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픽셀피치

Search Result 15,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 Study on the Adequate HD Camera Focal Length in the Broadcasting Studio using LED Video Wall (LED 비디오월을 사용하는 방송환경에서 HD 카메라의 적정 초점거리 연구)

  • Choi, Ki-chang;Kwon, Soon-chul;Lee, Seung-hyun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8 no.5
    • /
    • pp.713-721
    • /
    • 2022
  • In order to use the LED video wall in the broadcasting studio, there are a few things to be aware of. First, since the pixels are closely arranged, a moire phenomenon may occur due to a short arrangement period, and second, the distance between pixels (pixel pitch) may be recorded on the image sensor of the broadcasting camera. When moire occurs or pixel pitch is observed, viewers feel uncomfortable. Moire effect can be reduced by adjusting the shooting distance or angle of the camera, but in order to prevent the pixel pitch from being recorded on the image sensor, secure a sufficient distance between the LED video wall and camera. even when the distance secured, the zoom lens used in the broadcasting studio must be operated by appropriately changing the magnification. If the focal length is changed by changing the magnification to obtain a desired angle of view, the pixel pitch may be unintentionally recorded. In this study we propose the range that the pixel pitch is not observed while changing the magnification ratio of the zoom lens when the distance from the video wall is sufficiently secured. The content was played back on the LED video wall and the LED video wall was recorded on the server using an HD camera equipped with a B4 mount zoom lens

RGB 3 채널에 대한 컬러 수차가 없는 논호겔 라이트필드 기반 컴퓨터 생성 홀로그램 합성

  • Min, Da-Bin;Min, Gyo-Sik;Park, Jae-H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fall
    • /
    • pp.45-48
    • /
    • 2021
  • 본 논문은 RGB 컬러 3 채널에 대해 공유되는 홀로그램 픽셀 피치를 사용하여 3 차원 장면의 라이트 필드 데이터에서 비호겔 기반 컴퓨터 생성 홀로그램(CGH)을 합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비호겔 기반 CGH 기술은 라이트 필드의 광선 각도를 평면 파면의 공간 주파수로 해석하여 주어진 라이트 필드 데이터에서 임의의 반송파로 연속 파면을 생성한다. 그러나 광선 각도와 공간 주파수 관계는 파장에 따라 달라지므로 라이트 필드 데이터에서 공간 주파수 샘플링 그리드가 달라져서 홀로그램 재구성에서 색 수차가 발생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가장 작은 청색 회절각이 라이트 필드의 시야를 커버하도록 모든 색상 채널에 공통적인 홀로그램 픽셀 피치를 설정한다. 그런 다음 라이트 필드를 파란색 파장의 공간 주파수 범위와 빨간색 파장의 샘플링 간격으로 보간하여 모든 색상 채널에 공통적인 공간 주파수 샘플링 그리드를 설정한다. 공통 홀로그램 픽셀 피치 및 라이트 필드 공간 주파수 샘플링 그리드는 홀로그램 재구성에서 색상 수차 또는 라이트 필드에 포함된 정보 손실 없이 컬러 홀로그램 합성을 보장한다. 제안된 방법은 다양한 테스트와 리얼 3D 장면의 컬러 라이트 필드 데이터를 사용하여 검증되었다.

  • PDF

Large Area Spatial Light Modulator Panel for Digital Holography (디지털 홀로그래피를 위한 대면적 공간광변조기 패널 기술)

  • Hwang, C.S.;Kim, Y.H.;Kim, G.H.;Yang, J.H.;Pi, J.E.;Hwang, C.Y.;Choi, J.;Kim, J.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1 no.6
    • /
    • pp.48-56
    • /
    • 2016
  • 디지털 홀로그래피가 아날로그 홀로그래피와 비슷한 품질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1{\mu}m$의 픽셀피치를 가지고 있는 대면적 SLM 개발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대면적 초고해상도 SLM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최근 미세 픽셀 기술이 급격히 발전하고 있는 대면적 지향의 평판디스플레이 기술을 기반으로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디스플레이 기술을 기반으로 스티칭 기술 등의 포토리소그래피 기술과 수직채널 TFT등의 구동 소자 기술, 고굴절율 이방성을 가지는 액정 소재 기술, 모듈 기반의 구동 기술 등을 집약하여 $1{\mu}m$급의 픽셀 피치를 가지는 대면적 초고해상도 SLM을 개발 중이다. 이렇게 개발된 초고해상도 대면적 SLM은 홀로그램 영상 재현 이외에도 다양한 광학 소자로 응용이 기대된다.

  • PDF

CdZnTe Detector for Computed Tomography based on Weighting Potential (가중 퍼텐셜에 기초한 CT용 CdZnTe 소자 설계)

  • Lim, Hyunjong;Park, Chansun;Kim, Jungsu;Kim, Jungmin;Choi, Jonghak;Kim, KiHyun
    •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39 no.1
    • /
    • pp.35-42
    • /
    • 2016
  • Room-temperature operating CdZnTe(CZT) material is an innovative radiation detector which could reduce the patient dose to one-tenth level of conventional CT (Computed Tomography) and mammography system. The pixel and pixel pitch in the imaging device determine the conversion efficiency of incident X-or gamma-ray and the cross-talk of signal, that is, image quality of detector system. The weighting potential is the virtual potential determined by the position and geometry of electrode. The weighting potential obtained by computer-based simulation in solving Poisson equation with proper boundaries condition. The pixel was optimized by considering the CIE (charge induced efficiency) and the signal cross-talk in CT detector system. The pixel pitch was 1-mm and the detector thickness was 2-mm in the simulation. The optimized pixel size and inter-pixel distance for maximizing the CIE and minimizing the signal cross-talk is about $750{\mu}m$ and $125{\mu}m$, respectively.

Study on Increasing the Viewing Angle of the Computer Generated Hologram via Random Pixelated Phase Mask (픽셀화된 랜덤 위상 마스크를 통해 컴퓨터 생성 홀로그램 시야각 확장에 관한 연구)

  • Choi, Woo-Young;Lee, Chang-Joo;Kim, Bum-Su;Oh, Kwan-Jung;Hong, Keehoon;Choo, Hyon-Gon;Park, Jisun;Lee, Seung-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0.07a
    • /
    • pp.311-313
    • /
    • 2020
  • 컴퓨터 생성 홀로그램(CGH)에서 시야각은 매우 중요한 특성이다. 시야각에 따라 홀로그램을 볼 수 있는 영역이 결정되며 시야각을 넘어가게 되면 재구성된 오브젝트가 잘려 보이게 된다. CGH의 최대 시야각은 회절 격자 방정식에 의해 결정이 되며, 해당 수식에 따르면 홀로그램 재생 장치인 공간 광 변조기(SLM)의 픽셀 피치에 반비례한다. SLM의 픽셀 피치를 줄이는 것은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고해상도 랜덤 바이너리 위상 마스크를 SLM에 부착하여 CGH의 시야각을 확장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CGH를 계산하는데 자주 사용되는 반복 푸리에 변환 알고리즘(IFTA)에 위상 평균화 단계를 도입하여 SLM과 위상 마스크간의 픽셀 크기 및 개수의 차이를 극복하였다. 또한 스칼라 회절 이론을 바탕으로 한 홀로그램 시뮬레이션에 제안한 방법을 적용 후 가상 눈 모델을 도입하여 두 개의 물체로 이루어진 홀로그램을 재구성하고 여러 각도에서 관찰하여 시야각이 향상되는것을 검증하였다.

  • PDF

디지털 홀로그래피를 위한 SLM 기술

  • Kim, Yong-Hae;Hwang, Chi-Seon;Chu, Hye-Yong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1 no.2
    • /
    • pp.21-28
    • /
    • 2014
  • 본고에서 디지털 홀로그래피를 위한 SLM중 대표적인 몇 가지 기술에 대한 동향을 살펴보았다. 먼저 SLM픽셀 피치에 따른 홀로그램 영상의 특성에 대해 논의하고, 픽셀화된 SLM으로써 현재 상용화 되고 있는 DMD SLM 과 LCoS SLM의 특성에 대해 살펴 보았다. 픽셀화 되지 않은 SLM 인 음향 광학 변조기와 OASLM 에 대해서도 살펴 보았다. 양질의 디지털 홀로그래피를 구현하기 위하여 궁극적으로 필요한 픽셀 피치 1 ${\mu}m$ 이하 SLM 의 개발 현황과 복소 변조 SLM 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A Double Resolution Pixel Array for the Optical Angle Sensor (2배 해상도를 가지는 픽셀 어레이 광학 각도 센서)

  • Choe, Kun-Il;Han, Gun-Hee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D
    • /
    • v.44 no.2
    • /
    • pp.55-60
    • /
    • 2007
  • This paper presents a compact double resolution scheme for the optical angle sensor based on 1-dimensional CMOS photodiode pixel array. All the pixels are divided into the even pixel and the odd pixel groups. The winner take all circuit is provided for each group. The proposed interpolation scheme increases the resolution by 2 from the winner addresses and winner values. The interpolation scheme can be implemented without any additional pixels or winner take all circuits and require only a comparator and a XOR gate. The proposed pixel array chip that has 336 photodiode pixels with $5.6{\mu}m$ pitch was fabricated with $0.35{\mu}m$ CMOS process and was assembled with a $50{\mu}m$ slit to form an angle sensor. The measured resolution is $0.1{\circ}$ with the proposed interpolation. The chip consumes 35mW and provides 8k samples per second.

Technical Considerations for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Digital Holographic TV Broadcasting System (홀로그래픽 TV 방송 시스템 구현을 위한 기술적 고려 요소)

  • Kim, Jae-Han;Moon, Kyung-Ae;Choo, Hyun-Gon;Choi, Jin-Soo;Kim, Jin-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5.07a
    • /
    • pp.441-443
    • /
    • 2015
  • 디지털 홀로그래픽 TV 시스템을 구현하려면 홀로그래픽 정보 획득 장치가 필요한데, 해상도 한계 때문에 홀로그램의 프린지 패턴을 상용 촬상 소자로는 직접 기록할 수 없다. 이를 극복하는 방법으로는 컬러 영상과 거리영상 정보를 얻은 후에 압축을 거쳐 수신 디스플레이단에 전송하고 이 정보로부터 3차원 모델을 형성한 후에 컴퓨터 생성 홀로그램을 생성하고 이를 회절소자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이 현재로서는 현실적인 방법이 될 것이다.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에서는 회절소자인 공간광변조기 성능의 한계 때문에 기존 2DTV와 같은 수준의 디스플레이 구현은 매우 어렵다. 기존 공간광변조기는 픽셀피치가 커서 시야각이 매우 좁으나, 픽셀 크기를 작게 하는 동시에 공간광변조기 면적을 크게 하기에는 기술적인 어려움이 많다. 본 논문에서는 홀로그래픽 TV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기술적으로 극복하고 고려해야 할 주요 요소에 대하여 분석한다.

  • PDF

Network design for correction of deterioration due to hologram compression (홀로그램 압축으로 인한 열화 보정을 위한 네트워크 설계)

  • Song, Joon Boum;jang, Junhyuck;Hwang, Yunseok;Cho, Inj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0.11a
    • /
    • pp.377-379
    • /
    • 2020
  • The hologram data is having a dependence on the pixel pitch of the SLM (spatial light modulator) and the wavelength of light, and the quality of the digital hologram is proportional to the unit pixel pitch and the total resolution. In addition, since each pixel has a complex value, the amount of data in the digital hologram also increases exponentially, and the size is bound to be very large. Therefore, in order to efficiently handle digital hologram files, it is essential to reduce the file size through a codec and store it. Recently, research on enhancing image quality damaged by the codec is actively underway. In this paper, the hologram image of JPEG Pleno, which is the standard hologram data, was used, and the image quality damage that occurs whenthe holographic image is encoded and decoded through the JPEG2000, AVC, and HEVC codec is enhanced with a deep learning network to find out whether the image quality can be improved. we also compare and quantitatively find out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image quality.

  • PDF

A Design of Embedded LED Display Board Module and Control Unit which the Placement of Pixels is Free (픽셀 배치가 자유로운 임베디드 LED 전광판 모듈 및 제어장치 설계)

  • Lee, Bae-Kyu;Kim, Jung-Hwa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
    • v.50 no.10
    • /
    • pp.135-141
    • /
    • 2013
  • In this paper, we installed three high brightness red, green, and blue LED in one socket and made one pixel unit. And we also developed the full-color display board module and control unit which can express various images such as text, graphics, video image with the combination of pixel units and a number of modules. LED display driver module have a driver circuit within the combination of the RGB pixel dot on unit area. These modules of the existing form can be high priced because of implementation a fixed resolution in specific space and installation space. To overcome these shortcomings, we developed a LED driver and LED pixel modules free in array at random pitch intervals. Display board module of this paper enabled to display smoothly video image which have many data processing quantity through dragging data speed up 36 frames per second. Also there are an effect which is provided more clear image because of improving the flickering of the existing display boa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