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픽셀기반

Search Result 674,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Color Pixel Selection For Color Image Compression Using Intensity Variation (색상 이미지 압축을 위한 밝기 변화량 기반의 색상 픽셀 선택)

  • Hyun, Dae-Young;Lee, Sang-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1.07a
    • /
    • pp.589-591
    • /
    • 2011
  • 채색화 기법은 일부 픽셀의 색상 정보를 이용하여 흑백의 이미지에 색상 정보를 추가하는 기법이다. 이러한 채색화 기법을 기반으로한 색상 이미지 압축기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색상 평면에서 대표적인 픽셀들을 소스 픽셀로 자동적으로 선택하고, 이 소스 픽셀들의 위치와 색상 정보만을 디코더에 압축하여 전송한다. 본 논문에서는 밝기 변화량을 이용하여 소스 픽셀의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디코더에서도 동일한 작업으로 소스 픽셀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소스 픽셀에 대한 위치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비트량을 줄임으로써 압축 효율을 높였다. 제안알고리듬은 디코더에서 색상정보의 복원에 이용하는 채색화 기법의 특성에 맞추어서 밝기가 평평하고 넓은 영역에서 먼저 소스픽셀을 선택하여, 이웃의 비슷한 밝기를 가지는 픽셀에 대한 색상 정보를 효율적으로 압축한다.

  • PDF

A Study on Improved Edge Detection Method of Aerial Image Using Histogram Computation (Histogram 연산을 이용한 항공 촬영 영상의 향상된 Edge Detection 방법 연구)

  • Shin, Kwang-Seong;Shin, Seong-Yoon;Lee, Hyun-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8.05a
    • /
    • pp.137-138
    • /
    • 2018
  • 이미지의 픽셀 기반 처리는 한 픽셀의 값을 변환하고 다른 픽셀의 값에 관계없이 현재 픽셀의 값에 따라 변환하는 프로세스를 의미한다. 픽셀 기반 처리는 이미지 변환, 이미지 향상 및 이미지 합성과 같은 많은 분야에서 가장 기본적인 작업이다. 본 논문에서는 히스토그램 연산과 같은 영상의 전처리 과정이 경계 검출 결과에 미치는 상호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 픽셀 기반의 처리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영상의 윤곽을 찾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Comparison of object oriented and pixel based classification of satellite data for effective management of natural resources (천연 자원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위성자료의 객체 및 픽셀기반의 비교)

  • Jayakumar, S.;Heo, Joon;Sohn, Hong-Gyoo;Lee, Jung-Bin;Kim, Jong-S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07.04a
    • /
    • pp.215-218
    • /
    • 2007
  • 이 논문은 고해상도 Quickbird 영상을 이용하여 세부레벨계획을 위한 토지피복분류를 수행하였으며 고해상도 영상을 이용한 토지피복분류를 위하여 객체기반분류와 ISODATA 기법을 적용하였다. 객체기반분류는 eCognition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였으며 ISODATA 기법의 토지피복분류 결과와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대상지역은 인도의 Sukkalampatti이라 하는 작은 유역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고해상도 영상의 사용으로 토지피복분류에 있어서 공간 해상도에 따른 토지피복의 세부레벨분류 정확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이점을 확인 할 수 있으며 또한, 객체기반분류와 ISODATA 기법의 분류 결과는 eCognition을 사용한 객체기반 토지피복분류결과가 ISODATA의 픽셀기반의 분류방법보다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 PDF

An Efficient Edge Detection Technique for Separating Regions in an Image (영상내에서 영역 구분을 위한 효율적인 경계검출 기법)

  • Shin, Kwang-seong;Shin, Seong-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21.05a
    • /
    • pp.359-360
    • /
    • 2021
  • The pixel-based processing of an image refers to a process of converting a value of one pixel only depending on the value of the current pixel, regardless of the value of another pixel. Pixel-based processing is used as the most basic operation in many fields such as image conversion, image enhancement, and image synthesis. There are processing methods such as arithmetic operation, histogram smoothing, and contrast stretching. In this paper, in order to clearly distinguish the tidal flat region from the tidal flat image of the west coast taken with a drone, we seek a method to find an efficient outline using pixel-based processing in the boundary detection part of the pre-processing process.

  • PDF

Image Edge Detector Based on a Bump Circuit and the Neighbor Pixels (Bump 회로와 인접픽셀 기반의 이미지 신호 Edge Detector)

  • Oh, Kwang-Seok;Lee, Sang-Jin;Cho, Kyoungrok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
    • v.50 no.7
    • /
    • pp.149-156
    • /
    • 2013
  • This paper presents a hardware edge detector of image signal at pixel level of CMOS image sensor (CIS). The circuit detects edges of an image based on a bump circuit combining with the pixels. The APS converts light into electrical signals and the bump circuit compares the brightness between the target pixel and its neighbor pixels. Each column on CIS 64 by 64 pixels array shares a comparator. The comparator decides a peak level of the target pixel comparing with a reference voltage. The proposed edge detector is implemented using 0.18um CMOS technology. The circuit shows higher fill factor 34% and power dissipation by 0.9uW per pixel at 1.8V supply.

An Efficient Method to Combine PatchMatch-Based and Segmentation-Based Dense Depth Maps (패치매치 기반 및 분할 기반 조밀 깊이지도의 효율적인 결합 방법)

  • Hanshin Lim;Jeongil Se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2.11a
    • /
    • pp.161-163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패치매치 기법 및 분할 기법의 조밀 깊이지도들의 효율적인 결합을 통해 기존의 패치매치 기반의 방법들이 낮은 깊이값 추정 정확도를 보인 영역들인 텍스처가 부족한 영역과 기존의 분할 기반 방법들이 깊이값 추정에 한계를 보인 세밀한 영역에서의 깊이값 추정 정확도를 동시에 높이고 고품질의 조밀 깊이지도를 얻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제안한 방법에서는 신뢰지도를 바탕으로 패치매치 기법의 조밀 깊이지도, 조밀 노말지도와 분할 기법의 조밀 깊이지도, 조밀 노말지도의 초기 결합 깊이지도 및 초기 결합 노말지도를 생성한다. 이후 각 픽셀에서 원래 픽셀과 주변 픽셀에서의 깊이값, 노말값들로 업데이트를 위한 후보들을 만든다. 이후 각각의 후보들에 대해서 깊이값, 노말값, 컬러값들을 바탕으로 비용을 계산한다. 이후 가장 최적의 비용을 가지는 후보값으로 각 픽셀의 깊이값과 노말값을 업데이트한다. 이를 통해 패치매치 기법 및 분할 기법의 조밀 깊이지도들의 장점을 합친 결합 조밀 깊이지도를 생성한다.

  • PDF

Superpixel based foreground object detection from a video sequence (수퍼픽셀을 이용한 동영상에서의 전경 객체 검출)

  • Nam, Jinwoo;Yang, Seungjoon;Ko, Eunjin;Jang, Jonghyun;Sim, Jae-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2.07a
    • /
    • pp.66-67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고정된 카메라로 촬영한 동영상에서 수퍼픽셀(superpixel)을 이용하여 전경 객체 영역을 효과적으로 검출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픽셀 기반 전경 객체 검출 기법들은 단위 픽셀에 대한 전/배경 판단을 수행하므로 실제 전경 객체 영역에 대한 정확한 검출이 어려운 단점을 지닌다. 수퍼픽셀은 성질이 유사한 픽셀들의 집합을 의미하며 영상의 과도한 분할에 주로 사용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수퍼픽셀을 이용하여 동영상의 각 프레임을 과도 분할하고, 분할된 각각의 수퍼픽셀을 전경 객체와 배경의 판단 단위로 이용한다. 제안하는 알고리듬을 적용하여 실험한 결과 기존의 픽셀 단위 검출 기법에서 나타났던 오검출을 줄임과 동시에 전경 객체의 형태를 보다 충실하게 검출함을 확인 할 수 있다.

  • PDF

Background Subtraction based on GMM for Night-time Video Surveillance (야간 영상 감시를 위한 GMM기반의 배경 차분)

  • Yeo, Jung Yeon;Lee, Guee Sang
    • Smart Media Journal
    • /
    • v.4 no.3
    • /
    • pp.50-55
    • /
    • 2015
  • In this paper, we present background modeling method based on Gaussian mixture model to subtract background for night-time video surveillance. In night-time video, it is hard work to distinguish the object from the background because a background pixel is similar to a object pixel. To solve this problem, we change the pixel of input frame to more advantageous value to make the Gaussian mixture model using scaled histogram stretching in preprocessing step. Using scaled pixel value of input frame, we then exploit GMM to find the ideal background pixelwisely. In case that the pixel of next frame is not included in any Gaussian, the matching test in old GMM method ignores the information of stored background by eliminating the Gaussian distribution with low weight. Therefore we consider the stacked data by apply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old mean and new pixel intensity to new mean instead of removing the Gaussian with low weight. Some experiments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background modeling method shows the superiority of our algorithm effectively.

Super-Pixels Generation based on Fuzzy Similarity (퍼지 유사성 기반 슈퍼-픽셀 생성)

  • Kim, Yong-Gil;Moon, Kyung-Il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7 no.2
    • /
    • pp.147-157
    • /
    • 2017
  • In recent years, Super-pixels have become very popular for use in computer vision applications. Super-pixel algorithm transforms pixels into perceptually feasible regions to reduce stiff features of grid pixel. In particular, super-pixels are useful to depth estimation, skeleton works, body labeling, and feature localization, etc. But, it is not easy to generate a good super-pixel partition for doing these tasks. Especially, super-pixels do not satisfy more meaningful features in view of the gestalt aspects such as non-sum, continuation, closure, perceptual constancy. In this paper, we suggest an advanced algorithm which combines simple linear iterative clustering with fuzzy clustering concepts. Simple linear iterative clustering technique has high adherence to image boundaries, speed, memory efficient than conventional methods. But, it does not suggest good compact and regular property to the super-pixel shapes in context of gestalt aspects. Fuzzy similarity measures provide a reasonable graph in view of bounded size and few neighbors. Thus, more compact and regular pixels are obtained, and can extract locally relevant features. Simulation shows that fuzzy similarity based super-pixel building represents natural features as the manner in which humans decompose images.

Exemplar-based image inpainting method using directional information of pixel gradients (픽셀 그레디언트의 방향성 정보를 이용한 예제기반 이미지 인페인팅 방법)

  • Lee, Hyunhyung;Chung, Byungjin;Yim, Cha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04a
    • /
    • pp.848-850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픽셀 그레디언트의 방향성 정보를 이용하여 복원하는 예제기반 인페인팅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에서는 영상 내에서 픽셀 그레디언트의 방향성을 검출하여 강도가 높은 그레디언트를 가지는 픽셀들을 먼저 복원하는 특징을 가진다. 지역적인 그래디언트의 특성을 이용하여 복원 영역의 연결성을 높이고 에러의 파급 효과를 줄임으로써, 기존의 예제기반 인페인팅 방법보다 개선된 결과를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