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하악 제 1대구치

검색결과 279건 처리시간 0.032초

하악 제 3대구치의 치근 만곡도와 매복정도의 관계 분석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ROOT CURVATURES OF THE MANDIBULAR THIRD MOLARS AND THEIR LOCATIONS ON THE MANDIBLE)

  • 임재석;권종진;장현석;박영준;전상호;현승돈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8권1호
    • /
    • pp.46-52
    • /
    • 2002
  • Purpose : We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root curvatures of the mandibular third molars and their locations on the mandible, so that it might be contributed to elucidate the origin of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Korean mandibular third molar and help many clinicians to treat the mandibular third molars. Materials and Methods : Panoramic radiographs of 237 patients who had been treated at Korea University Ansan Hospital from March, 2000 to April, 2001 and had bilateral mandibular third molars were examined and analyzed. Results :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p<0.05). But there were significantly fewer subjects with bilateral curved roots in bilateral third molars regardless of their status (p<0.01) and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with bilateral curved roots in the mandibular third molars with same status and with unilateral curved roots in the mandibular third molars with different status and between the groups with unilateral curved roots in the mandibular third molars with same status and with bilateral curved roots in the mandibular third molars with different status(p<0.05). Subjects with bilateral curved roots in the mandibular third molars with bilateral partial impacted status and with bilateral curved roots in the mandibular third molars with bilateral complete eruption status were significantly fewer (p<0.01) and subjects with the mandibular third molars with partial impacted and complete impacted status and with the mandibular third molars with complete erupted and partial impacted status had significantly fewer bilateral curved roots (p<0.05). Conclusions : When we postulate that it is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that affect the root formation, it seems that environmental factors have more effects on the formation of the mandibular third molars than on that of the mandibular first and second molars

감압조대술을 이용한 함치성낭종의 치험례 (MARSUPIALIZATION IN RESOLVING DENTIGEROUS CYSTS: CASE REPORT)

  • 김현우;윤규호;박관수;정정권;반재혁;유명수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7권1호
    • /
    • pp.76-80
    • /
    • 2005
  • 함치성낭종은 병소의 크기 및 인접 구조물과의 관계 등에 따라 개창술 및 적출술, 감압조대술 등 여러 방법으로 치료할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여러 함치성낭종의 치료를 위해 감압조대술 시행하였고, 수술 후 낭종 내부에 매복된 미성숙 영구치는 병소의 크기가 줄어듦에 따라 모두 정상 맹출하였다. 또한 하악 제3대구치를 포함하는 광법위한 크기의 함치성낭종에 소파술을 동반한 감압조대술을 시행한 결과, 낭막의 악성변이가 발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인접 구조물의 손상 없이 이상적인 치료 결과를 얻었다. 감압조대술은 광범위한 병소의 적출 시 야기될 수 있는 악골 및 주위 인접 구조물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특히 젊은 환자에서 낭종 내에 포함된 영구치의 보존 및 맹출유도를 위한 가장 적절한 치료법이다. 그러나 수술 후에 지속적인 경과관찰 또한 치료계획에 포함되어야 한다.

하악 제3대구치의 위치와 각도가 발치 후 합병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its position and angulation following mandibular third molar extraction)

  • 홍선표;임헌준;김원기;김용운;오세리;이준;민승기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7권5호
    • /
    • pp.349-354
    • /
    • 2011
  • Introduction: Mandibular third molar extraction is one of the most common procedures performed in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units. Although the overall complication rate is low with most complications being minor, mandibular third molar removal is so common that the population morbidity of complications might be significant. Therefore, efforts to limit intraoperative or postoperative complications might have a significant impact in terms of enhancing the patient outcome.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position and angulation associated complications after mandibular third molar extractions.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surveyed 568 patients who had a mandibular third molar extracted, showed clinical complications and underwent a radiographic measurement of the available space, depth and spatial relationship. Result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complications were a dry socket, nerve injury, root rest, infection, bleeding, hamatoma, and adjacent teeth injury. 2.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omplication and ramus relationship (available space) of the mandibular third molar. 3.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omplications and depth of the mandibular third molar. 4.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omplications and spatial relationship of the mandibular third molar. Conclus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mplication rate, ramus relationship, depth and spatial relationship of the mandibular third molar. This suggests that the position and angulation of the mandibular third molar may not have an impact on the complication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sition and angulation of the mandibular third molar, and complications deserves a further study using longitudinal data.

III급 부정교합의 치료전략 (Treatment strategies on Class III malocclusion based on Long term follow up study)

  • 성재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25-139
    • /
    • 1996
  • 저자는 성장기 III급 부정교합자의 치료후 성장완료시까지 장기관찰 기록을 통하여 III급 부정교합치료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되는 유용한 정보를 얻었다. 장기 관찰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었다. 첫째, 전치부 반대교합의 조기 개선시에 상악에서 상당한 전방성장이 많은 증례에서 관찰되었다. 둘째, 악골에 대한 정형적 치료에 의한 성장조절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제한적인 효과만 인정되었다. 셋째, 반대교합을 가진 어린 환자에서 얻은 어떤 자료도 장기적인 관점에서 그 환자의 치료후 안정성을 예측할 수 있는 것은 없었다. 그러나 gonial angle은 어느 정도 예측의 가능성을 보였다. 넷째, 성장이 된 연령에서 하악에 대한 정형적 후방력이나 하악의 급작스런 위치 변화는 악관절에 좋지 못한 영향을 줄 수 있었다. 따라서 저자는 다음과 같이 III급 치료 전략을 제시한다. ${\cdot}$반대교합은 가능하다면 조기에 개선하는 것이 좋으며, 정형적 치료는 10세 이전에 1-2년 정도 사용하는 것이 좋겠다. ${\cdot}$ 이후에 바로 phase II 치료에 들어가지 말고 성장이 어느 정도 끝나는 시점까지 기다린다. 즉 여자는 14세, 남자는 17세 경까지 기다린 후에 교정치료로 마무리할 것인지 악교정 수술을 할 것인지 결정한다. 관찰 기간 동안에 성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기도문제, 혀자세, 습관, 제3대구치의 발육 등을 감독하고, 성장에 관한 자료를 채득한다. 이렇게 하므로서 앞에서 관찰한 치료 완료 후의 재발로 인한 재치료 문제를 줄일 수 있고,실제적인 치료기간을 단축할 수 있어 환자나 술자에게 모두 유익하다고 생각한다.

  • PDF

치아 삭제의 다른 자가 평가 방법 후 개선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improvement after different self-assessment methods of tooth preparation)

  • 김정한;손큰바다;이규복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5권4호
    • /
    • pp.220-227
    • /
    • 2019
  •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세 가지 자가 평가 방법에 따라 치의학전문대학원 학생들의 치아 삭제 능력의 향상 정도를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경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의 2학년 48명 학생을 대상으로 3개의 실험 그룹으로 나누었다. 금관(gold crown)제작을 위한 좌측 하악 제1대구치의 치아삭제를 수행하였다. 세 가지 자가 평가 방법(시각적, 디지털, putty index 자가 평가 그룹)을 사용하여 자가 평가를 수행하고, 치아 삭제를 다시 수행했다. 구강 스캐너를 사용하여 각 치아(삭제된 치아 및 삭제되지 않은 치아)를 스캔하고 standard tessellation language (STL) 파일 형식으로 데이터를 저장하였다. 삭제된 치아와 삭제되지 않은 치아의 STL 파일은 3 차원 분석 소프트웨어(Geomagic control X)를 사용하여 중첩되었다. 그리고 삭제량을 측정했다. 통계적 분석에서, 삭제량의 모든 값은 Wilcoxon signed rank 및 Kruskal-Wallis 테스트로 분석하였다(α = 0.05). 결과: 세 가지 자체 평가 방법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 < 0.001). putty index 자가 평가 그룹은 디지털 자가 평가 방법보다 교육 후 오차의 감소가 더 컸다. 결론: 이 연구의 한계 내에서, 학생들은 세 가지 자기 평가 방법에 따라 치아 삭제 능력의 개선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보였다.

다양한 삼차원 프린팅 시스템으로 제작된 다이의 정확도 비교 (Accuracy of dies fabricated by various three dimensional printing systems: a comparative study)

  • 백주원;신수연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6권4호
    • /
    • pp.242-253
    • /
    • 2020
  •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3D 프린팅으로 제작된 다이의 정확도를 인상재와 치과용 석고를 이용하여 제작한 기존 방식 다이와 비교하고 체적 변화를 평가하여 정확도를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치과용 모델 하악 우측 제1대구치를 준비하여 스캔한 뒤 polyetherketoneketone (PEKK)으로 기준 다이를 제작한다. 기존 방식 다이는 기준 다이를 polyvinylsiloxane로 인상채득한 뒤 Type IV 치과용 석고를 부었다. 3D 프린팅 시스템의 경우 기준 다이를 스캔하고 3개의 서로 다른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모델로 변환하였다. 4가지 방법으로 각각 10개의 표본을 만들었다. 3D 표면매칭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기준 다이와 중첩하였다. 통계 분석을 위해 Kruskal-Wallis test, Mann-Whitney U test를 수행하였다(P < 0.05). 결과: 기준 다이와 비교하여 기존 방식, Stereolithography로 제작된 다이를 제외하고는 각 방식으로 제작된 다이의 체적 변화가 상당히 있었다(P < 0.05). 기존 방식으로 제작된 다이는 3D 프린팅된 다이보다 체적 변화가 가장 적었다(P < 0.05). Stereolithography로 제작된 3D 프린팅 다이는 다른 3D 프린터 중에서 체적 변화가 가장 적었다(P < 0.05). 결론: 기존 방식의 다이는 3D 프린팅 다이보다 더 정확했지만 3D 프린팅 다이는 임상적으로 허용되는 범위 내에 있었다. 따라서 3D 프린팅 다이는 수복물 제작에 사용할 수 있다.

3차원 유한요소법에 의한 임플란트 지지 3본 고정성 가공 의치의 부적합도가 인접골 응력에 미치는 영향 분석 (Finite Element Analysis of Bone Stress Caused by Horizontal Misfit of Implant Supported Three-Unit Fixed Prosthodontics)

  • 이승환;조광헌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8권2호
    • /
    • pp.147-16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유한요소해석 방법을 사용하여 임플란트 지지 3본 고정성 가공 의치에 수평적인 부적합이 존재할 때 그 정도가 임플란트 인접골 응력 발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3본 고정성 가공의치, 임플란트/악골 복합체로 구성된 해석 모델은 3차원으로 연구되었다. 3본 고정성 가공의치의 체결 간격은 하악 제2 소구치와 제2 대구치에 17.9mm 거리로 식립된 임플란트 간격에 비해 0.1mm 짧거나(17.8mm), 0.1mm 길게(18.0mm) 모델링하였다. 3본 고정성 가공의치와 임플란트 지대주 간의 체결은 총 6단계로 모사되었고 각 단계별로 가공의치가 하방으로 0.1mm 씩 변위되었다. 유한요소해석에는 PC용으로 출시된 DEFORM$^{TM}$ 3D 프로그램(ver 6.1, SFTC, Columbus, OH, USA)을 사용하였다. 3본 고정성 가공의치와 임플란트 사이의 응력은 von-Mises 응력, 최대 압축 응력, 필요한 경우 방사상 응력을 평가하였다. d=18.0mm인 모델에서는 가공의치와 지대주간의 체결이 이루어지지 않은 반면, d=17.8mm 인 모델에서는 성공적으로 체결이 가능했다. 체결 여부를 떠나 과도하게 높은 응력이 체결과정과 그 이후에 발생되었는데, 17.8mm 모델의 경우 체결완료 후에도 임플란트 주위 변연골에서 잔류하는 인장 및 압축 응력이 각각 최대 186.9MPa과 114.1MPa이었다. 이 경우 임플란트로부터 2mm 떨어진 부분까지 압축 응력이 골개조 장애 임계 응력인 55MPa($4,000{\mu}{\varepsilon}$과 같은 크기)보다 크게 측정되었다. 3본 고정성 가공의치의 0.1mm 크기의 수평적 부적합은 체결 과정뿐만 아니라 완료 후에도 인접 변연골에 높은 응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함치성 낭의 조대술 후 이환치아의 맹출 양상 (ERUPTION PATTERN OF A CYST-ASSOCIATED MANDIBULAR PREMOLAR AFTER MARSUPIALIZATON OF A DENTIGEROUS CYST)

  • 김주영;김현정;김영진;남순현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73-384
    • /
    • 2003
  • 사춘기 전 아동에서 흔히 발생되는 함치성 낭을 조대술로 치료한 후 낭에 이환된 치아의 맹출에 영향 미치는 제반요인을 분석하여 이환된 치아의 외과적 또는 교정적 치료 유무의 기준을 마련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하악 소구치 부위가 함치성 낭으로 이환되어 있으며 조대술 실시 후 8개월 이내에 촬영된 파노라마 관찰사진이 있는 5-12세 아동 총 22명의 증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초진과 재진 시의 관찰기간 동안에 촬영 한 파노라마 사진으로 트레이싱 용지에 필요한 구조물과 치아를 모두 그렸으며 사진 상의 수직, 수평적인 상의 확대 및 축소의 보상을 위하여 초진사진의 제1대구치 치관크기를 기준으로 모든 사진을 표준화시켰다. 각 사진 상에서 낭에 이환된 부위를 실험군, 동일 악궁의 반대측 부위를 대조군으로 설정하여 교두깊이, 각의 크기, 낭의 크기, 교두점 위치지수를 계측하여 측정값을 얻은 후, 각 치아의 발육단계, 이환치아의 경사도, 위치의 변위율, 낭종의 면적 감소량과 치아의 맹출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맹출 속도, 각의 변화율, 낭면적의 감소율, 실험군 내의 조대술 후의 평균 기간(month)을 산정하여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낭에 이환된 부위의 영구치의 맹출 속도는 비이환측에 비해 평균 3.5배 빨랐으며 치축의 변화는 평균 $2.7^{\circ}/month$였다. 치근의 성장 단계에 따른 변화에서는 치근의 성장단계가 낮을수록 더욱 빠른 맹출 성향을 보였으며 각의 변화에서도 치근의 성장이 1/4이하 군에서 현저히 높게 나타났으며 낭종내 이환치의 변위에 따른 변화에서는 교두점 위치지수 차이가 30%될 때까지는 맹출 속도가 증가하다가 그 이상에서는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낭의 면적 감소율이 $80mm^2/month$이상 감소하는 경우 현저하게 높은 맹출 속도를 보였고 이환된 치아가 근심 변위한 경우 원심 변위한 치아보다 맹출 속도는 낮았지만 각의 변화율은 크게 나타났다. 이환된 치아의 각도 변위가 작을수록 맹출의 속도는 증가하였으며 $15^{\circ}$ 이하의 경우 각도 변화도 높게 나타났다. 조대술 후 대부분의 경우 급격한 맹출 속도와 치축 각의 변화는 6개월 이내에 일어났다.

  • PDF

완전 지르코니아 크라운의 교합면 두께에 따른 파절강도의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fracture strength depending on the occlusal thickness of full zirconia crown)

  • 장수아;김윤영;박원희;이영수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160-166
    • /
    • 2013
  •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적인 금속도재관과 완전 지르코니아 크라운의 교합면 두께에 따른 파절강도를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하악 제1대구치에 해당하는 레진치를 교합면 1.5 mm, 변연은 1.0 mm 폭의 rounded shoulder로 하고 축면 경사각이 $6^{\circ}$가 되도록 삭제하여 금속 다이 64개를 제작하였다. 완전 지르코니아 크라운은ZIRKONZAHN CAD/CAM을 이용하여 Prettau zirconia blanks를 절삭하여 48개의 크라운을 제작하고 교합면 교두정의 두께에 따라 6개 군으로 분류하였다(0.5 mm, 0.6 mm, 0.7 mm, 0.8 mm, 0.9 mm, 1.0 mm). 16개의 금속도재관을 제작하여 교합면 교두정 도재의 두께에 따라 2개 군으로 분류하였다(1.0 mm, 1.5 mm). 완성된 완전 지르코니아 크라운과 금속도재관은 만능시험기 상에서 치아 교합면에 수직으로 하중이 가하도록 하여 파절강도를 측정하였다. One-way ANOVA, Tukey multiple comparison test (${\alpha}=.05$)와 t-test (${\alpha}=.05$)로 검정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험 1군은 가장 낮은 값(646.48 N)을 나타내었고(P<.05), 실험 2, 3, 4, 5군은 교합면의 두께가 증가할수록 파절강도는 증가하였지만 (866.40 N, 978.82 N, 1196.82 N, 1222.41 N)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5). 실험 6군은 다른 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가장 높은 값(1781.24 N)을 나타내었다(P<.05). 2. 대조군의 파절강도는 도재의 두께가 1.0 mm와 1.5 mm일때각각2515.71 N, 3473.31 N이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5). 결론: 완전 지르코니아 크라운은 대구치부에서 최대교합력보다 높은 파절강도를 갖기 위해서는 1.0 mm이상의 두께가 필요하다.

전부 도재관의 변연 및 내면 간극에 대한 micro CT와 절단 시편 측정법의 비교 (Comparison of micro CT and cross-section technique for evaluation of marginal and internal fit of lithium disilicate crowns)

  • 고인석;김정미;조혜원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26-233
    • /
    • 2016
  • 목적: 본 연구는 수복물의 적합도를 계측하는 두 가지 측정방법을 평가하기 위해 CAD-CAM (computer aided design-computer aided manufacturing)과 열가압 소성법으로 전부 도재관을 제작하고 micro CT와 cross-section technique으로 전부 도재관의 적합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하악 제 1대구치 레진 치아를 전부 도재관을 위한 지대치를 형성하고 PMMA (polymethylmethacrylate) 레진 블록을 가공하여 10개의 시편을 복제하였다. 복제한 레진 다이의 인상을 채득하고 모형을 제작하여 5개는 열가압 소성법으로 IPS e.max Press (Ivoclar Vivadent, Schaan, Liechtenstein) 도재관을 제작하였다. 다른 5개의 시편은 CAD-CAM 가공법(Ceramil motion 2, Amann Girrbach, Koblach, Austria)을 이용하여 IPS e.max CAD 도재관을 제작하였다. 각 레진 다이에 전부 도재관을 인산아연 시멘트(Fleck's zinc cement, Keystone industries, Gibbstown, NJ, USA)로 손가락 압력에 의해 합착하였다. 변연 및 내면 적합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합착된 시편 10개를 먼저 micro CT로 촬영하여 협-설 시상면의 영상정보를 획득하였다. 그 후 절단 시편을 만들어 주사전자현미경으로 micro CT와 동일한 지점의 간극을 측정하였다.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측정 지점에서 제작 방식별, 측정 방식별로 Mann-Whitney 검정 방법을 통해 유의차 검증을 시행하였다. 결과: Micro CT와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측정한 변연 및 내면 적합도는 유사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두 가지 제작법의 도재관은 변연 및 내면 적합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CAD-CAM과 열가압소성으로 제작한 전부 도재관은 적합도에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으며, Micro CT와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측정 방식 모두 임상적으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