부두운영 및 선석운영 계획을 직접 수행함으로써 선박도착 및 하역생산성의 변동성이 적고 선박도착이 정시성이 확보되어 선석점유율 증가에 따른 선박대기 시간이 일반 대기이론에서 언급하고 있는 것보다 증가율이 낮다.

  • PDF

컨테이너 터미널 선석길이 산정에 관한 실증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Berth-Length Calculation of Container Terminal)

  • 송용석;남기찬;연정흠;김정은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79-184
    • /
    • 2003
  • 부산항의 시설 능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건설 중인 부산 신항만은 8,000 TEU급 대형선박의 입항이 가능한 환적항으로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대형 항만의 경우 간선 항로를 운항하는 모선과 지선 항로를 운항하는 피더선이 동시에 입항하며, 터미널 설계 시 이러 한 상황을 반영하여 하역 능력, 운영계획, 장비 사양 등을 결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부산 신항만은 선석당 30만 TEU를 기준으로 터미널이 설계되었기 때문에 기존 주요 항만에 입항하는 다양한 규모의 선박을 고려하여 하역 능력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선박 접안 능력의 관점에서 실제 두개의 터미널에 접안하는 선박의 규모별 적ㆍ양하량, 선박 길이 등을 반영해서 선석길이 및 선석 수를 산정하고 기존 터미널 개발계획과 관련하여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고효율 하역장비의 기술동향 (Technical Survey of Highly Efficient Cargo Handling System)

  • 박경태;김경한;김두형;조규백;김한메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76-277
    • /
    • 2010
  • 본 논문은 RTGC 시스템의 에너지 절감을 위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대해 다룬다. 에너지 저장 시스템으로는 배터리, 슈퍼캐패시터 그리고 플라이휠의 장정과 단점이 조사되었다. 이들 에너지 저장 시스템들 중 플라이휠 에너지 저장시스템은 현재 해결되어야 할 기술 및 가격적인 측면에도 불구하고 향후 기술의 발전을 전제를 뒀을 때 매우 촉망받는 에너지 저장시스템임이 조사되었다. 또한, 컨테이너 이송에 사용되는 RTGC에서 베터리와 플라이휠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각각 사용된 경우에 대해 에너지 절감에 대한 결과가 정량적으로 조사되었다.

  • PDF

리니어 모터의 전기적 특성을 고려한 LMTT용 이동체의 최적설계 (Optimum Design of the Mover for LMTT considering the Elastic Characteristic of the Linear Motor)

  • 안태원;한근조;한동섭;이성욱;이경민;이정명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99-400
    • /
    • 2006
  • LMTT(Linear Motor based Transfer Technology) is a new type of transfer system used in the maritime container terminal fur the port automation, and largely consists of a controller, shuttle car, and rail. The shuttle car is divided into the frame part, the driving part, and wheels. In order to design this system, various researches on each part of it must be conducted. In this study, we dealt with the optimum design for the frame part of the shuttle car designed from previous studies on the strength of the frame with respect to the number of cross beams to minimize the weight of the shuttle car and to satisfy design criteria of cargo-handling systems in container terminal. For the optimization of the frame, thicknesses of each beam were adopted as design variables, the weight of the frame as objective function, and stress and deflection per unit length as constraint condition.

  • PDF

해저케이블 하역용 코일링 암 구조설계 및 해석 (Structural Design and Analysis of Coiling Arm Unloading Machine for Submarine Cable)

  • 김명환;김동현;류경중;심재박;추헌호;이승민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1년도 정기 학술대회
    • /
    • pp.574-578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해저케이블 부두 하역용 장비인 코일링 암(coiling arm)에 대한 구조설계 및 해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설계를 위해 3차원 CAD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모델링하였고 구조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유한요소법에 기초한 전산해석 기법으로 해석을 수행하였다. 코일링 암의 목적에 맞추어 케이블을 케이블 탱크에 가이드 할 수 있도록 베어링 및 롤러를 설계하여 메인 암이 회전하고 케이블 가이드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고, 기존의 외국 모델에서 사용하던 와이어 및 모터 시스템을 이용한 케이블 가이드 작동방식을 유압 시스템을 이용한 작동방식으로 변경하여 설계 및 제작이 쉽고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자중 및 케이블 하중에 대한 응력 해석을 수행하였고, 유압시스템에 의한 파손 가능성을 고려하였다. 케이블 가이드에 이동 및 지면 경사도에 따른 전복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설치 장소를 고려한 풍하중 효과도 추가로 고려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코일링 암의 작동방식을 개선하였으며 설계 및 해석 방법을 확립과 더불어 국내 최초로 실제 코일링 암을 제작 및 설치하였다.

  • PDF

하역장비 시뮬레이터 개발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f Loading Equipment Simulator Development)

  • 손정기;권순재;배종일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0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D
    • /
    • pp.2772-2774
    • /
    • 2000
  •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marine transportation business and the modernization and over sizing of vessel transportation equipment. shipping equipment used in the terminal are getting more atomized and speedier. thus the efficiency of shipping and discharging depends upon the degree of practice of terminal operating manpower. It means that cultivation of experts in this field is essentially needed and it is becoming a serious problem to guarantee the training programs to provide high-class. high-skilled manpower. The best result can be expected when we use the real equipment for training purposes. but it will cause many difficulties such as budget problem. To overcome this situation. we developed the Virtual Container Crane Simulator(VCCS System) which enables the operator to learn the operation of the equipment as well as safety problems within a short time. VCCS system begins with establishing the direction of operation by setting the appropriate motions for each step. and then it instructs the basic operation. It enhances the driver's ability to cope with accidents during operation and completes and completes the mastery of operating techniques with The repetition of practice.

  • PDF

장비제원에 따른 컨테이너 터미널 장치장 점유율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nge the Container Terminal Yard Occupations by Handling System)

  • 송용석;박정재;남기찬;곽규석;안기명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03-307
    • /
    • 2004
  • 선박이 대형화되고 경제규모가 커지면서 선박의 화물운송 규모도 매우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컨테이너 터미널에서는 안벽하역 장비의 고속화, 대형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안벽의 고속 생산성은 한정된 규모의 장치장 점유율에 영향을 마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OHBC, RMGC, RTTC 등의 장비제원과 배치에 따른 장치장 점유율을 산정한다.

  • PDF

탠덤 크레인을 고려한 컨테이너터미널 선적 계획 (Ship Loading Plan for Tandem Crane in Container Terminals)

  • 권순철;신재영;김상진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9년도 공동학술대회
    • /
    • pp.167-168
    • /
    • 2009
  • 컨테이너를 통한 무역이 나날이 늘어감에 따라 컨테이너터미널에서는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는 효율적인 운영전략, 또는 생산성이 낮은 장비 도입을 통한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장비 도입의 측면에서 최근 국내 터미널에서 최근 많이 도입하고 있는 탠덤 크레인은 20'컨테이너를 동시에 4개, 40'컨테이너를 동시에 2개를 작업할 수 있는 안벽하역장비로 기존 크레인에 비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탠덤 크레인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선적 계획을 위한 계량적 모형과 해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