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프로젝트 매니저

검색결과 21건 처리시간 0.037초

프로젝트 경험이 프로젝트 성과에 미치는 영향 (Project Experience and its Impact on Project Performance)

  • 유건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365-373
    • /
    • 2014
  • 탐색은 도전적인 업무 환경을 제공하지만, 높은 수준의 복잡성과 모호성을 동시에 제공한다. 그에 반해, 활용은 덜 도전적인 업무 환경을 제공하며, 낮은 수준의 복잡성과 모호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두 활동의 특성을 고려해 보면, 두 가지 활동을 동시에 프로젝트 매니저들에게 할당하는 것은 가장 좋은 프로젝트 작업 환경을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168명의 프로젝트 매니저들의 프로젝트 데이터를 바탕으로 로짓 회귀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한 결과 활용 프로젝트 경험이 있는 매니저들은 활용 프로젝트에서 높은 성과를 보였고, 활용과 탐색 프로젝트 경험이 있는 매니저들은 프로젝트의 종류에 관계없이 높은 프로젝트 성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CEO지원을 조절효과로 프로젝트 매니저 역량이 컨설턴트의 윤리적 태도와 컨설팅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Effects of a Project Manager's Competency on a Consultant's Ethical Attitude and the Consulting Achievement with the Regulation Effects of CEO Support)

  • 신동주;유연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5호
    • /
    • pp.191-201
    • /
    • 2014
  • 본 연구는 경영컨설팅 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컨설팅 수진기업의 프로젝트 매니저 역량과 컨설턴트의 윤리적 태도, 컨설팅 프로젝트 성과와의 관계에 대해 그 중요성을 검증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컨설팅 수진기업의 프로젝트 매니저가 지닌 역량이 컨설턴트의 윤리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검증하였으며, 컨설턴트의 윤리적 태도는 컨설팅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검증하였다. 또한, 프로젝트 매니저의 역량과 컨설팅 성과와의 관계에 해당기업 최고경영자의 지원이 조절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CEO 의지와 지원수준에 따라 컨설팅 성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과 프로젝트 매니저의 역량이 컨설팅 성과에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컨설턴트의 역량이 컨설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PM역량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act of Consultant's Competencies on Consulting Performance of Business Consulting: Moderating Effect of Project Manager's Competencies)

  • 이병진;장성호;이종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9권6호
    • /
    • pp.255-266
    • /
    • 2011
  • 본 연구는 기업의 컨설팅 성과에 있어서 컨설턴트의 역량이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 알아보고 이러한 관계에 있어서 프로젝트 매니저의 역량이 얼마나 조절효과가 있는가를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해 보았다. 결과적으로 프로젝트 매니저의 역량을 중요한 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중소기업의 프로젝트의 규모적인 한계로 인해 관리능력은 유의하지 않은 결과가 나타났다.

창업지원 매니저의 역량 특성이 창업지원단 몰입도와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매니저의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Start-up Accelerating Manager's Enabling Characteristics on Their Full Commitment & Performance to Start-up Support Groups: In The Center of Manager's Self-Efficacy)

  • 강혜정;양영석;김명숙
    • 벤처창업연구
    • /
    • 제17권1호
    • /
    • pp.13-28
    • /
    • 2022
  • 2011년 이후, 정부의 창업지원 사업 규모가 급속히 커지며 이를 전담하는 창업지원 매니저의 규모 또한 증가하며 이들에 대한 역할과 역량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지만, 창업지원 매니저들에 대한 역할과 역량에 대한 구체적인 개념이나 창업지원 매니저의 요구역량과 보유역량 간의 간극이 커지며 자기효능감이 감소하고 이것이 창업지원단의 몰입도와 업무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으로 이어지는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창업지원 매니저의 정의와 창업기업의 성공적인 사업수행을 돕기 위해 요구되는 핵심역량에 따라 매니저가 조직에 몰입할 수 있는 정도와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분석하는 것에 초점 두며, 이를 통해, 창업지원 매니저의 역량 강화 방안을 제시하여 이들의 자기효능감을 배가하여 창업지원단 업무에 몰입하고 성과를 높이기 위한 정책시사점 도출과 이를 통해 향후 창업지원 매니저 관련 연구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연구는 크게 네 가지의 연구를 수행하였고 각각의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관련 법률적 근거를 가지고 창업지원 매니저에 대한 개념을 제시하였다. 둘째, 창업지원 사업 운영에 있어 창업기업의 성공적인 육성을 위해 매니저에게 요구되는 핵심역량이 무엇인지 도출하였다. 셋째, 창업지원 매니저의 핵심역량에 대한 요인들을 나열하고, 창업보육 매니저들과의 비교를 통해 창업지원 매니저의 역량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넷째, 실증분석을 통해 정부 지원사업의 현실에 따른 창업지원 매니저의 고용 형태, 근무 환경 및 상황 등 창업지원단 조직몰입도와 업무성과 등을 자기효능감을 통해 어떠한 영향을 보여주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창업지원 매니저의 차별적 필요역량은 창업자 발굴역량, 프로젝트 관리역량, 검증·보강역량, 투자유치 컨설팅역량으로 정의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창업지원 매니저역량은 업무성과와 창업지원단 몰입도,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자기효능감은 창업지원 매니저의 역량과 업무성과, 창업지원단 몰입도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 결과를 얻었다. 기초적인 업무 지식부터 전문적인 지식 습득을 위한 단계적, 맞춤식, 집중 교육 훈련, 창업자들의 빠른 성장을 위한 액셀러레이터 역량 강화 교육 등 이 뒷받침 되어야 하는 점을 시사점으로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역량 강화 교육 훈련이 이뤄진다면 창업지원 매니저들의 자기효능감은 높아질 것이고 자기효능감이 커질수록 창업지원 매니저는 본인의 역량을 크게 펼칠 수 있고, 이는 조직의 업무성과와 창업지원단 몰입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다. 이론적 기여로는 기존 창업보육 매니저의 역량과는 달리 창업자 발굴역량, 프로젝트 관리역량, 검증·보강 역량, 투자유치 컨설팅역량이라는 새로운 창업지원 매니저역량을 도출하였다.

영국지역상권활성화정책:영국TCM과BID

  • 서용구
    • 한국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유통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463-485
    • /
    • 2005
  • 2000년대 이후 영구 지방 정책의 목표는 지역의 ‘균형 발전’과 ‘지속 가능 발전’을 촉진하는 것이다. 최근 영국에서는 미국에서 도입된 BID 제도가 정부의 적절한 지원과 개발 주체들의 협업의 성공으로 영국 전역에 급속히 퍼지고 있다. 성공사례를 분석한 결과 다양한 프로젝트 참여자들의 이해관계와 참여를 조정하는 ‘프로젝트 매니저’의 역량이 가장 중요하며 영국 TCM과 BID 제도의 핵심은 지역 마케팅(place marketing)이자 지역 브랜딩 (place branding)임을 알 수 있었다. 한국의 경우 영국형 TCM과 BID가 도입되기 위해서는 정보의 섬세한 마스터 플랜과 프로젝트 ‘종합성과평가’(CPA)가 먼저 준비되어야 하며 동시에 지역 마케팅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지금보다 획기적으로 제고 시켜야 한다.

  • PDF

앨범제작을 위한 포토매니저 설계 (A Design of Photo Manager for Album Production)

  • 정병완;한군희;최신형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284-286
    • /
    • 2007
  • 졸업앨범은 한 사진관에서 한 학교를 대상으로 진행하는 프로젝트로 그 수량이나 비용으로 인해 커다란 수확을 사진관이나 인쇄소에 제공하지만, 그만큼 위험요소가 많은 프로젝트이다.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편집한 앨범자료를 인쇄하기 위한 자동조판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본 시스템의 이용분야는 졸업앨범 제작 및 결혼기념용 앨범 및 졸업 작업집 등과 같은 사진을 많이 배치하는 책자를 제작하는 곳에 적당하다.

  • PDF

"최상의 서비스는 최고의 자산가치를 제공합니다"

  • 박병기
    • 주택과사람들
    • /
    • 통권188호
    • /
    • pp.34-35
    • /
    • 2006
  • 국내 주요 건설현장의 현장소장, 프로젝트 매니저, 건축사업본부장 등을 역임해온 김중겸 전무. 그는 풍부한 시공경험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약 11만여 세대의 주택을 공급함으로써 국민 주거생활안정 및 주택산업의 시공 기술력 향상 등 주택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지난 12월 '주택건설의 날' 행사에서 은탑산업훈장을 수훈했다. 영원한 '현대맨', 김중겸 건축사업본부장의 건설 외길 30년을 조명해 보았다.

  • PDF

한국중소기업을 위한 컨설팅서비스의 사후관리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st Management Impact of Consulting Service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 in Korea)

  • 정구상;이성희;김영진;김선아;김태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6호
    • /
    • pp.159-169
    • /
    • 2012
  • 본 연구는 컨설팅서비스 참여주체인 CEO, 프로젝트매니저, 전문컨설턴트, 부서별 부서장들의 역할과 컨설팅성과간의 관계에 있어 사후관리(Post Management)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컨설팅서비스 각 주체와 컨설팅 성과와의 관계에 있어 목표달성을 위한 지속적인 점검 및 관리활동은 궁극적인 컨설팅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쳐, 사후관리의 조절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비즈니스 참여주체별 지속적인 사후관리의 조절효과로 실증 분석함으로서 단기과업으로 인식되었던 컨설팅서비스를 지속가능경영의 실천을 위해 수반되어야 할 지식경영서비스의 중요한 일부분으로서의 역할을 확인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개발자 별 버그 해결 유형을 고려한 자동적 개발자 추천 접근법 (A Technique to Recommend Appropriate Developers for Reported Bugs Based on Term Similarity and Bug Resolution History)

  • 박성훈;김정일;이은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3권12호
    • /
    • pp.511-522
    • /
    • 2014
  • 소프트웨어 개발 및 유지보수 과정에서 여러 종류의 버그가 발생된다. 버그는 소프트웨어의 개발 및 유지 보수 시간을 증가시키는 주요원인으로 소프트웨어의 품질 저하를 초래한다. 버그의 발생을 사전에 완벽하게 방지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대신 버그 질라(Bugzilla), 멘티스BT(MantisGBT), 트랙 (Trac), 질라 (JIRA)와 같은 버그 트래킹 시스템을 이용하여 버그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개발자 또는 사용자가 발생된 버그를 버그 트래킹 시스템에 보고하면, 프로젝트 매니저에 의해서 보고된 버그는 버그 해결에 적합한 개발자에게 전달되어 해결될 때까지 버그 트래킹 시스템에 의해서 추척된다. 여기서 프로젝트 매니저가 버그 해결에 적합한 개발자를 선별하는 것을 버그 분류 작업 (Bug triaging)이라고 하며, 대량으로 발생되는 버그 리포트들을 수동으로 분류하는 것은 프로젝트 매니저에게 있어서 매우 어려운 문제가 된다. 본 논문에서는 버그 트래킹 시스템에 저장된 과거에 해결된 버그 리포트에서 개발자 별 버그 해결 유형을 추출하고, 이를 활용한 버그 분류 작업, 즉 개발자 추천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버그 트래킹 시스템에서 각 개발자가 해결한 버그 리포트들을 분류한 후, 자연 언어 처리 알고리즘과 TF-IDF (Term frequency-Inverse document frequency)를 활용하여 각 개발자 별 단어 리스트를 생성한다. 그 후, 새로운 버그가 발생되었을 때 코사인 유사도를 통해서 생성된 개발자 별 단어 리스트와 새로운 버그 리포트의 단어 리스트를 비교하여 가장 유사한 단어 리스트를 가지는 개발자를 추천하는 방법이다. 두 오픈 소스 프로젝트인 이클립스 JDT.UI와 CDT.CORE를 대상으로 수행한 개발자 추천 실험에서 기계 학습 모델 기반의 추천 방법보다 제안하는 방법이 더 우수한 결과를 얻은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