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피브린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31초

피브린의 무게측정에 의한 새로운 트롬빈활성측정법 (The Novel Assay Method for Thrombin by Weighing Fibrin Clot)

  • Park, Inshik;Kim, Gi-Nahm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441-444
    • /
    • 2004
  • 본 연구는 피브린의 무게를 측정하는 방법에 의하여 간단하고 단순하게 트롬빈활성을 측정하는 방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 새로운 트롬빈측정 법은 트롬빈이 기질인 피브리노겐과 반응 후 생성된 피브린의 무게를 측정한다. 피브린의 생성은 사용한 트롬빈의 효소활성, 반응온도, 반응시간 및 원심분리의 시간에 의존하였다. 피브린의 생성은 37$^{\circ}C$에서 트롬빈활성이 1.0 unit/ml 이내, 4.0mg/ml의 피브리노겐 농도 및 반응시간이 5분 이내에는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다. 그리고 생성된 피브린은 3,000$\times$g에서 5분간 원심분리의 경우에 안정하였다. 이 새로운 피브린 측정 법은 트롬빈을 저해하는 천연물질을 탐색하는데 유행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PLGA의 염증완화에 대한 피브린의 효과 ; In vivo 연구 (Reduction of Inflammatory Reaction of PLGA Using Fibrin; in vivo Study)

  • 김수진;홍현혜;김순희;김혜린;김세호;강길선
    • 폴리머
    • /
    • 제34권1호
    • /
    • pp.63-68
    • /
    • 2010
  • PLGA는 미국 식품의약품안전청(FDA)의 승인을 받은 합성고분자로서 생체재료로 널리 쓰이고 있다. 하지만, 분해산물인 산으로 인하여 염증반응을 일으키고, 독성물을 생산하여 세포증식률의 감소를 야기시킨다고 보고된바 있다. 이러한 PLGA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생체재료인 피브린을 사용하였는데, 피브린은 피브리노겐의 풍부함과 이들의 정제가 비교적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PLGA의 염증완화에 대한 피브린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피브린 첨가에 따른 PLGA 다공성 지지체에 염증의 발현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RT-PCR을 수행하였고 지지체와 조직 간의 상호작용을 통한 염증세포의 침윤과 대식세포 발생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H&E와 ED-1 염색을 수행하였다. 위 실험결과 천연재료인 피브린이 PLGA의 이물반응을 감소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PLGA/피브린 지지체가 늑연골 세포의 부착과 성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LGA/Fibrin Scaffolds on Attachment and Proliferation of Costal Cartilage Cells)

  • 송정은;이유정;이윤미;조선아;장지은;이동원;강길선
    • 폴리머
    • /
    • 제37권2호
    • /
    • pp.141-147
    • /
    • 2013
  • Poly(lactide-co-glycolic acid)(PLGA)는 좋은 기계적 성질과 생분해성으로 약물전달시스템 또는 조직공학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낮은 세포 부착률을 가지고 있어 피브린을 첨가하여 이를 보완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지지체는 트롬빈과 피브리노겐, 그리고 세포을 혼합시킨 후 PLGA 지지체 위에 도포시켜 제조하였다. 세포의 부착 및 증식률을 측정하고자 PLGA/피브린 지지체에 늑연골 세포를 파종 후 1, 3일 및 7일 후 SEM과 MTT 분석을 통하여 측정하였으며, 세포외기질 형성에 미치는 피브린의 영향을 확인하고자 세포를 파종 후 누드마우스에 이식하여 GAG 및 콜라겐 합성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피브린이 혼합된 PLGA 지지체가 생체 내 외 환경에서 세포의 부착 및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PLGA/피브린 지지체가 기존의 PLGA 지지체와 비교하여 탁월한 세포 성장률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피브린과 SDF-1을 사용한 방사성뼈괴사의 효용성연구 (Efficacy Study of Osteradionecrosis Using Fibrin and SDF-1)

  • 정홍문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799-805
    • /
    • 2022
  • 뼈 조직을 포함한 인체조직의 방사선 치료는 정상적인 조직 재생에 부작용을 수반한다. 왜냐하면, 방사선 조사는 조직을 구성하는 기저세포를 포함한 재생에 필수역할을 하는 줄기세포에 치명적인 파괴 작용을 수반하기 때문이다. 이번 연구는 마우스의 두정부상에 인위적인 방사성뼈괴사 모델을 구현한 후 뼈 재생에 관하여 실험하였다. 뼈 재생 실험 재료는 마우스 두정부위 방사선 뼈 괴사를 극복하기 위해 생체재료로 널리 사용 중인 피브린 지지체 그리고 손상된 장기치료제로 사용 중인 SDF-1(Stromal cell-Derived Factor-1)을 혼합하여 마우스 두정 부위의 방사선 뼈 괴사 부위의 뼈 재생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피브린 지지체를 SDF-1(1 ㎍/ml)의 농도는 뼈 조직의 상승효과를 기대하기 위해 제작하였다. 실험은 마우스 두정 부위에 방사선 뼈 괴사 모델을 만든 후 피브린지지체와 혼합된 SDF-1을 편입하여 뼈 재생 초기 단계인 4주내의 재생효과를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피브린지지체와 SDF-1의 혼합사용은 방사성 뼈 괴사한 부위의 뼈 재생 효과 가능성이 있는 후보물질이라 사료된다.

방사성골괴사 극복을 위한 피브린지지체의 효용성 평가 (Evaluation the Effectiveness of Fibrinogen to Overcome Bone Radiation Damage)

  • 정홍문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539-545
    • /
    • 2021
  • 방사선 치료는 방사선 부작용을 수반한다. 특히 혈관계의 장해를 수반하게 된다. 따라서 방사선의 조사가 이루어진 뼈의 재생부위에는 산소와 영양분 결핍이 발생된다. 결국에는 뼈를 재생할 수 없는 방사성골괴사 (osteoradionecrosis)가 세포 환경적으로 만들어 진다. 전례연구에 따르면 방사성골괴사 상태를 극복하기 위해 골형성 단백질-2 (Bone Morphogenetic Protein-2)를 사용한다. 이번 연구에서는 쥐의 두정부에 방사선 조사 후 뼈의 재생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생체재료인 피브린 지지체에 골형성 단백질-2 를 처리하여 방사성 골괴사 부위에 이식한 후 뼈의 재생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몇 주부터 뼈 재생 효과가 발생되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에 따르면 방사선이 조사된 쥐의 두개골 결손모델에서는 4 주초기 뼈 형성 기간 보다는 후반 뼈 형성시기인 8 주가 지나야 뼈 형성의 효과가 발생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더군다나 쥐의 두 개부 결함 모델에서 피브린 지지체의 재생 뼈 형성은 결손 조직의 내부에서부터 형성되는 결과를 얻었다.

Skin regeneration by spray of fibrin gel containing keratinocytes and epidermal growth factor

  • Gwak, So-Jung;Kim, Sang-Soo;Choi, Cha-Yong;Kim, Byung-Soo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3년도 생물공학의 동향(XIII)
    • /
    • pp.356-358
    • /
    • 2003
  • 각질형성세포의 배양법이 개발 후 피부 결손 부위의 치료에 인체 각질형성세포를 배양하여 얻어진 표피를 이식하거나 세포부유물을 도포하는 기존의 방법들은 trypsin 처리 과정을 거치면서 배양된 세포의 부착능력을 가진 단백질이 손상되어 성공적인 피부 재생이 불가능하다. 이 연구에서는 면역결핍 생쥐 모델에서 인간 피부 각질형성에포와 EGF-피브린 고분자 혼합물을 분사하여 피부의 전층 상처를 재생하였다. 조직학 검사와 면역화학검사를 통하여 각질형성세포와 EGF-피브린 고분자를 함께 분사한 경우 이식된 인간 표피세포에 의한 빠른 표피재생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피부 재생술은 기존의 배양된 인공피부 sheet의 이식을 이용한 피부재생법에 비해 여러 가지 장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앞으로 화상이나 피부궤양과 같은 피부결손의 효율적인 새로운 치료법으로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 PDF

폐렴에 합병된 기관지 늑막강루에서 기관지 내시경을 이용한 비침습적 치료 -1예 보고 (A Case of Bronchoscopic Treatment of a Bronchopleural Fistula Accompanied by Pneumonia)

  • 김형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3권6호
    • /
    • pp.507-510
    • /
    • 2007
  • 폐렴의 합병증으로 생긴 기관지 늑막강루의 치료로 최근 들어 비침습적 방법으로 기관지 내시경을 이용한 치료가 보고되고 있지만 그 사용 물질 및 방법은 다양하다. 본 증례에서는 혈관 폐쇄용 코일과 피브린 글루를 사용하여 굴곡형 기관지내시경을 이용하여 치료하였다. 기관지 늑막강루의 크기가 크지 않고 말초 기관지에 위치한다면 본 증례의 치료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In vivo와 in vitro에서 김치 및 김치재료의 피브린 분해활성 (The Fibrinolytic Activity of Kimchi and its Ingredients in vivo and in vitro)

  • 송영옥;김미정;송영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633-638
    • /
    • 1998
  • Fibrionolytic activity(FA) of kimchi in rat and FAs of water and methanol extracts of kimchi ingredient were determined using fibrin plate method to see where the active principles for FA are present in kimchi. Nine Sprague-Dawley per each group were fed diet containing 3, 5 or 10% of freeze dried kimchi for 6 weeks. The FA of plasma obtained from 10% kimchi group showed stronger FA than that of control. FAs of 3 and 5% kimchi group were not noticeable. FA from methanol extract of kimchi was approximately 6 times higher than that from water extract assuming that the active material may be present in a fat soluble fraction. From water extract of kimchi ingredients, dropwort, green onion, radish and baechu showed FA in descending order. And from methanol extracts, red pepper powder, radish, green onion and baechu showed FA in decending order. The Fa of methanol extract of red pepper powder was the most noticeable among samples.

  • PDF

관절원판 절제술후 중간삽입물 고정에 피브린 접착제의 응용 (APPLICATION OF FIBRIN ADHESIVE IN DISK REPLACEMENT AFTER MENISCECTOMY)

  • 정훈;김형근;김영수;유기준;안병근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4권3호
    • /
    • pp.175-184
    • /
    • 1992
  • Meniscectomy is indicated for the internal derangement of disk with perforation and gross morphological changes, nonreactive to conservative treatment procedures. After the meniscectomy, permanent disk replacement can be followed. Variable materials have been introduced for disk replacement. Of them, relatively harder replacing materials should have been fixed with surgical wire only. This poor fixation method provide inadequate retentive force and conclusively can be attributed to postoperative noise, poor prognosis. We tried to use biocompatible fibrin adhesive in order to obtain additional fixation force in the method above mentioned and treated two patients with the late stage of internal derangement of disk In both cases, satisfactory results were obtain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