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프로젝트조직

검색결과 399건 처리시간 0.022초

건설기업 공정관리 패턴의 현황 및 변화 분석 (Patterns and Trends in Schedule Control Practice of Korean General Contractors)

  • 정영수;김희아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88-96
    • /
    • 2011
  • 공정(일정)관리는 가장 기본적인 건설업무기능 중 하나이며, 수십 년 전부터 네트워크 기반의 과학적 관리기법 (CPM, LSM, Simulation 등)이 개발되어 활용되어 왔다. 다양한 네트워크 관리기법과 더불어 공정관리 프로세스에 있어서도 공정표의 위계 및 표준 등의 실무절차가 일반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 건설조직 또는 각 프로젝트 특성에 따라 공정관리의 실무적인 세부기법들은 다소 다르게 적용되며, 이러한 세부기법의 선택적용은 발주방식, 경영전략, 기술전략, 그리고 현장여건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프로젝트 환경에 의하여 영향을 받게 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종합건설업의 기업차원 공정관리 방법을 조사함으로써 현황파악과 함께 변화추세를 분석하였다. 공정관리는 과학적인 '공정관리 기법' 활용과 더불어 포괄적인 '공정업무 체계'가 함께 운영되어야 하며, 본 조사는 후자인 공정관리 체계 관점에서 사업관리 기술 변화를 파악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연구방법으로는, 우선 공정관리의 실무기능을 분류 정의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설문을 작성하여 각 기업의 관리방법을 조사하였고, 마지막으로 설문응답을 분석을 통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총 45개 종합건설기업의 응답결과를 기업규모, 매출특성 등을 기준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Agile 방법론을 이용한 S/W개발 프로세스 및 성숙도 측정 (Measurement of S/W Development Processes and Maturity using Agile Methodologies)

  • 김태달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147-154
    • /
    • 2015
  • 최근 애자일 개발프로세스가 생산성 증대효과, 품질향상, 고객만족 등의 효용성이 입증되면서 프로젝트 추진 시 방법론 선택에 있어 전문가들에게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 시대적 요구와 사용자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방법론 선정과 관련해서, 본 논문에서는 제품 기반의 Cross functional team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안된 방법론이 Feature Team 모델이며, 이 모델이 Cross functional team을 조직하고, 이 팀이 결과물(프로덕트) 단위가 아니라, 기능단위로 여러 프로덕트에 걸쳐서 개발을 진행하는 모델이라는 점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가치-주도형 애자일 기법을 통해 계획-기반형 모델과 차이점을 제시하였다. Agile 성숙도 측정기준을 검토하였으며, PRINCE2 Agile Health-check 항목 연구를 통해 Agile 기법이 프로젝트 착수단계의 요구사항은 확정 본이 아닌 언제라도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을 전제를 해서 객관적인 평가를 받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고 프로젝트 팀 구성에 대해 향후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공공부문 PMO도입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Adapt PMO in Public Sectors)

  • 서배선;황기현;김성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5호
    • /
    • pp.159-169
    • /
    • 2014
  • 공공부문 정보화 프로젝트에 도입하려는 PMO 제도는 전자정부 정보화 프로젝트의 철저한 사업관리를 통해 위험을 방지하고 품질향상을 통해 글로벌 소프트웨어 강국으로서 세계 제일의 스마트 전자정부를 선도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공부문 PMO 제도를 시행하기에 앞서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PMO 도입 행위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공공부문의 PMO 운영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수행은 공공부문의 PMO 도입이 프로젝트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새로운 관리 기술로 판단하여 통합된 신정보기술수용 이론인 UTAUT 모형을 기반으로 공공부문 PMO 도입 행위의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프로젝트관리 성과기대에 대한 PMO 도입 행위의도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MO 도입으로 부가적 성과를 얻고자 하는 노력에 대한 기대는 PMO 도입 행위의도에 대해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PMO 조직활동이 PMO 도입의 촉진조건으로서 PMO 도입 행위의도에 대해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이해관계자 그룹 간 노력에 대한 기대와 촉진조건이 PMO 도입 행위의도 조절효과가 나타날 것이라는 가설 아래 검증을 수행한 결과 각 그룹간 조절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공공부문의 PMO 도입 행위의도에 대해서는 이해관계자 그룹간 공통된 인식을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내 무용영화의 발전 가능성 연구 - '서울무용영화제'와 '댄스필름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Domestic Dance Film's Development - Focusing on 'Seoul Dance Film Festival' and 'Dance Film Project')

  • 이은주;정의숙
    • 트랜스-
    • /
    • 제4권
    • /
    • pp.37-63
    • /
    • 2018
  • 무용과 영상 테크놀러지의 결합으로 시작된 무용영화는 새로운 장르로 자리매김하며 발전되어오고 있다. 해외에서는 이미 1950년대부터 실험적인 무용영화가 창작되었고 댄스필름협회가 조직되었으며 많은 무용영화제가 개최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무용영화라는 장르에 대한 인식과 창작활동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은 얼마 되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서울무용영화제' 개최와 '댄스필름 프로젝트'의 창작적 실험은 국내의 무용영화 발전에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무용영화에 대한 개념과 발전과정, 해외 여러 무용영화제와 '서울무용영화제'의 현황과 특징을 살펴보고, '서울무용영화제'와 '댄스필름 프로젝트'의 역할과 기능, 그리고 이들의 협업으로 인한 기대효과를 분석하며 국내 무용영화의 발전 가능성에 대해 논의했다. '댄스필름 프로젝트'는 댄스필름 제작의 교육과 실험의 장으로, '서울무용영화제'는 무용영화 제작자 발굴, 작품 상영, 관객과의 대화, 국제교류, 유통 등의 플랫폼이 된다. 무용영화제는 무용영화의 과거와 현재의 흐름을 인식하고 미래를 전망해 볼 수 있는 살아있는 컨텐츠로서의 가치를 내재하고 있다. 이 두 단체의 상생과 발전은 국내 무용영화 발전에 긍정적인 역할을 다 할 것이라 기대된다.

  • PDF

파키스탄 Gulpur 수력발전 현장의 Best Practices 소개 (Introduction of the Best Practices in the Pakistan Gulpur HEPP)

  • 장옥재;홍원표;채희문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216-217
    • /
    • 2022
  • Gulpur 수력발전 프로젝트는 전력난을 겪고 있는 파키스탄에 102 MW 규모의 수력발전소를 건설하여 30년 동안 운영 관리한 후 파키스탄 정부로 양도하는 IPP(Independent Power Producing) 형식의 투자사업이다. 남동발전과 DL E&C, 롯데건설이 Sponsor로서 출자한 자본금과, ADB, IFC, K-EXIM 등의 대주단로부터의 차입금을 재원으로 하여 소요 사업비를 조달하고 사업을 개발하였다. DL E&C와 롯데건설이 EPC(Engineering, Procurement, Construction)를 수행하였고, 이산이 Design consultant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Gulpur 수력발전 프로젝트의 발전형식은 수로식(run-of-river)으로 201 m3/s의 발전유량과 102 MW의 발전 시설용량을 이용하여 연평균예상발전량은 398 GWh이다. 주요 구조물로는 설계 재현빈도 1년의 유수전환시설(가물막이댐 & 가배수터널)과 콘크리트 중력식댐(H 67 m, L 205 m), 도수터널(D 6.7 m, L 215 m, 2기), 옥외형 발전소 (H 51 m, W 60 m, L 38 m, Kaplan 2기)가 있으며, 2015년 10월 착공하여 2020년 3월 상업발전을 시작하였다. 본 프로젝트는 DL E&C의 첫 번째 EPC 해외수력발전 프로젝트이다. 따라서 프로젝트의 성공적 수행을 위한 경제적 설계, 시공의 효율성 및 안정성 확보 등을 위하여 많은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기술 개선을 이룰 수 있었다. 본고에서는 Gulpur 프로젝트를 통하여 도출된 성공 사례들을 소개 및 공유하고자 한다. 첫 번째로 콘크리트 중력식댐 시공을 위한 유수전환시설의 최적 설계빈도를 산정하였다. 일반적으로 유수전환시설의 규모는 설계기준에 제시된 설계 재현빈도를 이용하는데, 해외 설계기준에서는 10년, 국내 설계기준에서는 1~2년으로 다르게 제시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다. 유수전환시설의 규모는 프로젝트의 경제성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최적 설계빈도의 결정이 필요하며, 위험도분석기법(Risk Analysis)과 기대화폐가치법(Expected Monetary Value)을 이용하여 유수전환시설의 최적 설계 재현빈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분석하였다. 위험도는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으로 산정된 가물막이댐 파괴확률과 재현빈도를 이용하여 산정된 가물막이댐 월류확률을 고려하였으며, 비용 및 피해액으로는 유수전환시설의 공사비, 가물막이댐 파괴시의 재건설비용과 지체보상금, 가물막이댐 월류시의 복구비용을 고려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로, 유수전환시설의 사용기간과 월류시의 복구비용이 유수전환시설의 설계 재현기간 결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월류시의 복구비용이 작을수록 낮은 설계 재현빈도를 선택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유수전환시설의 사용기간이 3 ~ 5년, 복구비용이 0.5 ~ 1.0 mil USD 이하인 조건에서 가물막이시설의 최적 설계빈도는 1년 ~ 2년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수전환시설의 사용기간은 본댐의 규모와 시공기간 등을 고려하여 결정되는 사항으로 설계자가 임의 조정할 수 없지만, 복구비용은 시공 관리자에 따라 결정되는 부분으로, 적극적 홍수 피해 저감 및 복구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프로젝트의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로 프로젝트의 경제성 향상, 홍수기 댐 시공시의 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홍수 조기경보시스템(Early Warning System)을 개발 및 활용하였다. 수로식(Run-of-river) 수력발전댐은 대부분 산악지역에 위치하기 때문에 국지성 강우 및 급한 지형 경사로 인하여 돌발홍수(flash flood)의 발생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시공 중 홍수(월류) 발생을 미리 감지하고 현장에 전파할 수 있는, 수로식(Run-of-river) 수력발전댐 현장을 위한 홍수 조기경보시스템이 필요하며, 이를 리스크 인식, 모니터링 및 경보, 전파 및 연락, 반응 능력 향상의 4가지 부분으로 나누어 구축하였다. 리스크 인식 부분에서는 가물막이댐 월류 발생 상황에 대한 위험도, 취약성, 리스크를 제시하였으며, 모니터링 및 경보 부분에서는 상류 측정수위에서 유도된 현장 예상수위와 실제 현장 측정 수위를 대상으로 경보홍수위와 위험홍수위로 나누어 관리하였다. 전파 및 연락 부분에서는 현장 시공 조직을 활용하여 홍수시를 대비한 비상연락체계도(Emergency communication flow chart)를 운영하였으며, 반응 능력 향상을 위해 비상연락체계도의 팀별 Action plan을 상세화 하였다. 세 번째로 현장의 지질특성과 50여 차례 발파시험으로 현장 고유의 발파진동감쇄곡선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통해 현장의 시공성과 콘크리트 품질 확보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콘크리트댐 공사에서는 제한된 공기 내에 공사를 완료하기 위해 사면부 굴착과 콘크리트 타설이 동시에 수행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신규 콘크리트 타설면 근처에서 발파를 수행하는 경우 발파로 발생되는 탄성파가 일정 수준을 초과하게 되면, 콘크리트 양생에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다수의 현장 발파시험을 통해 발파거리와 최대진동속도의 상관관계 즉, 발파진동감쇄곡선을 도출함으로써 현장의 발파진동특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또한, 기존 연구 논문들을 통해 콘크리트 재령기간 별 안전진동속도를 선정하고, 해당 안전진동속도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콘크리트 타설면과 발파위치의 거리에 따라 1회 발파 가능한 장약량을 산정하여 적용하였다. 이와 같은 체계적인 접근을 통해 콘크리트 타설과 발파 작업 동시 수행에 대한 논란을 해소할 수 있었다.

  • PDF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개선을 통한 프로세스 수준과 성과 향상 방안 (A Study on the Elevation of Software Process Level and Performance through Software Process Improvement)

  • 문송철;김현수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3D권1호
    • /
    • pp.75-86
    • /
    • 2006
  • 소프트웨어 프로세스는 개선되는 추세에 있으나, 그 범위나 접근방법이 제한적인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기반구조를 구축하고 구축된 기반구조를 개선해 나가며 지속적으로 관리, 활용해야 한다. 그러한 기반 구조를 통하여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수행 능력 수준을 높임과 아울러 조직의 프로세스 품질 문화가 합치되어 더욱 소프트웨어 프로젝트 품질과 조직의 프로세스 성과에 향상을 미칠 수 있는지 연구되었다. 연구 결과, 소프트웨어 사업자들이 지금까지 구축된 기술 기반구조와 함께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관리 및 조직 기반구조를 구축하여 근본적인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기반구조를 갖추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기반구조의 수준을 높이며 지속적인 관리활동으로 이어져 진행될 때, 프로세스 수행 능력 수준이 향상되고 프로세스 수행 능력 수준 향상과 더불어 프로세스 품질 문화 수준과의 적합을 통하여 프로세스 수준과 성과가 향상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일학습병행 공동훈련센터 전담인력 조직성과 진단 및 분석 (Analysis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Employees of the Work-Learning Dual System Training Center)

  • 김태성;민준기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99-208
    • /
    • 2023
  • 기존의 일학습병행 사업 성과 분석은 주로 거시적 차원에서 제도 자체의 효과성을 진단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일학습병행의 운영 주체 관점에서 공동훈련센터 전담인력의 조직성과에 초점을 둔 진단조사를 시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공동훈련센터 및 전담인력을 둘러싸고 산재하는 조직관리상의 다양한 이슈들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특히 일학습병행 유형과 전담인력 고용형태에 따라 전담인력이 공동훈련센터를 바라보는 인식 및 태도가 차이남을 확인하였다. 일학습병행 유형 중에서는 전반적으로 IPP형 일학습병행에서 전담인력의 조직성과가 낮게 나타난 반면, 산학일체형 도제학교의 경우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고용형태는 특히 프로젝트 계약직에 대한 제도적 개선의 필요성이 도출되었다.

영화산업의 자본조달구조와 지식축적과정에 대한 공간적 고찰: 한국과 미국 영화산업의 비교를 통하여 (Financing and Knowledge Accumulation in the Film Industry: Spatial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American Film Industry)

  • 정선화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53-485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영화산업이 특정 지역이나 대도시에 집적되어 있다는 기존 연구 결과와 달리 미국 애니메이션 영화산업이 분산되어 나타나고 있는 현상을 포착하고 이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프로젝트 기반 생산으로 이루어지는 영화산업의 생산 특성상 생산의 개시 여부를 결정하는 투자와 생산의 진행과 완료에 해당하는 제작 모두 포괄하고, 각 단계의 가장 핵심적인 자원인 자본과 지식이 반복적으로 동원되고 조직화되는 과정에서 공간적 분포와 특성이 드러난다는 전제 하에 산업의 경제 공간 형성 메커니즘을 자본조달과 지식축적으로 재구성하였다. 이를 토대로 자본조달구조와 지식축적과정 각각을 유형화하여 한국과 미국의 실사영화산업과 애니메이션영화산업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의 실사영화산업과 애니메이션영화산업에서는 외부금융형 자본조달구조와 외부동원형 생산조직 및 지식축적과정이 나타났고 공간적으로도 주요 행위자들이 일정 지역에 모여 있었다. 미국 실사영화산업의 경우 외부 금융형 자본조달구조와 내부금융형 자본조달구조가 양립하고 있었으며, 외부동원형 생산조직 및 지식축적과정이 나타났고 공간적으로도 주요 행위자들이 일정 지역에 모여 있었다. 이와 달리 내부금융형 자본조달구조와 내부활용형생산조직 및 지식축적과정을 채택하고 있는 미국 애니메이션영화산업에 속한 기업들은 집적의 필요를 적극적으로 부정하고 서로 분산되어 나타나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기존 영화산업 연구에 중대한 반론을 제기함과 동시에 그 동인으로서 그간 프로젝트 기반 생산 연구에서 소외되었던 자본조달에 대한 관심을 환기시키고, 지식, 특히 인적자본과 그 외부성에 천착했던 연구에서 벗어나 고정비용 투자를 통한 기술 개발이 산업의 공간적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방송사 지식관리시스템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팀 기반 접근 (Design and Development of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for Broadcasting Stations: Using a Team-based Approach)

  • 이란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415-436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크게 다음과 같은 두 가지 목적을 갖고 있다. 첫째, 지식경영과 지식관리시스템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방송사의 지식경영 및 지식관리시스템 도입을 제안하고, 방송사에 적합한 하부시스템을 갖춘 통합지식관리시스템 구축 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둘째, 조직의 지식관리시스템 설계와 개발을 위한 방법론으로 팀 기반 접근에 대하여 설명하고 지식관리시스템 구축 프로젝트 과정에 대하여 자세하게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방송사의 지식관리시스템 구축에 목적을 두고 이를 위해 6개 방송사의 웹 사이트를 비교 분석을 하였다. 그리고 방송사에 관한 자료 수집 및 현황분석을 토대로 방송사의 지식관리시스템을 5가지의 하부시스템인 (1)방송기술지원시스템, (2)방송컨텐츠시스템, (3)고객관리시스템, (4)열사네트워크시스템, (5)인사 관리시스템을 포함한 통합관리시스템의 모형을 제안하였다. 한편, 본 연구에서 사용한 팀 기반 접근법은 다른 조직의 지식관리시스템 구축에도 적용 가능하다고 본다.

  • PDF

K-모델기반의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품질 척도 및 인증절차 설계 (Design of Quality Metrics and Accreditate Procedure for SW Process Improvement based on K-model)

  • 황선명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861-875
    • /
    • 2009
  • 소프트웨어 품질 및 신뢰성 확보를 위해서는 체계적인 소프트웨어 개발, 관리 및 조직적인 지원 등이 이루어져야만 한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개선모델로는 ISO/IEC 15504와 CMMI 등의 국제적 모델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국제적 SPI 모델은 대규모의 조직이나 대규모 프로젝트를 적용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수행해야만 하는 활동과 프로세스가 많을 뿐만 아니라 프로세스 심사 또는 인증 시에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은 CMMI, ISO/IEC 15504 및 국내 중소기업들이 프로세스 개선에 쉽게 적용가능 하도록 개발한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품질인증 모델인 K-모델의 특징을 서로 비교하고 K-모델을 기반으로 프로세스 심사, 개선 및 인증 시에 필요한 측정 메트릭스를 제시한다. 정량적이고 객관적인 프로세스 측정을 통하여 프로세스 개선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실험을 통하여 메트릭스의 타당성을 분석한다.

  • PDF