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핀 유용성

Search Result 30,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Optimum Performance and Design of a Trapezoidal Fin (사다리꼴 핀의 최적 성능과 설계)

  • Kang, Hyung-S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2006.11a
    • /
    • pp.82-85
    • /
    • 2006
  • A trapezoidal fin with various lateral surface slopes is designed optimally by using one-dimensional analytic method. For four different convection characteristic numbers, the trend of heat loss as a function of fin tip length is shown. The optimum heat loss is somewhat arbitrarily chosen as 92% of the maximum heat loss. The optimum fin length corresponding to this optimum heat loss versus convection characteristic number is presented. The optimum effectiveness and specific effectiveness is presented as a function fin shape factor.

  • PDF

A Study on the Effect of Graphene Substrate for Growth of Vanadium Dioxide Nanostructures (이산화바나듐 나노구조물의 성장에서 그래핀 기판의 영향에 관한 연구)

  • Kim, Ki-Chul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 /
    • v.8 no.5
    • /
    • pp.95-100
    • /
    • 2018
  • The metal oxide/graphene nanocomposites are promising functional materials for high capacitive electrode material of secondary batteries, and high sensitive material of high performance gas sensors. In this study, vanadium dioxide($VO_2$) nanostructrures were grown on CVD graphene which was synthesized on Cu foil by thermal CVD, and exfoliated graphene which was exfoliated from highly oriented pyrolytic graphite(HOPG) using a vapor transport method. As results, $VO_2$ nanostructures on CVD graphene were grown preferential growth on abundant functional groups of graphene grain boundaries. The functional groups are served to nucleation site of $VO_2$ nanostructures. On the other hand, 2D & 3D $VO_2$ nanostructures were grown on exfoliated graphene due to uniformly distributed functional groups on exfoliated graphene surface. The characteristics of morphology controlled growth of $VO_2$/graphene nanocomposites would be applied to fabrication process for high capacitive electrode materials of secondary batteries, and high sensitive materials of gas sensors.

The effectiveness of MRI evaluation after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using hamstring tendon autograft (자가 슬괵건을 이용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결과 판정에 있어 MRI 검사의 유용성)

  • Kim, Jin-Goo;Kim, Young-Woo;Lee, Soo-Won;Shim, Jae-Chan;Oh, Soo-Jin
    • Journal of the Korean Arthroscopy Society
    • /
    • v.12 no.1
    • /
    • pp.32-39
    • /
    • 2008
  • Purpose: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MRI after ACL reconstruction with femoral tunnel at 10 o'clock position. Materials and Methods: MRI findings of 29 patients after ACL reconstruction using hamstring tendon autograft were evaluated. The mean period from operation to MRI was 18.9 months($7{\sim}40$ months). Signal intensity, morphology and continuity of graft, femoral insertion, graft angle, roof impingement, cross pin breakage and position were evaluated. Those findings were compared with KT-2000, Lysholm knee score and pivot shift test.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ignal intensity of graft and the duration to MRI. Most common pattern of the morphology was straight, and the continuity was well-preserved. 13 cases of femoral tunnel insertion were zone 4 and 16 were zone 3. There were no roof impingement. 10 cases showed cross pin breakages, of which 5 were found at the outside of distal femoral posterior cortex. 9 showed cross pin directed posteriorly in axial view.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linical results and cross pin breakage. Conclusion: MRI examinations after ACL reconstructions are useful to evaluate the graft status, position of the graft and cross pins. Since the direction of the cross pin is important especially in 10 o'clock femoral position, care should be taken to avoid cross pin breakage.

  • PDF

Comparison of Performance Between a Circular Pin Fin and a Half Circular Pin Fin (원형 pin fin과 반원형 pin fin 사이의 성능 비교)

  • Kang, Hyung-Suk
    • Journal of Industrial Technology
    • /
    • v.36
    • /
    • pp.17-22
    • /
    • 2016
  • A circular pin fin (CPF) and a half circular pin fin (HCPF) are by using the one-dimensional analytic method. For these two fins, 90% of the maximum heat loss, Corresponding fin length for 90% of the maximum heat loss, fin effectiveness and fin efficiency are compared as functions of convection characteristic number and fin radius. Also, the ratio of heat loss from the HCPF to that from CPF listed with variation of fin length when the fin volumes are the same. One of the results shows that the efficiency of a CPF is larger than that of a HCPF while the effectiveness of a CPF is smaller than that of a HCPF when convection characteristic number, fin length and fin radius are the same.

  • PDF

Optimization of a Pin Fin Based on Fixed Outer Radius (고정된 바깥반경에 기준한 pin 핀의 최적화)

  • Kang, Hyung-Suk;Choi, Soo-Kun
    • Journal of Industrial Technology
    • /
    • v.28 no.B
    • /
    • pp.3-7
    • /
    • 2008
  • A cylindrical pin fin with variable fin base thickness is optimized based on fixed outer radius by using the one dimensional analytic method. Heat loss from the pin fin with fixed outer radius is presented as a function of the fin length. The ratio of in length for optimum heat loss to that for the maximum heat loss is listed. The maximum heat loss and effectiveness and the fin length for the optimum heat loss are presented as a function of fin base thickness and outer radius. One of the results presents the maximum effectiveness decreases rapidly first and then decreases slowly as the fin outer radius increases.

  • PDF

Optimum Design of a Reversed Trapezoidal Fin with Variable Fin Base Thickness (핀 바닥 두께가 변화하는 역 사다리꼴 핀의 최적 설계)

  • Kang, Hyung-Suk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 /
    • v.20 no.7
    • /
    • pp.455-461
    • /
    • 2008
  • A reversed trapezoidal fin with variable fin base thickness is optimized using a two-dimensional analytical method. For the fin base boundary condition, instead of a constant temperature, heat transfer from the inside fluid to the fin base is considered. Heat loss from the fin tip is not ignored. The maximum heat loss, corresponding optimum fin effectiveness, fin length and base height are presented as a function of the fin base thickness, shape factor and volume.

그래핀 층수에 따른 산화 특성 연구

  • Lee, Byeong-Ju;Jeong, Gu-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8a
    • /
    • pp.358-358
    • /
    • 2011
  • 탄소원자로 구성된 2차원의 단원자 층의 그래핀은 우수한 기계적 강도, 전기전도도, 화학적 안정성 등의 특성으로 인하여 현재 기초연구 및 응용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그래핀의 물성은 그래핀의 층수, edge 형태, 구조적 defect의 양, 불순물의 양 등에 의해 좌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그 원인들의 영향을 살펴보는 일은 그래핀 물성 제어의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한편, 그래핀을 산업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CVD합성법이나 화학적인 박리법 등과 같은 대량의 그래핀 제조법이 요구되며, 이러한 그래핀들의 산화거동을 알아 보는 것은 향후 산화 분위기에서 사용될 그래핀 응용소자 개발에 유용한 정보가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그래핀 층수에 따른 산화 거동을 연구하기 위하여, 그래핀을 산화시킨 후 Raman 분광법과 AFM 분석을 통하여 광학적, 구조적 변화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그래핀은 니켈박막을 촉매층으로 이용한 실리콘 웨이퍼에 메탄가스를 원료가스로 한 CVD법으로 합성하였다. 효율적인 산화처리를 위해 합성한 그래핀은 홈이 있는 기판 위에 전사하여 산화반응시 기판의 영향을 제거하였다. 산화처리는 열 산화처리 및 플라즈마 산화처리로 나누어 각각 실시하였으며, 5분간의 산화처리와 특성평가를 반복적으로 실시하였다. 한편, 층수에 따른 산화 거동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합성한 그래핀 내에 존재하는 단층영역, 수층영역, 다층영역을 지정하여 매회 동일영역을 분석함으로써 산화 거동을 분석하였다.

  • PDF

열/플라즈마 산화를 이용한 그래핀 내산화 특성 연구

  • Lee, Byeong-Ju;Jeong, Gu-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2a
    • /
    • pp.78-78
    • /
    • 2010
  • 그래핀(Graphene)은 탄소원자가 육각형 벌집(honeycomb)구조로 빼곡히 채워진 2차원의 단원자 층으로 역학적 강도와 우수한 화학적/열적 안정성 및 흥미로운 전기 전도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그래핀의 우수한 특성으로 인하여 현재 기초연구뿐만 아니라 응용연구 등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그래핀의 우수한 물리적 특성들은 그래핀의 층수, 모서리(edge)구조, 결함(defect), 불순물 등에 의해 크게 좌우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그래핀의 구조 및 결함정도를 자유로이 제어하고 그에 따르는 특성 변화를 관찰하는 것은 기초연구의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향후 그래핀 응용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래핀의 내산화 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그래핀을 열 및 플라즈마 산화 분위기에 노출시킨 후, Raman 분광법을 이용하여 광학적, 구조적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그래핀의 내산화 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래핀은 실리콘 웨이퍼에 전자빔증착법으로 니켈박막을 증착한 후 열화학증기증착법으로 합성하였으며, 메탄가스를 원료가스로 $900^{\circ}C$ 전후에서 합성하였다. 합성한 그래핀은 산화반응 시 기판의 영향을 제거하기 위하여 트렌치 구조의 기판 위에 전사(transfer)함으로써 공중에 떠있는 구조를 구현하였다. 열 산화의 경우, 합성한 그래핀을 대기분위기의 고온($500^{\circ}C$) 챔버에 넣고 처리시간에 따른 특성변화를 살펴보았다. 플라즈마 산화의 경우는 공기를 이용하여 직류플라즈마를 발생시킨 후 0.4 W의 낮은 플라즈마 파워를 이용하여 플라즈마 산화처리와 특성평가를 매회 반복하였다. 그래핀의 특성분석은 Raman분광기와 광학현미경, 원자힘현미경(AFM) 등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상기 결과들은 향후 산화환경에서의 그래핀 응용소자 개발에 유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합성 그래핀을 이용한 김서림 방지 필름 제작

  • Lee, Byeong-Ju;Jeong, Gu-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8a
    • /
    • pp.357-357
    • /
    • 2011
  • 그래핀은 육각형 구조로 이어진 탄소원자가 단일층을 형성한 현존하는 가장 얇은 나노물질로서, 면상에서의 우수한 전기적 열적 전도도와 화학적 안정성 등으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이러한 그래핀의 우수한 특성들은 뛰어난 기계적 특성 및 높은 광 투과성과 맞물려 향후 플렉서블 투명전도막 등으로의 응용이 기대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그래핀을 얻는 방법에는 물리 화학적 박리법, 산화규소의 흑연화, 열화학기상증착법(CVD) 등 많은 방법들이 존재하는데, 이중 CVD방법이 대면적으로 두께 균일도가 높은 그래핀을 얻는데 가장 적합한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CVD방법을 이용하여 합성한 그래핀을 투명글래스 위에 전사하는 공정을 통하여 김서림방지(antifogging) 필름을 제작하였고, 그 면 발열특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메탄가스를 원료가스로 합성한 그래핀 투명막은 가시광 영역에서 80% 이상의 투광도와 500~600 ${\Omega}/sq$ 정도의 면저항을 나타내었다. 또한 금 나노입자 또는 플라즈마 도핑 등의 후처리 공정을 통하여 면 발열특성의 향상을 도모하였으나 합성상태의 그래핀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우수한 면발열특성을 나타낸 것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겨울철 자동차 유리표면의 성에 제거 등의 응용에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S-Parameter Extraction of Unilateral Finline Using the Symmetrical Condensed TLM Node (대칭압축 TLM노드를 이용한 단방향 핀라인의 S-파라메터 추출)

  • Kim, Tae-W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elematics and Electronics T
    • /
    • v.36T no.2
    • /
    • pp.63-69
    • /
    • 1999
  • The frequency-dependent characteristics of the finline have previously been analyzed using several frequency domain approaches. But the time domain TLM method presented in this paper is another independent approaches for obtaining frequency domain results for finline. The structure analysed with this algorithm is unilateral finline in WR-62 waveguide enclosures and the symmetrical condensed node based on the properties of Huygen's scattering model is used. From the TLM results, the frequency-dependent scattering parameters of a unilateral finline have been calculated by Fourier transform of the time domain data. The numerical results are in good agreements with other paper, thus demonstrating the validity and usefulness of the proposed metho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