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Search Result 886, Processing Time 0.05 seconds

Developing a 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for Construction Claims (건설 클레임에 대비한 정보관리시스템 개발)

  • Wang, Hankyeom;Park, Junil;Choi, Jaehyun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9 no.4
    • /
    • pp.70-81
    • /
    • 2018
  • Claim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can have a serious impact on the profitability of the project or can even result in project failure if it fails to take appropriate prevention. In order to properly prevent and respond to the potential claims and legal disputes throughout the project execution, it is necessary to continuously accumulate informations and clearly define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the important activities systematically. Based on these needs, this study develops and verifies the proje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PMIS) that can prevent and respond possible claims for construction projects. Developed system includes such management modules as schedule, cost, PM/CM, design, collaboration, and claims. The system was validated by adopting it to the practical projects. The results showed that information systems tailored to the construction claim need to elevate users' familiarity to be more useful. Besides, the system can be more functional when used by both owners and contractors.

Efficient Transmission & Substation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Based on ICT (ICT 기반의 효율적 송변전 건설 프로젝트 관리방안 연구)

  • Suk, Kwang-Hyun;Min, Byeong-Wook;Hwang, Jeong-Ill;Lee, Seung-Kyun;Lee, Si-You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555-556
    • /
    • 2011
  • 오늘날 전기는 물과 같이 일상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생활 필수품이다. 특히 21세기는 IT, 디지털, 초정밀 산업의 시대로 순간정전에도 민감하게 반응하는 고품질의 전력이 요구되는 시대이다. KEPCO는 세계 최고 수준의 전기품질과 저렴한 요금으로 모든 국민에게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해야 하는 막중한 책임이 있다. 따라서 고품질의 전력을 주요 수요지로 수송하기 위한 송전선로와 변전소의 적기 건설을 위한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프로젝트관리 중요성이 대두되었으며, KEPCO는 경영의 투명성을 제고하고 회사내부의 자원 및 업무 프로세스를 통합관리하고자 도입한 전사적자원관리(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시스템내에 송변전 건설 프로젝트 시스템(PS)을 구축함으로써 송변전건설 프로젝트 관리업무를 ERP라는 통합된 환경에서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른 송변전 건설관련 민원과 각종 건설규제 법률 강화 등으로 보다 효율적이고 통제 가능한 송변전설비 건설프로젝트 관리의 필요성에 대한 요구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KEPCO의 효율적인 송변전 건설사업 공정관리를 위한 ICT기반의 건설 프로젝트 관리 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project management system capable of process management by Activity using PERT/CPM (PERT/CPM을 이용한 Activity에 대한 연결 공정관리가 가능한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Park, Sun-Yi;Park, Hee-Soo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6 no.5
    • /
    • pp.802-807
    • /
    • 2022
  • In projects where mufti-project management is required and processes for production activities are repeated and linked, it is very difficult to input processes for activity repeatedly or analyze loads by process in a method of managing processes step by step. In this paper, based on the definition of activity and project process, the connection process can be automatically created for activity, schedule and resource management for each process, schedule and resource plan can be established for each detailed process, and load analysis can be provided in real time. It presents a project management system that can significantly improve the time and cost of project progress management, predict various problems that may occur during the project, and effectively allocate the necessary amount of resources in the right place.

Decision Support System for R&D Processing and Research Results Using the Web WorkFlow (Web WorkFlow를 이용한 연구개발 공정 및 연구결과물 의사결정지원시스템)

  • 정관성;이용범;장원표;한도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575-578
    • /
    • 2002
  • 원자력 중장기 연구개발 일환으로 수행중인 액체금속로 설계기술개발 프로젝트는 개념 설계분야와 기반기술구축 분야로 구성되어 있는 상호 긴밀한 연계가 강조되기 프로젝트이다. 대과제를 중심으로 각 세부과제 및 분야 내에서 시스템별 인터페이스 등이 종합적으로 관리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는 프로젝트이다. 액체금속로 설계기술개발 프로젝트의 연구생산성 향상을 위해 공정계획을 수립하고, 프로젝트 수행 중에 산출되는 연구결과물을 검증하여, 검증된 자료를 프로젝트 수행원들에게 공유할 수 있게 Web WorkFlow를 이용한 자료 검증/공유시스템을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최종적으로 검증된 자료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활용하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한국원자력연구소에서 개발증인 액체금속로 설계 기술개발 프로젝트를 최적화된 계획 및 관리를 통하여 연구개발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최적의 협업 환경을 제공하는 LG건설의 eWorks21 시스템

  • 박종국
    •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4 no.3 s.15
    • /
    • pp.19-24
    • /
    • 2003
  • 일반적으로 건설 프로젝트는 발주처로부터의 완벽한 주문생산이라는 특성과 서로 다양한 직종의 전문 작업자들 간의 협동이 필수적인 성격을 가지기 때문에, 프로젝트 참여자의 긴밀한 의사소통과 자료 공유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이들 참여자가 지리적으로 분산되어 존재한다는 사실이 비효율의 원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고자 개발되어진 eWorks21은 그 특징상 공동 작업을 요구하는 건설 업무 환경에서 매우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eWorks21은 프로젝트 참여자간의 정보공유를 목적으로 하는 Collaboration 기능, 의사 소통을 목적으로 하는 Communication 기능, 각종 업무 협조 및 상호간의 의견 교환을 목적으로 하는 Coordination 기능, 프로젝트 별로 강한 특성을 지닌 현실에 적용하기 위하여 시스템의 광범위한 설정을 목적으로 하는 Customization 기능의 4가지 큰 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LG건설은 현재 진행하고 있는 모든 프로젝트에 eWorks21시스템을 다수의 프로젝트 이해관계자들 간 활용하고 있으며, 많은 프로젝트에서 다양한 성과를 경험하고 있어 이러한 성공 사례를 공유하고자 한다.

Design of a Project Management Maturity Evaluation Model using Information System Audit Checklists (정보시스템 감리점검항목을 활용한 프로젝트 조직성숙도 평가 모델의 설계)

  • Kim, Yun-Seok;Cho, Eun-Ae;Baik, Doo-Kwon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5 no.2
    • /
    • pp.105-117
    • /
    • 2008
  • Generally, project audit provides the service which accomplishes a project successfully by checking the management activity of information system project, indicating a controversial point and reflecting the improvement issues based on project audit check list. In addition, the projects are managed by using the project management maturity model based on process. However, the effect is not big as we except projects performance of real world. In this pap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 project management maturity evaluation model which is connected with project audit check list and organizational maturity model survey items is designed. Thus, we propose the model which can improve the project performance through the project evaluation of customer's project and development part and the evaluation of organization level as we design that it is possible to not only audit the project but also evaluate it before and after the project.

Web 2.0 Cluster based Process and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Modeling (Web 2.0 Cluster 기반의 공정 및 성과관리 시스템 모델 구축)

  • AHn, Jae-Gyu;Ong, Ho-Kyoung;Kim, Dae-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7.11a
    • /
    • pp.892-898
    • /
    • 2007
  • This study aims to implement an efficient process management system for small and medium sized(local) construction companies and a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 for the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The process management system by Lean Construction is Web 2.0 platform-based and creates clusters with numerous general contractors and sub-contractors, which will enable mutually organic process management. Plus, this system will enable them to compare project performance management by analyzing it during or after a project by collecting and accumulating lots of data occurring in pursuit of a project. These performance management cases will be of help in process planning during similar upcoming projects. This study is expected to somewhat reduce the burden of implementing a complicated process management protocol and system that Korean small and medium sized (local) construction companies experience with their web-based process management, and is supposed to realize accurate performance management with highly reliable data which are significantly accumulated within the database.

  • PDF

컴포넌트 기반의 PMS 설계 및 구현

  • Yeom, Hee-Gyun;Park, Sang-Pil;Hwang, Sun-M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333-336
    • /
    • 2005
  • 기존의 시스템보다 유지, 보수 및 재사용성이 높은 분산시스템인 컴포넌트를 이용하여 프로젝트의 계획과 흐름 등을 관리하는 Project Management System을 구현하였다. PMS는 인트라넷으로 서로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프로젝트의 인원관리 및 일정관리등 프로젝트에 관한 종합적인 관리를 실시간으로 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기존의 다른 시스템과 는 달리 비즈니스로직과 UI로직이 분리 되어있어서 재사용과 시스템아키텍처의 유연성을 높였다. 자기가 원하는 기능이 있는 컴포넌트들을 조립하여 사용하거나, 새로운 기능을 가진 컴포넌트를 추가하여, 기관에 맞는 새로운 시스템을 구축 할 수가 있다.

  • PDF

Maturity model considering the interrelation between software project management areas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관리영역의 상호영향을 고려한성숙도 모델)

  • Jeon, Soon-Cheon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15 no.5
    • /
    • pp.823-832
    • /
    • 2011
  • Recently, as the project becomes larger and the number of project increases by the information system integration in the public and financial sectors, it is necessary to have a proper plan to manage the information system project. There have been many researches about the project management, success elements and failure elements, but the research on the interrelation between project management areas leaves much to be desired. This research deduces the scope, schedule, quality, work force and risk as the project management areas from the preceding research and the questionnaire and interview with PM developers, information system builders and data processing experts. And, it analyzes the interrelation and the relative importance between management areas, classifies the progress of the management areas under plan, implementation and completion stage and presents the frame to evaluate the accomplishment of each progress.

6 Sigma Project Management System (6 시그마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

  • Cho, Se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04b
    • /
    • pp.1167-1170
    • /
    • 2002
  • 기존에 개별 기업들이 사용중인 고객/서버 모델의 6 시그마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들은 각 기업의 업무와 밀접하게 결합되었기 때문에 다른 기업에는 적용될 수 없는 한계를 갖고 인터넷을 통해 접근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소프트웨어 개발 능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에서도 적은 노력으로 6 시그마의 도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각 기업의 업무 환경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기능들을 일반화시킨 웹 기반의 6 시그마 프로젝트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은 웹기반으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인터넷을 통해 언제 어디서든지 접근 가능하여 시간적 공간적 제약성이 없으므로 기업의 업무 효율성을 제고하였을 뿐만 아니라, 상세한 검색 기능을 제공하여 전사적인 지식 자원들의 공유를 통해 비용 절감 및 프로젝트 수행 기간 단축 등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